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금병창 독주회 개최

을사년 1월의 시작을 알리는 가야금병창 명인이 펼치는 독주회가 관객들을 찾아온다.
황승옥 명창은 오는 11일 오후 3시 전통문화관 서석당에서 가야금병창 독주회를 진행한다.
광주시 무형문화제 제18호 가야금병창 예능보유자인 황승옥 명창은 완도에서 태어나 고 박귀희, 안숙선 명창에게 가야금 병창을 사사했다. 또 조통달·이연옥·강문득·이영희·선영숙·성심온·방성춘 선생의 가르침을 받았다. 지난 2001년에는 (사)한국전통문화연구회를 설립해 대한민국 빛고을 기악대제전을 통한 후학 양성과 전통음악 계승과 발전에 힘쓰고 있다.
유영대 전북도립국악원장의 사회로 진행되는 이날 독주회는 판소리 다섯 바탕 중 레퍼토리 확장 대목 전형과 기존 원형 눈 대목을 들어볼 수 있다.

황 명창은 독주회에서 심청가에서의 방아타령과 천지신령, 예소맹이, 감은 눈을 얼씨구나 절씨구를, 춘향가에서의 진양 사랑가와 중모리 사랑가, 쑥대머리를 부른다.
또 수궁가에서는 탑상을 탕탕, 뜻밖의 현운, 약성가, 여봐라 주부야, 여보나리, 고고천변을, 흥보가에서는 중내려온다, 구만리, 제비점고, 제비노정기 등을 노래한다. 제37회 전국고수대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김태영 고수도 함께 무대를 꾸민다.
황 명창은 "어린시절 '논개'라는 영화에서 주인공의 가야금 연주를 보고 감동받아 시작한 가야금병창을 한 지 어느덧 50년이 넘었다"며 "관객들이 2025년 첫 공연에 함께해서 따뜻한 격려를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황 명창은 지난 2007년부터 2015년까지 가야금병창전집 1·2·3권을 차례대로 발간했다. 전집 1권에는 가야금병창의 역사, 판소리 다섯 바탕의 오선보와 가사 해설 등을, 2권에는 단가의 오선보와 가사 해설, 단가의 정간보, 조선후기 판소리 발달 등을, 3권에서는 민요의 역사와 오선보, 국악가요와 불교·기독교 등 종교음악, 오선보 없는 민요 등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했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광주시청서 울려퍼지는 아름다운 하모니 콜레기움 무지쿰 서울 무대 공연장을 벗어난 열린 공간에서 예술단원과 관객이 함께 호흡하며 바로크 시대 명곡과 한국 가곡들을 감상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은 오는 28일 오후 6시 광주시청 시민홀에서 제144회 정기공연 '비발디 글로리아'를 선보인다.이번 공연은 기존의 공연 형식을 탈피해 눈길을 끈다. 공연장이라는 무대를 벗어나 시청 시민홀에서 더욱 많은 시민과 가까이에서 호흡하며 감동의 하모니를 펼칠 예정이다. 객석과 무대의 경계를 허묾으로써 공연장이 아닌 일상의 공간에서 시민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음악을 접할 수 있다.프로그램은 총 두 스테이지로 구성됐다. 첫 번째 무대는 한국의 대표적인 가곡과 동요들을 청아하고 맑은 목소리로 전한다. '비목', '가고파', '목련화', '아낌없이 꿈을 꾸는 별', '우리들의 세상', '신비한 노을 바다' 등 목가적이고 밝은 분위기의 곡을 노래한다.이어지는 무대는 비발디 '글로리아'이다. 이탈리아 출신의 안토니오 비발디가 1715년께 작곡한 곡으로, 그의 종교 음악 중 가장 친숙하고 대중적인 작품이다.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글로리아'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행해지는 미사곡의 한 부분이다. 미사 통상문 중 제2장 '글로리아'를 배경으로 작곡됐으며, '하늘 높은 데서는 하느님께 영광, 땅에서는 사람들에게 평화'라는 가사에 맞게 영광스럽고 웅장한 분위기로 연주된다.콘체르트처럼 빠르고 느림의 대비가 어우러진 기악이 특징이다. 두 명의 소프라노와 알토, 그리고 혼성 4부 합창으로 연주되며 총 열한 곡으로 구성됐다. 음악적 구성이 뛰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비발디의 '글로리아'는 그의 사후 1939년 이탈리아 작곡가 알프레드 카젤라가 악보를 재발견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특히 비발디 '글로리아' 공연은 바로크 분위기를 한층 높여줄 연주단과 무용수들의 협연으로 무대를 채워 의미를 더한다.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이날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은 바로크 음악을 전문으로 하는 연주 단체 콜레기움 무지쿰 서울과 함께한다. 2016년 창단된 콜레기움 무지쿰 서울은 바로크 시대의 기악곡을 중심으로 선보이는 시대악기 연주 단체다. 유럽과 미국에서 세계적인 바로크 연주자들과 함께 수학한 고악기 연주자들로 구성됐으며, 단순히 바로크 음악을 연주하는 것뿐만 아니라 '역사주의 연주'를 본격적으로 선보이는 것을 지향한다. 역사주의 연주는 작품이 쓰인 당대의 시대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되 오늘날의 관점으로 재구성하는 연주법이다. 콜레기움 무지쿰 서울은 창단 이후 바로크 전문 합창단 콜레기움 보칼레 서울과 파트너십을 가지고 협연하고 있다.또한 특별출연으로 광주시립발레단의 무용수 네 명이 무대에 오른다. 비발디 '글로리아' 중 일부 곡들에 맞춰 화려하고 섬세한 무용을 선보이며 곡 특유의 우아하고 고전적인 감성을 돋워준다.권기원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 상임지휘자권기원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 상임지휘자는 "문화 예술이 우리 삶 가까이에서 숨 쉬고, 시민들이 편안한 공간에서 음악과 무용이 함께하는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기획했다"며 "공연장을 찾지 않아도 일상에서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연주회인 만큼, 많은 분이 함께하길 바란다"고 전했다.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 제144회 정기공연 '비발디 글로리아'는 시민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일정과 내용은 광주예술의전당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 광주시향이 선물하는 드뷔시·드보르작
- · 오감으로 느끼는 디지털 사회의 이면
- · "폐기물 악기가 전해주는 선율 신기해요"
- · "다양한 관객 만날 수 있어 감사"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