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에너지 저장체계로 전력 저장” 반박
전남도 “ESS 등 에너지 믹스로 보안 가능”

"전력 소모가 많은 데이터센터에 풍력발전으로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부적합하다"는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의 주장은 사실일까.
전남도는 ESS(에너지저장체계) 등 에너지믹싱으로 충분히 가능하다며 이준석 후보의 주장을 반박하고 있다.
19일 전남도와 지역 정가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최근 대선 공약 발표를 통해 '해남에 세계 최대 AI 데이터센터 구축 지원'을 전남 핵심 공약으로 제시했다. 이재명 후보는 '해남 솔라시도에 데이터센터를 짓고, 필요한 전력을 서남해안의 풍력발전으로 공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공약은 도와 퍼힐스(FIR HILLS), 서남해안기업도시개발(주), 해남군과 함께 '솔라시도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의 연장선이다.
해당 사업을 위해 도는 지난 2월 4자 협약을 체결했으며 해남 산이면 구성지구 일원 120만평에 오는 2028년까지 7조원, 2030년까지 8조원 등 총 15조원을 투자해 세계 최대 규모인 3GW 이상의 'AI 슈퍼클러스터 허브'를 조성할 계획이다.
특히 여기에 구축되는 AI 컴퓨팅 인프라는 AI 모델 연구와 훈련을 위한 트레이닝 센터로서 일반 데이터센터보다도 훨씬 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한다. 솔라시도에 구축되는 'AI 슈퍼클러스터 허브'는 3GW 이상으로 미국 북버지니아의 2.5GW나 중국 베이징의 1.8GW를 훨씬 뛰어넘는 세계 최대 규모다.
이와 관련 이준석 후보는 전날 열린 대선 후보 TV토론회에서 "풍력발전은 초속 25m 바람이 불면 가동을 중지해야 한다"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중요한 데이터센터에 해상풍력은 맞지 않다는 취지로 이재명 후보 공약에 대해 공격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재생에너지는 간헐성이라는 불규칙성이 본질이라 ESS(에너지저장체계)를 만들어서 전력을 저장하고 공급한다. 불가능하다고 하는 건 잘못된 생각"이라고 답했다.
실제 전남도는 데이터센터,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과 함께 대규모 ESS도 조성한다는 계획이어서 이준석 후보의 주장은 옳지 않다는 입장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데이터센터에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를 쓰는 데 모든 사업에 장단점이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재생에너지 확대가 세계적 흐름이다"이라며 "해상풍력은 태양광보다 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고, ESS 등 에너지 믹스로 충분히 보안이 가능하다"고 반박했다.
이어 "초기 단가는 원전보다 높지만, 규모 경제로 인해 규모가 커질수록 단가는 낮아질 것이기 때문에 더욱 개발해야 한다는 명분이 된다"며 "특히 해상풍력 개발로 인해 지역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미국이나 유럽 일부에서 원전 회귀 움직임도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는 재생에너지 확대가 기본 방향"이라며 "초기 투자 없이는 경쟁력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투자자들은 전남의 넓은 부지, 풍부한 전력과 용수, 우수한 인재, 지진 안정성, 재생에너지100(RE100) 실현 등의 이유로 전남에 투자를 하려고 한다"며 "초기 비용은 많이 들겠지만 지금 개발해야 수십년 뒤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김영록 전남지사도 이준석 후보 주장에 대해 비판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지난 17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 후보의 주장은) 전력계통에 대한 이해도 부족에서 비롯됐고 재생에너지를 문제 삼는 것도 합리적 에너지믹스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것"이라며 "해남에 5GW의 태양광 발전원을 준비 중으로 전국 유일하게 한전공급 단가 이하로 데이터센터에 태양광 전력공급이 가능해진다"고 비판했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마른 장마에도 댐 수위는 정상···"용수 걱정 없어" 전남 순천시 송광면 봉산리 곡천교에서 바라본 주암호. 무등일보DB.올해 장마 기간이 짧아 제주도 등지에서 가뭄 피해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전남지역 저수율은 평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 누적 강수량은 517.3mm로 평년(620.8mm) 대비 83.3%수준이며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8일 기준)은 61.4%로 평년(62.8%) 대비 97.7%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나주호 59.9%, 담양호 63.3%, 광주호 65%, 장성호 57.5% 등이다.전남지역의 주요 식수원인 주암댐은 44.8%, 장흥댐 50.1%, 수어댐 57.% 등도 평균 50% 정도의 저수율을 보이고 있다.평년 저수율보다 현재 저수율이 낮은 곳은 수어댐(평년 63%) 한 곳으로 주암댐(44.2%), 장흥댐(48.1%)은 평년보다 높은 저수율을 유지하고 있다.전남도는 마른 장마임에도 평년과 비슷한 저수율을 보이고 있어 농업용수나 식수 공급에 큰 차질은 없다는 입장이다.특히 최악의 가뭄이었던 지난 2022년 당시 저수율이 적게는 25%에 그쳤던 것을 감안하면 현재는 2배 이상 저수율을 보여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실제 도는 계절별 기준에 따라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단계로 나눠 관리하지만 아직까지는 관심 단계도 아닌 정상인 상태다.도 관계자는 "현재 최악 가뭄이었던 2022년 대비 2배이상 저수율 보이고 9월 비 예보도 많아서 우려 상황이 아니다"며 "다만 연일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지역민의 생활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이어 "여름철에는 홍수를 대비해서 수문을 열어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며 "올해는 강수량이 적었지만 그만큼 방류량을 줄여 평년과 비슷하게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 햇빛·바람·원전, 영광을 에너지 기본소득도시로
- · '인구청년이민국' 신설 후 출산율 반등···전남도, 현안팀 뜬다
- · 새정부 신설 '기후에너지부'…전남 유치 가능할까
- · 전남도 강위원 신임 경제부지사 업무 시작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