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사설] 지역 MZ세대의 주거인식, '공공성' 명확하다향후 주거정책의 향방에 참고할만한 유의미한 조사결과가 나왔다. 최근 '영끌·빚투'등으로 자산을 늘리는 젊은층이 많지만 지역청년들은 '집을 사지 않고도 살고 싶은, 거주할 수 있는2021.08.24
-
지역신문공동칼럼 [강준만의 '易地思之'] 왜 '지방 소멸'은 대선 이슈가 되지 않는가?수도권 주민들은 인구의 수도권집중으로 인해 주택과 교통·환경문제에서 큰 피해를 겪고 있다지방의 많은 지역이 소멸되면그곳에 살던 사람들은 죽지 않기 위해일자리가 몰려 있는 수도권을찾2021.08.24
-
약수터 (약수터) 불신과 내성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모두 24번의 부동산 대책들이 쏟아졌다.하지만 수도권은 물론이고 지방 집값도 잡지 못하고 상승세만 오히려 커지고 있다. 대책이 나오면 잠시 움찔하다가 다시2021.08.23
-
경제인의 창 [경제인의 창]스트레스는 더 큰 스트레스로 치유된다유년시절 친구 집에 놀러 간 적이 있었다. 친구집 대문을 열고 들어갔을 때 먼저 반겨준 이는 목줄도 하지 않은 채 하얀 송곳니를 드러내고 으르렁 대는 덩치 큰 개였다. 도망가자니2021.08.23
-
사설 [사설]여수고 옆 건축물 논란 사회적 숙의 절실하다역사공간, 여수고 옆 아파트 신축 사회적 숙의 절실
2021.08.23 -
사설 [사설]코로나 장기화, 지역사회 회생전략 준비해야코로나19가 2년째 장기화하면서 광주 주요 상권 외식업계의 폐점·장기 휴업이 이어지고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다. 더구나 코로나 종식이나 백신으로 인한 집단면역에 대한 세계적 기대감2021.08.23
-
사설 [사설] 코로나 시대 장애인 목소리 찾아나선 광주시광주시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장애인 특별주간'이 작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별주간은 이용섭 시장이 직접 장애인 관련시설과 기관·단체를 찾아 애로와 현실적인 대응방안 등을2021.08.22
-
사설 [사설] 전남대 인재 육성 의지있나, 거점대 무색하다전남대가 2022학년도 입학전형에서 지역인재 선발인원을 대폭 축소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는 광주교대는 물론 사립대인 조선대 등 지역 대학들이 지역인재 선발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과2021.08.22
-
기고 [기고] 도시공원사업 이제는 더 미루면 안 된다이용섭 광주시장이 '광주에서 가장 큰 공원인 중앙공원이 해제돼 시민들의 휴식공간이 사라질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에게 돌아가고 도시경쟁력 역시 낮아질 수밖에 없다'며 담당2021.08.22
-
발언대 [발언대] 위기의 어르신, 범죄예방은 작은 관심에서 시작한다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단절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전남지역 농어촌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이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범죄 장소와 수법을2021.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