2023년 6천391원…1975년 대비 46배
면 플레이션 효과…인건비 등도 주요 원인

짜장면은 간편하게 한 끼 때울 수 있는 대표적 외식메뉴다. 상대적으로 값싼 가격은 오랜기간 서민들이 즐겨 찾았던 이유가 됐다. 최근 광주에서 짜장면 평균 가격이 평균 7천원 대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2020년 5천400원에서 6천900원(2025년 1월 기준)으로 27.8% 올랐다. 광주 평균인 만큼, 일부 유명 식당은 1만원을 받는 곳도 있다.
졸업·생일 등 특별한 날에만 먹을 수 있었던 1970∼90년대와 비교해 보면 가격 상승세는 두드러진다. 통계 수치 확인이 가능한 50년 전, 1975년엔 한 그릇에 138원 했다. 2000년 2천533원에서 2005년 3천원대를 넘어섰다. 2010년에는 3천945원, 2015년 4천522원, 2020년 5천276원으로 5천원 벽을 넘어섰다. 또한 2022년 6천25원, 2023년 6천361원 등 마의 6천원 대의 벽을 깼다. (사)한국물가정보가 제공한 짜장면 가격 정보 집계 결과다.

기후위기의 그림자다. 원재료 수급 불안정 탓에 가격이 급등했다. 이른바 '누들플레이션(면과 인플레이션)'이다. 폭염과 가뭄·홍수 등으로 인한 이상 기후와 지정학적 불안 영향에서 기인했다. 여기에 짜장면에 들어가는 양파와 양배추·감자·당근 등 부재료 가격 상승도 한몫 했다. 광주시내 한 중식당 업주는 "밀가루·식용유 등 원재료 가격이 계속 오르는 게 가장 큰 부담"이라면서 "경기 불황에 인건비·가스요금 등이 치솟는 상황에서 양파·양배추·파 값 마저 널뛰기를 하니 짜장면 가격도 현실에 맞게 올릴 수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가뜩이나 얇아진 주머니 사정에 소비자들도 힘겨워하고 있다. 이제는 부담스러운 가격대의 음식으로 점차 변해가고 있는 것이다. 가격 상승 탓이다. 한 중 식당에서 만난 김모(42)씨는 "아파트 대출금이 매달 100만원 이상 꼬박꼬박 나가는 상황에서 생활비·외식비 등을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비교적 부담이 덜했던 짜장면마저 1만원대에 육박하면서 이젠 외식이 무서워진다"고 말했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추석(秋夕) 아닌 하석(夏夕)···달라진 풍경 가을은 기온이 꺾이는 계절이다. 기상학적으론 '일 평균 기온이 20도 미만으로 떨어진 후 다시 올라가지 않은 첫날'을 시작일로 본다. 여름은 꾸준하게 20도 이상을 기록할 때다. 문제는 여름의 끝이 점점 늦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가을 한 가운데 있는 큰 명절인 지난해 추석 풍경은 상징적이다.3일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에 따르면 광주의 지난해 9월 17일(추석 당일) 아침 최저기온은 25.4도, 낮 최고기온 35.7도를 각각 기록했다. 9월 중순임에도 폭염 경보 기준인 35도를 넘어선 것이다. 특히 광주·전남은 3일 연휴 내내 열대야를 기록했다. 여름 추석이라는 뜻으로 하석(夏夕)이란 말이 나온 이유다. 앞서 2015∼2023년엔 음력 8월 15일 기준, 22.6도∼30도를 나타냈다.낮 기온은 기상 관측 이래 최고 기온이었다. 20도 초반에서 30도 사이를 오가던 날씨가 지난해 급상승했다. 실제 2016년 30도, 2019년 29.6도, 2022년 26.9도가 각각 최고치로 조사됐다.문제는 이상기후의 후폭풍이다. 폭염과 집중호우, 봄철 갑작스러운 한파 등으로 인해 추석을 앞두고 과일·채소 가격은 덩달아 널뛰기하고 있다. 명절에 가장 많이 쓰이는 사과는 10개 기준, 보통 2만5천원 전후 가격을 유지하다 역대 최장 장마와 태풍이 있었던 2020년 4만2천원대로 훌쩍 뛰었다. 잡채·나물 등으로 쓰이는 시금치는 100g 기준 1천원 미만이었던 게 이상기후가 나타난 2022년에는 2천378원, 지난해에는 3천944원까지 상승했다. 시금치가 대표적인 저온성 잎채소인데 폭염·집중호우 등이 반복된 탓이다.특히 최근 5년 새 급증하고 있는 집단 식중독과 장염 등 날씨 때문에 쉽게 상하는 전염병 등도 우려되는 대목이다.무더운 추석 현상은 앞으로 계속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기혜 광주지방기상청 주무관은 "최근 10년 간 폭염과 열대야가 드물었던 5~6월과 9월, 두 현상이 동시에 발생하는 등 이른 더위와 늦더위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러한 경향과 최근 발표한 3개월, 6개월 전망을 참고했을 때 올해 9월과 10월도 평년보다 높은 기온이 예상된다"고 말했다.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 "작년 추석 35도까지···올해도 걱정이네요"
- · "꿀벌 빌려야 감 열려요"···수정에도 돈 드는 농가
- · "꿀벌, 생태계 지키고 노동력 줄여"···육성·보급이 관건
- · 이상기후 탓에 사라진 꿀벌, 농업·경제 흔든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