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은 오후에 관객석 '만석'
민주화·평화통일 꿈 꿨던
북한 방문 등 사진·영상도
관객들 공연 집중도 올려
"더 이상 젊은 목숨이 민주주의의 제단에 바쳐지지 않도록 내가 이 자리에서 더욱 힘쓰겠소."
60대의 노구를 이끌고 민주화와 통일 운동의 길로 접어든 고 문익환(1918~1994) 목사의 이야기가 관객들의 마음에 커다란 울림을 전했다.
광주시와 광주문화재단은 지난 23일 오후 7시 빛고을시민문화관 2층 대공연장에서 민주화와 통일을 염원했던 고 문익환 목사를 기리는 뮤지컬 '늦봄의 길' 초연 무대를 선보였다.
토요일 늦은 시간이었지만 공연 시작 20분 전부터 20대부터 70~8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관객들이 200여 석의 대공연장을 가득 메웠다. 이들은 민주화 운동을 함께 했던시기를, 때로는 교과서나 인터넷에서의 문 목사를 생각하며 공연 시작을 기다렸다.
뮤지컬은 1970~80년대를 살아온 20대와 문 목사가 민주화와 통일운동에 뛰어들게 된 배경에 집중했다. 또 '서울의 봄', '학생운동은 안돼', '우린 겁내지 않아' 등 각 인물과 시대를 대변하는 노래도 관객들의 집중도를 끌어올렸다. 특히 문 목사의 삶을 대변하는 듯한 '서울의 봄'이 흘러나올 때 관객석에서는 단 하나의 숨소리조차 들리지 않았다.
공연은 고고장에서부터 시작한다. 1970년대 20대들의 자유가 분출되는 '고고장'을 관리하는 20대 남성'손주호'는 민주화 운동에 뛰어든 대학생 '이루다'를 보고 첫눈에 반한다. 하지만 의형제를 맺은 경찰이자 현실을 살아가는 형 '손세범'과의 갈등으로 민주화운동 참여를 꺼리다 결국 '이루다'와 함께하기로 결심한다.
한편 1970년대 초반 성경 번역에 열을 올리던 '문익환'은 가장 친한 친구이자 마음을 터놓는 사이였던 '장준하'가 군사독재 정부에 의해 의문사를 당한 장면에서 목놓아 울부짖고, 관객들도 덩달아 눈물을 훔쳤다. 문 목사는 친구 장준하의 삶을 돌아보다 민주화를 목놓아 부르는 젊은이들이 갖은 고문을 당하고 핍박받으며 결국 분신자살까지 이르는 상황을 보게되고, 이들을 지켜내기 위해 민주화와 통일운동의 길로 들어선다.
"'일제시대 때 대항하던 독립군 중 어느 누구도 스스로 목숨을 버리지 않았다. 싸워서 이겨내라'는 어머니의 말을 젊은이들에게 전하지 못한 내 죄가 크다. 아까운 목숨이 민주화의 제단에 바쳐지지 않도록 내가 이루겠다"고 말하는 문 목사의 대사 단 '한줄'이 그의 열망을 정리하는 듯 했다.
공연 끝부분에서는 '서울의 봄' 노래와 함께 1980년대 이후의 문 목사의 삶이 사진과 영상으로 무대를 지나갔다. 누군가는 문 목사의 방북 사진과 함께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의 남북정상회담 사진들이 흘러가자 관객석에서는 감탄과 탄식이 함께 했다.
