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 1마리 팔아 손에 쥔 돈은 2천원"

입력 2024.07.23. 15:25 강승희 기자
경기불황에 배달 수수료까지 인상…소상공인 ‘한숨만’
지역 점유율 1위 배민 기습 인상·내년부터 인건비도↑
“공공배달앱 예산 지속 투입 노력·시민 관심도 필요”

#사례1.

광주 동구에서 프랜차이즈 치킨집을 운영 중인 A씨가 배달의민족앱을 통해 2만3천원짜리 치킨 1마리를 판매했을 때 정산받는 금액은 '중개이용료'와 '고객배달팁할인비용', '배달비' 등 각종 수수료를 제외하면 1만7천원가량이다. 여기에서 행사기간 쿠폰 부담금, 광고비, 인건비, 임대료, 재룟값 등을 제외하면 실수익은 많아 봐야 2천원 남짓. 수수료가 더 저렴한 공공배달앱이 있지만, 소비자 수요가 배민, 요기요로 몰려 해지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사례2.

B씨는 광주 전남대학교 인근에 양식집을 운영하고 있다. 대학가인 만큼 파스타 7천원대, 피자 1만원 정도에 판매하고 있는데, 내려갈줄 모르는 재룟값에 인건비·배달 중개수수료 인상 소식까지 겹치자 배달 플랫폼 이용 여부를 고민하고 있다. 1만6천원어치 배달 주문을 받으면 1만원가량 정산받는데, 여기에 재룟값과 인건비 등까지 제외하면 3천원 정도가 남아 향후 인건비, 수수료 인상 시 가게 운영이 어려워질 것을 우려해서다.

고물가와 소비심리 위축 등 경기불황 여파로 가게 문을 닫는 소상공인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배달플랫폼의 중개수수료 인상 소식까지 들려오자 소상공인들의 한숨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23일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과 지역 외식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광주지역 내 배달 플랫폼별 점유율은 배달의민족(이하 배민)이 52.19%로 가장 높았고 요기요 19.4%, 공공배달 15.96%, 쿠팡이츠 12.43% 순으로 잠정 집계됐다.

주문 건당 중개수수료는 요기요 12.5%, 쿠팡이츠 9.8%, 배민 6.8% 순이었으며 공공배달앱인 위메프오와 땡겨요는 모두 2%다.

소상공인들은 배달앱 이용 시 '중개수수료'에 더불어 '배달비', '결제정산수수료' 등 각종 수수료까지 부담하는 등 높은 수수료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

게다가 앱 내 광고비용도 만만치 않다. 지역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은 배민의 경우 광고 주소를 직접 설정해 노출하는 '울트라콜'을 운영하고 있다. 흔히 '깃발을 꽂는다'고 표현하는데, 가게의 실제 주소와 별개로 사장이 설정한 '광고주소'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노출되는 상품이다. 깃발은 개당 월 8만원이다. 많이 꽂을수록 노출되는 지역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많게는 한 가게당 20개도 꽂는 곳들이 있다. 이 경우 월 160만원이 광고비용으로 들어간다.

리재단은 지난 19일 소상공인연합회 광주시지회, 한국외식업중앙회 광주시지회, 한국여성소비자연합회 광주지회,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광주전남지부, 라이더유니온 광주지회, 광주광역시의회 등 6개 유관기관 등과 광주시의회 1층 시민소통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당한 배달 중개수수료 인상 철회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 제공

이러한 상황에서 배민이 내달 9일부터 중개수수료를 3%p 인상키로하면서 지역 소상공인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당장 중개수수료가 인상되면 주문 건당 9.8% 수수료가 부과되는데다 기존의 광고비와 행사기간 쿠폰 부담금, 배달비, 결제정산수수료 등까지 포함하면 '배민의 배만 불려준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음식 가격을 올린다고 해도 주문 금액에 정해진 비율대로 수수료를 책정하는 '정률제'로 운영돼 사실상 소용이 없다. 특히 프랜차이즈의 경우 점주 마음대로 가격을 올리거나 내릴 수 없어 수수료 인상의 부담은 고스란히 점주의 몫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에 개인 외식업체 사이에서는 음식 매장가와 배달가를 일부 다르게 하는 상황마저 빚어지고 있다.

또 비교적 수수료가 저렴한 공공배달앱이 존재하지만, 민간 운영 플랫폼에서는 할인 쿠폰과 무료배달 행사 등을 통해 소비자를 끌어모으고 있어 소상공인들은 비싼 수수료에도 민간 플랫폼을 포기할 수 없다고 하소연한다.

윤상현 한국외식업중앙회 광주지부 부장은 "우리 지역에는 공공배달앱 '위메프오'와 '땡겨요'가 복수로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갈수록 운영 예산이 줄고 있다. 민간 운영 플랫폼에서 대대적인 자본을 투입해 각종 프로모션으로 소비자를 모으고 있는데, 이에 따라가긴 어렵더라도 지자체 차원에서 예산을 지속 확보하는 등 노력을 기울여 줬으면 좋겠다"며 "정부에서도 민간 플랫폼의 끝없는 수수료 인상을 제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시민들도 관심을 가져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6
후속기사 원해요
5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82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