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비상계엄, '민주주의 산 역사' 광주가 답했다

입력 2025.04.08. 23:44 김종찬 기자
■윤 파면, 다시 민주주의로
(중)탄핵 시대정신, 광주가 말했다
비상행동, 47회 집회…10만명 참여
지역 정치권, 1인 시위로 ‘뒷받침’
“이제는 정치의시간…통합의 시대”
광주비상행동 집회에 참석한 600여명의 시민이 광주지법 앞으로 행진을 진하고 있다. 광주비상행동 제공

"비상계엄 선포 소식을 접했을 때, 1980년 광주가 떠올랐습니다. 만일 12월 3일 윤석열의 비상 계엄에 분개해 국회로 뛰쳐나온 시민들이 없었다면 (중략) 지금 대한민국은 80년 5월의 광주와 다르지 않았을 것입니다. 1980년 5월 광주는 2024년 12월에 우리를 이끌었습니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지난해 12월14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두 번째 탄핵소추안 발의 당시 제안 설명에서 광주의 5·18민주화운동을 언급했다.

45년 전 비상계엄을 반대하던 수많은 시민이 계엄군에 의해 금남로에서 피로써 민주주의를 외쳤던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는 광주가 12·3 불법 비상계엄을 선포한 윤 전 대통령의 만행에 합법적으로 대응한 것이다.

광주시민들은 이 자리에서 보통의 국민의 역사 의식을 대변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비상계엄 선포 직후부터 시민들과 시민단체는 '윤석열 정권 즉각퇴진·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을 꾸리고 매주 오월 선열들의 기억이 머문 5·18민주광장과 금남로 일대에서 평화집회를 열었다. 광주비상행동은 지난해 12월 3일부터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이 선고된 지난 4일까지 총 47회 집회 진행했다. 2차례 상경투쟁도 진행하며 전국에 광주의 목소리를 알렸다.

집회 참가자도 연인원 10만5천여명에 달했다. 그 사이 역사강사 황현필씨와 5·18 헬기사격 목격담을 진술했던 고 조비오 신부의 조카 조영대 신부가 단상에 올라 사익을 위해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윤 전 대통령의 탄핵을 부르짖었다.

세이브코리아 등 이른바 '윤석열 추종자'들이 금남로에서 윤 전 대통령 옹호 집회를 가졌을 때도 시민들은 무대응으로 일관하며 평화적인 집회를 이어갔다.

지역 정치권도 1인 시위와 현수막 게첨 등으로 시민들을 뒷받침 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달 11일 오전 전남도청 앞에서 윤 전 전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1인 시위'를 벌였으며, 강기정 광주시장도 전날인 지난달 10일 5·18민주광장에서 '국민의 뜻 윤석열 즉각 파면'이라 적힌 피켓을 들고 퇴근길 시민들을 만났다. 문인 북구청장도 광주 5개 구청장 중 유일하게 북구청 청사 벽면에 개인 명의로 '헌정유린 국헌문란 윤석열을 파면하라'라고 적힌 거대한 현수막을 설치하기도 했다.

광주 시민들이 45년 전 목숨을 내걸고 주장한 것도 민주주의의 기본 질서였으며, 이번 집회에서도 자유민주주의의 질서를 어지럽힌 데 대한 비판이었다.

이같은 주장은 헌재의 결정문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헌재는 우리 헌정사적 맥락에서 12·3 비상계엄이 충격적일 수밖에 없음을 꼬집으면서 "피청구인(윤석열)이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수호하고 국정을 성실하게 수행하리라는 믿음이 상실돼서 더 이상 그에게 국정을 맡길 수 없을 정도에 이르렀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광주 시민들이 피 흘려 세운 헌법의 가치가 윤석열 정부에서 역사 왜곡과 함께 퇴행하는 일이 반복됐고 그 끝에 12·3 불법 계엄이 있었다. 비민주적이고 반헌법적인 비상계엄 선포를 보고 광주시민들은 45년 전 피비릿내 나는 금남로를 떠올렸을 것"이라며 "아픈 과거가 되살아 오는 것을 막기 위해 시민들의 노력이 컸다. 이제는 정치의 시즌이다. 광주의 민심이 묵살되지 않도록 통합의 정치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3
후속기사 원해요
1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