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27일 '…와불이 일어나다'
13년 작업한 천불천탑 작품 선봬


"운주사에는 와불이 일어나면 미륵세상이 올 것이라는 말이 있잖아요. 지난 12·3 계엄을 보며 이를 떠올렸고 계획됐던 전시를 전면 수정해 13년 동안 작업했던 운주사 작업을 선보이는 자리입니다. 새롭게 바로 서는 대한민국을 간절히 바라봅니다."
13일 만난 황순칠 작가는 서울 인사동 G&J갤러리에서 오는 21~27일 여는 개인전 '운주사 천불천탑 와불이 일어나다'를 앞두고 이번 전시에 대한 의미를 이같이 설명했다.
이번 전시는 황 작가의 23번째 개인전으로 지난 2010년 부산에서의 초대개인전 이후 15년 만이다. 전시는 지난 2013년 3월부터 운주사의 다

양한 석불과 석탑을 그린 작품 40여점으로 구성된다. 절반 이상이 80호 이상의 대작이며 여기에는 12·3 계엄 이후 분노의 마음을 담아 그린 근작 '검은 불(佛)'과 '붉은 불'도 포함된다.
그가 운주사 석불과 석탑을 그리게 된 것은 매화로부터 시작한다. 당시 매화 작업에 천착해 있어 담양 독수정에서 매화를 그리던 그였다.

황 작가는 "매화를 그리다 정원 돌탑을 보니 운주사 항아리탑이 자꾸만 생각났다"며 "이 그림을 다 그리면 운주사로 바로 가야겠다는 생각뿐이었고 작업을 완성한 직후 바로 운주사로 향했다.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항아리탑'이 운주사 작업을 시작하며 그린 첫 작업이다"고 말했다.
운주사로 향한 그는 2년 동안 인근 농가를 얻어 그림을 그리고 이후에는 문성암에서 스님들과 똑같이 생활하며 운주사 석불 그림에 매진했다. 이때 그린 그림만해도 100점이 훌쩍 넘는다. 100점을 넘기는 순간 작품 세는 것을 포기한 탓에 정확히 몇 점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이번 전시 도록을 제작하며 고르고 고른 작품이 120점이니 전체는 수백여 점에 달할 터이다.
특히 이번 전시는 지난해 계엄 이후 기획을 바꿔 진행되는 터라 의미가 남다르다. 고등학생 때부터 즐겨온 서예 작품과 작년 가을 현장에서 그린 울산 반구대 작품을 전시하기로 계획한 것을 운주사 작품으로 전면 변경한 것이다. 이로써 이번 전시는 운주사의 전설처럼 우리에게 새로운 희망이 찾아오길 바라는 그의 마음이 담뿍 담긴 자리가 됐다.
그는 "윤석열의 12·3계엄정국으로 이 나라에 희망을 보이고자 운주사 천불천탑 '와불이 일어나다'를 전시명으로 삼았고 이 전시를 통해 이제 새롭게 바로 서는 대한민국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본다"며 "특히 이 운주사 작품은 어디서 전시한 적이 없어 이번 전시가 최초로 공개하는 자리이기도 하니 많은 관심 바란다"고 전했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사진과 기술 조화가 빚어낸 회화적 감성 '대명매-1'. 조영신 사진작가 작업의 특징은 사진과 기술의 결합에 있다.작가는 자신이 포착한 앵글에 수채화와 유화 질감을 곁들인 회화적 이미지를 곁들여 새로운 느낌을 선사한다. 하늘과 나무, 숲길 등 자연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얼핏 보면 사진보다 한 폭의 아름다운 회화로 보인다. 사진의 사실감과 회화의 미적 요소가 조화를 이뤄 색다른 감성을 자아낸다.작가가 사진작가 활동을 시작한 것은 10여 년 전부터다. 어느 날 우연히 한 사진작가의 작품을 본 것이 계기가 돼 카메라를 손에 잡기 시작했다. 처음 연꽃을 촬영했을 때 느꼈던 설레임은 창작열을 더욱 자극했다.작가는 세계 각국을 두루 돌아다니며 발품을 팔았고 그곳에서 만난 소중한 순간들을 카메라에 담았다. 우리나라에서는 시시각각 변하는 사계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내며 아름다움을 체감하기도 했다.작가가 컴퓨터를 활용한 이미지 보정에 숙달한 것은 새로운 작업 세계에 눈뜨는 전환점이 됐다. 작품의 주요 인물이나 사물을 중심에 두고 주변은 미적 요소에 초점을 둠으로써 관람객들에게 서양화나 수채화와 같은 느낌을 강조할 수 있게 된 것이다.작가는 한 작품을 위해 며칠 밤낮을 새기도 했지만 완성작을 보면 창작에 대한 열정이 더욱 불타올랐다.'매화 시-2'.'지구(Earth)'를 주제로 한 이번 전시회는 작가가 10년간 공들인 작업을 선보이는 첫 자리다. 3월 폭설 속에 꽃망울을 머금은 매화의 모습을 담은 '대명매', 네팔 화장터 다리 위에서 만난 남성들의 강렬한 시선을 포착한 '인물' 등 40여 점을 선보인다. 전남대 본관에 있는 대명매의 겨울과 봄 풍경을 담은 두 작품은 시련을 견디고 희망을 꽃피우는 의미를 담아 전남대병원에 기증한다. 12일부터 18일까지 무등갤러리.조 작가는 "기술과 예술이 만나는 지점에서 자연과 인간, 일상 속 찰나의 시간 이야기가 관람객 마음에 잠시라도 머물렀으면 좋겠다"고 말했다.대한민국 사진대전과 광주미술협회 공모전 등에서 특선 등을 수상했으며 광주 무등사진동우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김만선기자 geosigi22@mdilbo.com
- · 오페라로 그려낸 5·18, 거리서 시민과 만나다
- · 오월창작가요제 대상, 예람 '거리를 행진하는 소리'
- · 광주문화재단 '전시공간지원사업' 첫 전시회
- · 일상의 존재로 전하는 따스한 위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