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수준 해상풍력 산업생태계 조성…새로운 길 개척 '구슬땀'■전남, 미래 에너지기지 노린다 ⑤ 전남도의 야심 찬 해상풍력 계획봄바람이 요술을 부리듯 매화꽃과 산수유꽃, 벚꽃 등 봄의 전령이 흐드러지게 피어 형형색색 물드는 완연한 봄이 다가왔다. 봄바람에 휘날리는 꽃잎이 모든 이의 마음을 설레게 한다. 특히나 올해 전남에서 불어오는 봄바람은 눈부신 햇살을 머금은 듯 더욱 따사롭고 예사롭지가 않다.전남의 야심찬 해상풍2023.04.11@ 선정태
-
'신재생에너지 메카'···RE100·지역균형발전 훈풍 '솔솔'■전남, 미래 에너지기지 노린다 ⑤ 전남도의 야심 찬 해상풍력 계획전남의 바다는 양질의 바람을 소유하고 있는 지역이다. 해상풍력에 가장 적합한 바람은 유럽 북해의 10~11 m/s다. 전남 특히 신안 바다의 바람은 이보다 약간 느린 8~9 m/s.이처럼 세계적인 양질의 바람이 끊임없이 불어오는 바다를 끼고 있는 전남도는 해상 풍력을 통해 대한민국 신재생에너2023.04.11@ 선정태
-
"안갯속 걷는 심정으로 헤쳐와…햇빛에 바람·물결연금까지 해나갈 것"■전남, 미래 에너지기지 노린다 ④태양광발전, 주민들에 이익 공유한다"태양광발전을 통한 수익을 주민들과 공유하니 인구가 늘었습니다. 폐교과 확정된 학교는 취학 아동이 늘면서 휴교 기한이 연장되기도 했습니다."신안군은 전국 최초로 신새쟁에너지 개발 이익을 주민들과 공유한 것으로 유명하다. 기후 위기를 해결함과 동시에 인구가 늘어나는 효과까지 나타나 지역 소멸2023.04.04@ 선정태
-
'햇빛연금' 효과··· 이익 공유하니 지역 살고 인구 늘었다■전남, 미래 에너지기지 노린다 ④태양광발전, 주민들에 이익 공유한다전국에서 태양광발전과 풍력이 시작된 지 20여 년. 태양광 패널은 야산을 깎고 마을 인근 농지를 전용해 설치했다. 나무가 베어진 태양광발전 인근은 산사태가 나기 일쑤였고, 마을 인근 농지의 태양광은 주민들의 눈부심, 풍력 발전기의 소음 피해를 하소연하는 주민들은 꾸준히 늘고 있다. 피해는2023.04.04@ 선정태
-
[영상] "대학-연구기관 연계 장점···광주 성장환경 좋아요"[지방청년희망보고서⑯] 명홍철 ㈜넷온대표"좋은 아이템만 있으면 광주에서도 충분한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불편한 점도 있지만 장점을 잘 활용하고, 어떻게 행동하는지가 더 중요합니다."광주지역 창업기업인 중에 최근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젊은 청년 기업가 명홍철(37) ㈜넷온대표가 이같이 말했다.명 대표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우리 사회 전반에 일어나는 사2023.03.28@ 한경국
-
"광주 청년이 보는 '광주'를 말하다"···신진 지역 예술인의 반란[지방청년희망보고서⑮] 도민주 연출가'광주'라는 지역을 소재로 다양한 장르의 예술 작품을 연출하게 된 건 우연이 아닌 필연이었다. '우리만이 할 수 있는, 우리가 제일 잘할 수 있는 게 뭘까?'라는 물음에 답은 늘 '광주'로 귀결됐기 때문이다.'창작그룹 MOIZ'(이하 모이즈)에서 연출가로 활동하고 있는 도민주(29)씨의 전언이다. 그는 광주에서 태어나 이2023.03.14@ 이예지
-
탄소 중립 달성위해 도심 아파트 태양광 적극 활용해야■전남, 미래 에너지기지 노린다 ③ 가정용 소형태양광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전 세계 탈탄소화 정책 실행 시기를 앞당겼다. 식량과 에너지 가격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고 인플레이션 심화와 에너지 가격 폭등을 불러왔다. 그 영향은 우리나라에도 이어져 역대 월별 최대 무역적자와 1월 난방비와 전기요금 폭탄의 원인이 됐다. 유럽의 경우 바로 옆에서 터진 전쟁 영2023.03.13@ 선정태
-
베란다·승강장·도청 어디든 발전소···에너지자립 메카로■전남, 미래 에너지기지 노린다 ③ 가정용 소형태양광 세계적인 '투자의 귀재', '가치 투자의 대가'라고 불리는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몇 해 전부터 태양광 발전을 중심으로 한 신재생에너지에 큰 관심을 보이면서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도 태양광이 화두다. 앞으로 계속 부담으로 작용할 전기료 폭탄의 대안으로 꼽히는 것이 가정용 소형 태양광이다. 이번2023.03.13@ 선정태
-
"영농형 태양광, 농지 수익 몇배 끌어올리는 획기적 선택"■전남, 미래 에너지기지 노린다 ②영농형 태양광"1960년 김해의 비닐하우스에서 오이, 가지, 고추 등을 시험재배에 성공하며 백색혁명으로 불리었습니다. 50년이 지난 현재 비닐하우스 농지 면적은 8만3천㏊로 우리나라 전체 농지 면적의 5.2%에 달할 정도로 양적 ·질적으로 발전했습니다. 영농형 태양광이 농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제 2의 비닐하우스 역할을2023.02.26@ 선정태
-
하늘에서 전기 생산하며, 땅에서 농사···'일거양득' 영농형 태양광■전남, 미래 에너지기지 노린다 ②영농형 태양광우리나라는 2012년 태양광 발전소를 본격적으로 설치한 지 10년이 훌쩍 지났다. 기후 위기에 맞서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친환경 에너지로서 주목받고 있는 태양광 발전은 규모와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태양광 발전은 대부분 산 비탈의 넓은 면적에 나무를 베고 설치하거나 농지에 태양광2023.02.26@ 선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