김모(67·여)씨는 "처음엔 20대들의 이야기와 문 목사의 이야기가 따로 진행되는 듯 해서 이해가 어려웠다. 다만 공연 후반부에 이들이 함께 무대를 만들어가서 뒤늦게나마 공연의 방향을 이해할 수 있었다"며 "그 시대를 살아온 사람으로, 문 목사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의 삶을 공연으로 만날 수 있어서 행복했다"고 말했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지역 미술계 구성원 모여 따스함 나눈다 이상호 작 '바라춤과 승무' 지역 미술계가 시민과 소통하고 더 나아가 자생적 환경을 만드는데 나선다. 작가 뿐만 아니라 기획자, 사립미술관, 갤러리, 콜렉터 등이 한자리에 모여 따뜻한 지역 미술 생태계를 만드는데 힘을 보태 더욱 의미를 더한다.'푸름 나눔'전이 16~21일 무등현대미술관 1층 전시실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관의 지원이나 후원 없이 오로지 지역 작가, 사립미술관, 갤러리, 기획자, 콜렉터가 모여 그들의 힘으로 펼쳐지는 아트장터이다.이들은 아트장터를 통해 소통의 기회를 만들고자 한다. 작가와 시민, 미술관·갤러리와 시민은 물론 작가와 갤러리 혹은 미술관, 작가와 콜렉터, 작가와 작가, 콜렉터와 콜렉터 등 서로 소통하는 기회를 확장하고 이를 통해 점차 어려워지는 미술 시장에 활기를 더하려 한다.이번 전시는 정송규 무등현대미술관 관장과 조성숙 작가, 김용근 작가, 그리고 김허경 아시아현대미술연구소 대표가 힘을 모아 성사됐다. 정 관장과 조 작가, 김 작가가 최근 지역 미술계의 어려움과 점차 작가들의 소통이 줄어들고 있음을 이야기하다 아트장터를 제안하게 됐고 이는 김 대표에게로 전해졌다. 정 관장은 그의 네트워크과 기획력을 토대로 전시를 더욱 탄탄하게 꾸리고자 김 대표에게 기획을 제안하게 됐다. 지역 근현대 미술사에 대한 연구자로 활동하고 있는 김 대표는 연구자 일 뿐만 아니라 도립미술관에서 진행 중인 '오지호' 탄생 120주년 전 등 여러 전시와 미술 행사 등을 기획하는 기획자로도 활동 중이다.임현채 작 '언덕 너머로부터'네 사람은 연말부터 힘을 모으기 시작했고 이는 지역 작가들 뿐만 아니라 지역 콜렉터 모임인 미사모,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갤러리 예술공간 집, 세계시민적 관점으로 학문과 예술을 공부하는 시민자유대학 등이 뜻을 함께하며 동참하기 시작했다.전시에는 김25·김기현·김동하·김왕주·김용근·김주연·김치준·류현자·박정일·설상호·엄기준·오수경·윤석문·이두환·이상호·이정기·이지연·임현채·장용림·정송규·정승원·정해영·정향심·조성숙·조정태·하루K·한미경·한희원 작가가 자신의 작품을 내놓았으며, 콜렉터들은 B70·우제길·정승주·황영성·이내·무라카미다카시·주태석·우병출·박주하·허임석의 작품을 출품했다.작품 가격은 200만원이 넘지 않도록 해 시민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으며 작가들 경우 작품 대신 다양한 아트상품을 선보여 관람객 선택의 폭을 넓힌다. 특히 이에 대한 수익금 30%는 목포에 자리한 미혼모 보호시설인 성모의 집에 기부될 예정이다.정승원 작 'Memory of winter #1-2'전시 기간 동안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개막식이 펼쳐지는 18일 오후 5시에는 시민자유대학이 '시민의 밤-평화의 바람이 되어'를 진행한다. 시민과 예술인이 어우러져 소통하는 시간으로 노래와 연주, 무예 등 공연 무대와 미술품 경매 등이 진행돼 재미를 더할 계획이다.21일 오후 2시에는 아트토크 '광주미술의 새로운 전망'이 개최된다. 지역 미술 시장에 대해 문제점과 과제, 대안 등을 논의하는 자리로 지역 미술이 자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이다. 아트토크에는 박구용 전남대 교수를 좌장으로 참석하며 정송규 무등현대미술관 관장, 문희영 예술공간 집 대표, 조덕진 무등일보 주필, 김허경 아시아현대미술연구소 대표, 김상연 작가, 임용현 작가가 참여한다.한희원 작 '푸른눈물'김허경 아시아현대미술연구소 대표는 "개인적으로 아트페어의 이상적 형태에 대해 고민하던 찰나 정송규 관장의 제안을 받고 이번 전시를 기획하게 됐다. 지원금이나 후원금이 없어야 순수한 나눔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생각해 지역 미술계의 많은 구성원들과 협력하게 됐고 이번 자리가 여러 구성원이 자유롭고 직접적인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장이 되길 바란다"며 "이번 전시를 시작으로 앞으로 1년에 한 번 정도 규모를 확장해 전시를 개최하려는 계획이다. 많은 시민이 관심 가져주길 바란다"고 말했다.김혜진기자 hj@mdilbo.com
- · 푸른 뱀 기운으로 일어서는 새해
- · 1월의 시작을 '우리 소리'와 함께
- · 클래식의 새로운 물결이 파도친다
- · "함께 애도합니다"···참사에 경제·문화계도 동참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