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익환' 그리고 '그 시대' 살아낸 우리의 이야기

입력 2024.11.24. 16:01 김종찬 기자
■ 뮤지컬 '늦봄의 길' 공연 후기
늦은 오후에 관객석 '만석'
민주화·평화통일 꿈 꿨던
북한 방문 등 사진·영상도
관객들 공연 집중도 올려
뮤지컬 '늦봄의 길' 공연 모습. 광주문화재단 제공

"더 이상 젊은 목숨이 민주주의의 제단에 바쳐지지 않도록 내가 이 자리에서 더욱 힘쓰겠소."

60대의 노구를 이끌고 민주화와 통일 운동의 길로 접어든 고 문익환(1918~1994) 목사의 이야기가 관객들의 마음에 커다란 울림을 전했다.

광주시와 광주문화재단은 지난 23일 오후 7시 빛고을시민문화관 2층 대공연장에서 민주화와 통일을 염원했던 고 문익환 목사를 기리는 뮤지컬 '늦봄의 길' 초연 무대를 선보였다.

뮤지컬 '늦봄의 길' 공연 모습. 광주문화재단 제공

토요일 늦은 시간이었지만 공연 시작 20분 전부터 20대부터 70~8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관객들이 200여 석의 대공연장을 가득 메웠다. 이들은 민주화 운동을 함께 했던시기를, 때로는 교과서나 인터넷에서의 문 목사를 생각하며 공연 시작을 기다렸다.

뮤지컬 '늦봄의 길' 공연 모습. 광주문화재단 제공

뮤지컬은 1970~80년대를 살아온 20대와 문 목사가 민주화와 통일운동에 뛰어들게 된 배경에 집중했다. 또 '서울의 봄', '학생운동은 안돼', '우린 겁내지 않아' 등 각 인물과 시대를 대변하는 노래도 관객들의 집중도를 끌어올렸다. 특히 문 목사의 삶을 대변하는 듯한 '서울의 봄'이 흘러나올 때 관객석에서는 단 하나의 숨소리조차 들리지 않았다.

뮤지컬 '늦봄의 길' 공연 모습. 광주문화재단 제공

공연은 고고장에서부터 시작한다. 1970년대 20대들의 자유가 분출되는 '고고장'을 관리하는 20대 남성'손주호'는 민주화 운동에 뛰어든 대학생 '이루다'를 보고 첫눈에 반한다. 하지만 의형제를 맺은 경찰이자 현실을 살아가는 형 '손세범'과의 갈등으로 민주화운동 참여를 꺼리다 결국 '이루다'와 함께하기로 결심한다.

뮤지컬 '늦봄의 길' 연습 모습. 광주문화재단 제공
뮤지컬 '늦봄의 길' 연습 모습. 광주문화재단 제공
뮤지컬 '늦봄의 길' 연습 모습. 광주문화재단 제공

한편 1970년대 초반 성경 번역에 열을 올리던 '문익환'은 가장 친한 친구이자 마음을 터놓는 사이였던 '장준하'가 군사독재 정부에 의해 의문사를 당한 장면에서 목놓아 울부짖고, 관객들도 덩달아 눈물을 훔쳤다. 문 목사는 친구 장준하의 삶을 돌아보다 민주화를 목놓아 부르는 젊은이들이 갖은 고문을 당하고 핍박받으며 결국 분신자살까지 이르는 상황을 보게되고, 이들을 지켜내기 위해 민주화와 통일운동의 길로 들어선다.

"'일제시대 때 대항하던 독립군 중 어느 누구도 스스로 목숨을 버리지 않았다. 싸워서 이겨내라'는 어머니의 말을 젊은이들에게 전하지 못한 내 죄가 크다. 아까운 목숨이 민주화의 제단에 바쳐지지 않도록 내가 이루겠다"고 말하는 문 목사의 대사 단 '한줄'이 그의 열망을 정리하는 듯 했다.

공연 끝부분에서는 '서울의 봄' 노래와 함께 1980년대 이후의 문 목사의 삶이 사진과 영상으로 무대를 지나갔다. 누군가는 문 목사의 방북 사진과 함께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의 남북정상회담 사진들이 흘러가자 관객석에서는 감탄과 탄식이 함께 했다.

김모(67·여)씨는 "처음엔 20대들의 이야기와 문 목사의 이야기가 따로 진행되는 듯 해서 이해가 어려웠다. 다만 공연 후반부에 이들이 함께 무대를 만들어가서 뒤늦게나마 공연의 방향을 이해할 수 있었다"며 "그 시대를 살아온 사람으로, 문 목사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의 삶을 공연으로 만날 수 있어서 행복했다"고 말했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3
후속기사 원해요
3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