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공공자전거, 따로국밥 운영에 세금만 줄줄

입력 2025.03.13. 19:19 이삼섭 기자
두 바퀴路, 탄소중립 광주로 ⑧ 시·자치구 통합 플랫폼으로
5개 자치구 각각 운영…사실상 방치되며 세금 낭비
교통공사 200대 운용에도 日 최대 9명 이용 불과
선진도시 대부분 단일 시스템으로 효율성 극대화
13일 광주도시철도 1호선 평동역 내 광주교통공단이 운영하는 공공자전거가 비치돼 있다. 광주교통공사는 지난 2006년부터 역사 내 공공자전거를 운영했지만 이용자가 적은 채 명맥만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 따릉이처럼 타랑께 하나로 광주 전역에서 편리하게 이용하면 되는데 자치구가 저마다 운영하고 있는 게 이해가 안 됩니다. 잘이라도 되면 모르겠는데, 길거리에 공공자전거 이용하는 사람을 본 적도 없네요."

광주시와 각 자치구 산하기관까지 서로 다른 공공자전거를 운용하면서 저조한 이용률과 비효율적 관리로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각 자치구는 공공자전거에 적잖은 예산을 쓰면서도 규모의 경제를 이루지 못한 채 유지도 아닌, 명맥만 잇고 있다는 지적이다. 심지어 '타랑께'를 운영하는 광주시와 산하기관인 광주교통공사도 별도의 공공자전거 대여 시설을 갖췄는데, 이용자가 극도로 저조하며 녹만 슬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광주시가 공공자전거 '타랑께' 시범운영을 마치고 본격적인 확장에 나서는 만큼, 광주 전역에서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공공자전거 시스템을 '타랑께'로 통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너도나도 공공자전거 도입

무등일보 취재 결과, 광주시가 운영하는 공공자전거 서비스 '타랑께'를 제외하고도 광주 5개 자치구, 광주교통공사 등에서 공공자전거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광주시는 타랑께가 있음에도 시청사에서 별도의 공공자전거 대여 시설을 갖추고 있다.

공공자전거는 정부나 지자체가 운영하는 자전거 공유 서비스다. 직접 소유하지 않고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 자치구와 기관들이 한 때 너도나도 도입한 공공자전거 운영을 시작했다.

자치구 공공자전거 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동구는 지난 2009년 도입해 현재 총 17대를 운영한다. 현재 계림1·2동, 학동, 학운동을 제외한 관내 9개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대여한다.

서구는 2011년 도입해 현재 본청과 관내 18개동 행정복지센터에 총 131대(페달 자전거 119대·전기 자전거 12대)를 운영한다. 광주 지자체로는 유일하게 전기자전거도 갖고 있다. 남구는 2015년 공공자전거를 도입해 본청과 관내 행정복지센터에서 42대를 운영한다.

북구는 2008년부터 본청과 신용동, 건국동, 동림동 등 관내 3개 행정복지센터에서 총 79대를 운영 중이다. 광산구는 지난 2009년부터 첨단1·2동, 월곡1동, 수완동, 운남동, 송정1동, 어룡동 등 관내 7개 행정복지센터와 강변 거점터미널에서 총 83대를 운영하고 있다.

광주 산하기관인 광주교통공사는 지난 2006년 광주시로부터 공공자전거 200여대를 무상으로 지원받아 녹동역을 제외한 1호선 19개 역사에서 운영 중이다. 광주시도 타랑께 도입 이전인 2009년 청사 앞에 공공자전거 대여 시설을 마련하고 아직까지 19대를 운용한다.

13일 광주 서구청이 운영하는 공공자전거가 청사 내 비치돼 있다. 서구는 2011년 공공자전거를 도입해 현재 본청과 관내 18개동 행정복지센터에 총 131대(페달 자전거 119대·전기 자전거 12대)를 운영한다.

◆이용자 실태 파악도 안 돼…예산 줄줄 세

정작 이들 대여 서비스는 실 이용자도 없는 채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심지어 각 자치구는 이용자가 거의 없다보니 이용 현황조차 집계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무등일보 취재진은 각 자치구에 이용자 수가 얼마나 되는지 공개해달라고 요청했으나 모든 자치구에서 따로 집계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이용자가 거의 없는 수준이니 별도로 이용자 수를 집계해 취합하지 않고 있다"고 인정했다.

그나마 집계가 파악된 광주교통공사 이용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해 한 해 동안 대여 횟수가 3천300여회에 그쳤다. 하루 평균 9명가량이 이용하는 꼴이다. 그나마 외국인 노동자가 자주 이용하는 평동역을 제외하고는 하루에 한 명도 이용하지 않는 역사가 대부분으로 파악됐다.

광주시가 시청사에서 운영하는 공공자전거 대여 서비스도 이용자가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각 자치구가 공공자전거 서비스를 시늉만 하고 있는 동안에도 혈세가 줄줄 세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전거를 새롭게 구매하지 않더라도 자전거 수리에는 지속적으로 비용이 필요해서다.

동구는 지난해 130만원, 올해 100만원 예산을 편성했다. 서구는 지난해 1천300만원, 올해 820만원을 사용했다. 남구는 도입 이듬해인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수리 비용으로만 총 3천400만여원을 썼다. 올해는 210만원을 편성했다.

북구는 지난해 수리 비용으로 270만여원을 투입했고, 올해는 230만원을 사용할 계획이다. 광산구는 해마다 200만원가량을 수리·정비 비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 도시 단일 플랫폼…민간 협업 필요성도

반면 공공자전거가 활성화된 주요 특·광역시들은 자치구와 함께 일원화된 플랫폼으로 효과를 높였다. 더 정확히는 자치구가 별도의 공공자전거 서비스를 운영하지 않는 대신 단일 공공자전거 플랫폼 확산에 협조하는 식이다.

특히 근본적으로 각 자치구가 별도로 운영하면서 자치구를 벗어나면 반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일원화 플랫폼은 공공자전거 활성화에 필수적 요소로 꼽힌다. 예컨대, 광산구에서 출발한 자전거를 타고 서구에 도착하면 반납이 불가능해 원래 출발지로 돌아가야 한다.

광주와 대조적으로 서울 '따릉이'와 대전 '타슈'는 통합된 운영 체계를 구축해 성공 사례로 꼽힌다. 서울의 경우 전체 25개 자치구 중 강남구, 노원구, 서초구, 성동구 등 단 4곳만 공공자전거를 운영 중이다. 대전의 '타슈' 역시 대전시와 자치구가 하나의 플랫폼을 공유하며 지역 구분 없이 자유롭게 대여와 반납이 가능하다.

전문가들은 실효성을 잃은 각 자치구의 공공자전거 서비스를 즉각 폐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광훈 에너지파크 센터장은 "자치구 별로 있는 공공자전거는 없애는 게 맞다"며 "타랑께를 할거면 타랑께로 모두 흡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김 센터장은 "(도시 규모가 비슷한) 대전처럼 완전히 3천대에서 4천대 정도로 늘리지 않고서는 효과를 보기 힘들다"며 민간 모빌리티 기업과의 협업을 제안했다. 광주 전역에 있는 지쿠와 같은 민간 공유자전거 서비스에 대해 요금을 지원하고 대중교통 환승이 가능토록 하는 식이다.

김 센터장은 "보편적인 시민들의 이동 수단의 관점으로 봤을 때는 이용의 편리성이 우선시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민관 협업으로 풀어가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