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천391원…1975년 대비 46배
면 플레이션 효과…인건비 등도 주요 원인

짜장면은 간편하게 한 끼 때울 수 있는 대표적 외식메뉴다. 상대적으로 값싼 가격은 오랜기간 서민들이 즐겨 찾았던 이유가 됐다. 최근 광주에서 짜장면 평균 가격이 평균 7천원 대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2020년 5천400원에서 6천900원(2025년 1월 기준)으로 27.8% 올랐다. 광주 평균인 만큼, 일부 유명 식당은 1만원을 받는 곳도 있다.
졸업·생일 등 특별한 날에만 먹을 수 있었던 1970∼90년대와 비교해 보면 가격 상승세는 두드러진다. 통계 수치 확인이 가능한 50년 전, 1975년엔 한 그릇에 138원 했다. 2000년 2천533원에서 2005년 3천원대를 넘어섰다. 2010년에는 3천945원, 2015년 4천522원, 2020년 5천276원으로 5천원 벽을 넘어섰다. 또한 2022년 6천25원, 2023년 6천361원 등 마의 6천원 대의 벽을 깼다. (사)한국물가정보가 제공한 짜장면 가격 정보 집계 결과다.

기후위기의 그림자다. 원재료 수급 불안정 탓에 가격이 급등했다. 이른바 '누들플레이션(면과 인플레이션)'이다. 폭염과 가뭄·홍수 등으로 인한 이상 기후와 지정학적 불안 영향에서 기인했다. 여기에 짜장면에 들어가는 양파와 양배추·감자·당근 등 부재료 가격 상승도 한몫 했다. 광주시내 한 중식당 업주는 "밀가루·식용유 등 원재료 가격이 계속 오르는 게 가장 큰 부담"이라면서 "경기 불황에 인건비·가스요금 등이 치솟는 상황에서 양파·양배추·파 값 마저 널뛰기를 하니 짜장면 가격도 현실에 맞게 올릴 수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가뜩이나 얇아진 주머니 사정에 소비자들도 힘겨워하고 있다. 이제는 부담스러운 가격대의 음식으로 점차 변해가고 있는 것이다. 가격 상승 탓이다. 한 중 식당에서 만난 김모(42)씨는 "아파트 대출금이 매달 100만원 이상 꼬박꼬박 나가는 상황에서 생활비·외식비 등을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비교적 부담이 덜했던 짜장면마저 1만원대에 육박하면서 이젠 외식이 무서워진다"고 말했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기후 리스크, 전남 축제 무너뜨린다 전남을 대표하는 봄꽃 축제인 광양 매화축제가 늦은 개화로 예전 방문객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관광객을 유치한데 머무르며 아쉬움 속에 막을 내렸다. 광주·전남지역 지자체들이 축제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상 기후의 영향 탓이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축제를 여는 전라남도가 대표적이다. 봄·가을엔 먹거리·볼거리를 내세우는 축제가 풍성하게 열린다. 일부는 경기 활성화에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한다. 문제는 고려해야 할 변수가 너무 많아졌다는 점이다27일 전남도 '남도여행길잡이'가 제공하는 전남지역 축제를 분석한 결과, 올해 개최했거나 개최 예정인 축제는 모두 125개다. 22개 시·군 마다 평균 6개의 축제를 여는 셈이다. 특히 1천여 개의 섬으로 이뤄진 신안에선 32개의 축제가 개최된다.예측 불가능한 기후 취약성은 상수가 됐다. 올해 초, 봄 이상저온 현상이 강타한 전남지역은 봄꽃의 개화 시기가 늦어지면서 '봄꽃 없는' 봄꽃 축제를 치러야만 했다. 대표 봄꽃 축제인 광양매화의 경우 축제가 시작하고도 매화 개화율이 10%에 그쳤다. 그러면서 열흘가량 되는 축제 기간 한 해 100만명 가까이 찾는 관광객 수가 올해는 37만명으로 급감했다.이처럼 기후리스크에 노출된 축제가 절반 가량에 달한다는 점이다. 주제(테마) 자체가 지역 고유의 자연 특성, 예컨대 꽃이나 농·수산물과 같은 지역 특산물에 기반한 축제는 총 67개(53.6%)다. 다시 말해, 전남지역 축제 2개 중 1개는 기후변화 또는 이상기후에 영향에 취약하다는 의미다.기후 리스크는 고스란히 지역 축제의 위축 혹은 존폐로 이어진다. 기후의 영향에 따라 관광객이 줄어들고, 축제에 의존하던 마을의 경제 순환 구조가 깨질 구조적 위험까지 안고 있다. 구례 산수유꽃축제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개화가 늦어짐에 따라 당초보다 일주일 연기했지만 꽃이 본격적으로 피기 시작한 건 축제가 끝난 직후였다. 결과적으로 관광객 수는 전년 대비 20% 감소했다.남·서해안 바다를 끼고 있는 시·군에서 개최되는 수산물 축제들은 기후변화에 정체성마저 흔들거린다. 온난화가 직격한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어장이 이동하면서 주산지로서의 상징성을 잃을 위기에 처한 것이다. 벌교꼬막축제의 경우 벌교지역 꼬막 생산이 씨가 말라감에 따라 축제 존폐를 걱정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예전엔 '홍어=흑산도'였지만 최근 주산지가 군산으로 넘어가면서 홍어축제 위상마저 추락하고 있다.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자연 기반한 축제는 위기···전문가가 꺼내 놓은 대책은?
- · 매화 없는 '매화축제'의 씁쓸했던 봄날···기후가 흔드는 축제 DNA
- · 화마로 잃어버릴 뻔한 터전···"아직도 기억이 생생해요"
- · 온난화에 바짝 마른 산림···겨울 산불 급증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