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수산물·육류·채소류 등 가격 우위
광주서는 시금치, 생강 등 전통시장 저렴해
사과, 배, 양파 등은 대형마트 가격 더 낮아

4인 기준으로 대형마트보다 전통시장에서 설 차례상을 준비하는 게 20%가량 더 저렴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광주지역의 경우 시금치와 생강 등은 전통시장이, 사과와 배 등은 대형마트가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지난 6일부터 13일까지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각각 37곳을 대상으로 설 제수용품 27개 품목에 대한 가격비교를 실시한 결과, 4인 기준 올 설 차례상 비용은 전통시장(28만7천606원)이 대형마트(36만986원)보다 20.3%(7만3천380원) 더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다.

품목별로는 수산물(34.8%), 육류(25.6%), 채소류(46.4%) 등에서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가격 우위를 보였다.
수산물의 경우 조기(부세, 중국산, 25cm)는 전통시장 5천154원·대형마트 5천62원, 황태포(1마리, 수입산, 50cm) 전통시장 6천226원·대형마트 6천154원으로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저렴했다. 동태포(1kg, 러시아산)도 대형마트(2만866원)가 전통시장(9천545원)보다 118% 비쌌다.
육류 또한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모두 전통시장이 더 저렴했다. ▲탕국용 쇠고기(600g, 한우 양지) 전통시장 3만493원, 대형마트 4만9천847원 ▲산적용 쇠고기(1kg, 한우 우둔) 전통시장 4만7천83원, 대형마트 5만9천40원 ▲수육용 돼지고기(1kg, 국산 목삼겹) 전통시장 2만2천479원, 대형마트 2만7천934원 ▲다짐육 돼지고기(600kg, 국산 등심) 전통시장 8천185원, 대형마트 1만486원 ▲생 닭고기(1kg, 국산) 전통시장 7천808원, 대형마트 8천776원에 판매됐다.
채소류의 경우 고사리(400g, 전통시장 4천440원·대형마트 1만2천362원), 깐도라지(400g, 전통시장 4천473원·대형마트 1만3천420원), 숙주(400g, 중국산, 전통시장 1천363원·대형마트 2천287원) 등은 전통시장이 저렴했다. 무는 1kg당 대형마트(2천771원)에서 전통시장(3천212원)보다 저렴하게 팔렸다.
이외에도 광주지역에서는 ▲시금치 100당 전통시장 714원, 대형마트 1천140원 ▲양파(상품) 1kg당 전통시장 2천242원, 대형마트 1천949원 ▲생강(상품) 1kg당 전통시장 9천330원, 대형마트 1만3천569원 ▲사과 (후지) 10개당 전통시장 3만7천100원, 대형마트 2만6천942원 ▲배(신고) 10개당 전통시장 4만6천838원, 대형마트 3만9천900원 등으로 가격 차이를 보였다.
설 차례상 장보기와 관련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온누리상품권을 활용하면 월 200만원까지 15%할인되므로 이용을 독려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관계자는 "전통시장과 상점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온누리상품권을 활용해 설 명절 기간 합리적인 가격으로 품질 좋은 제수용품을 준비하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홈플러스, 정상운영 중이지만···"위기 잘 넘겼으면" 21일 광주 북구 두암동에 위치한 홈플러스 동광주점에서 장을 본 고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자금 등 여러문제가 있다고 들었는데 잘 넘겨서 계속 여기서 운영했으면 좋겠습니다."이달 초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간 이후 협력사 납품지연, 대급지급 등의 논란이 제기돼온 홈플러스 매장들이 정상운영되고 있지만 여전히 불안감은 남아있는 상태다.하지만 장을 보러 온 시민들도, 근무하는 직원들도 홈플러스가 모든 잡음을 떨쳐내고 하루빨리 정상화되길 바랐다.지난 21일 광주 북구 두암동에 위치한 홈플러스 동광주점에는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쇼핑에 나선 시민들로 북적였다.북구의 유일한 대형마트인 이곳은 각종 논란과 달리 인파가 북적거리는 모습은 평상시와 크게 다르지않았다.매장 1층에는 화장품과 옷, 신발을 판매하는 브랜드들이 입점해 있다. 고객들은 봄 신상품을 입어보고 신어보느라 여념 없으며, 점원들은 고객에게 상품을 추천하고 상품들을 정리하느라 분주했다.식품 매장 역시 행사 소식을 알리는 직원들의 호객 행위와 카드에 물건을 한가득 담은 손님들로 시끌벅적 했다.각종 할인 행사로 간혹 빈 매대가 보이긴 했지만, 직원들의 분주한 손길이 닿자 금방 매대가 채워졌다.홈플러스 측은 앞서 농심과 서울우유 등 협력사와의 납품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지만 이곳 동광주점에는 납품받은 재고들이 있어 물량 부족으로 인한 문제는 없었다는 입장이다.휴지조각이 되는 것아니냐며 우려가 나왔던 홈플러스 멤버십 포인트와 상품권도 매장과 온라인에서 정상적으로 사용됐다.40대 최모씨는 "근처 아파트에 살고 있는데, 먹거리는 눈으로 보고 사는게 좋다고 생각해서 홈플러스에 자주 온다"며 "뉴스를 통해 홈플러스 소식을 들었다. 아무리 배송 서비스가 잘 된다고 해도 나와서 장을 보는 사람들이 많다. 자금 등 여러 위기를 잘 넘겨서 계속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홈플러스 측은 최근 '2025년 임금 협상'을 타결한 데 이어 이날 직원 2만명에 대한 월급 지급 소식을 알렸지만, 직원들 사이에서 불안감은 여전했다.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 관계자는 "이번에는 임금이 지급됐지만 생계가 달린 문제라 앞으로 임금이 잘 나올지에 대한 불안감이 크다"며 "어제 타지역 지점에 다녀왔는데, 월급이 정확히 나올지에 대한 질문이 가장 많았고 심지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을 때 받고 나가는 게 좋지 않겠느냐는 이야기도 나오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지역 매장의 한 직원은 "마트를 이용하시는 고객들의 편의도 있지만 수 많은 직원의 생계가 달린 만큼 모두가 정상화를 바라고 있고, 열심히 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정지영 대표 사내이사 재선임···'더현대 광주' 탄력 받나
- · 광주신세계, 로컬브랜드를 전국으로 '동반 성장 모델' 주목
- · 광주 '이케아 팝업'에 들썩···"정식 매장 오픈바라"
- · 한 달 새 배추30%·사과32% 가격↑···농산물값, 설 전엔 잡힐까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