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천년사' 발간 가능할까···편찬위·시민단체 갈등 '심화'

입력 2023.07.26. 18:53 이관우 기자
편찬위 "비합리적인 시민단체 문제제기 유감"
시민단체 "역사왜곡…전권 폐기·사과 마땅"
바른역사시민연대, 전라도오천년바로잡기500만 전라도민연대, 광주전남민주화운동동지회 등 시민사회 일동이 26일 광주시의회 시민소통실에서 친일사관 역사왜곡 전라도 천년사 전 34권 폐기 촉구 기자회견를 갖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

호남권 3개 광역자치단체가 전라도 정도 천년을 맞아 추진한 역사서 편찬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지난해 말 '전라도천년사' 편찬 마무리 단계에서 일부 시민사회단체가 식민사관에 근거해 역사가 서술된 점을 문제 삼으면서 역사왜곡 논란이 불거지기 시작했다. 시민단체가 지적한 문제는 일본서기 지명 활용, 마한 역사 존속시기, 임나가라 위치 등이다.

현재 발간을 반대하는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 측에선 역사왜곡을 바로잡기 위해 전권 폐기를 주장하고 있는 반면 전라도천년사 편찬위원회(편찬위) 측은 발간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첨예한 대립 양상을 보이고 있다.

광주와 전남·북 등 3개 지자체는 지난 2018~2022년 전라도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 안내서이자, 한국사 속 전라도 역사가 새롭게 인식되는 초석을 만들겠다는 목표로 전라도천년사 편찬 사업을 벌였다.

24억원이 투입됐으며 역사·문화·예술 각 분야 전문가 213명의 집필진이 참여해 총 34권 1만3천559쪽에 달하는 전례 없는 대규모 공동 편찬 역사서가 탄생했다.

편찬위는 26일 전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라도천년사에 대한 시민단체의 문제 제기가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학문적 토론으로 진행되지 않은 점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그러면서 전라도천년사는 식민사관을 극복한 극일사학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전라도천년사 공람의견 접수 결과와 공개 학술토론회 일정을 공유했다.

앞서 편찬위는 역사왜곡 논란 등 잡음이 계속되자 e북으로 집필 내용을 공개하고 시·도민들로부터 전라도천년사 공람의견을 접수 받았다.

지난 4월 24일~7월 9일 2차례 접수 결과 최종 73명 157건(1차 32명 82건, 2차 41명 75건)의 공람의견 내용이 접수됐다. 대부분 고대사에 집중돼 있었고 마한 존속시기, 가야사 관련 일본서기·지명 사용 등 내용이 많았다는 게 편찬위 측 설명이다.

편찬위는 공람의견 내용을 검토하고, 의견수렴 내용 중 공통된 주제를 중심으로 내달 중 광주와 전남·전 3개 지자체에서 공개 학술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후 공개 학술토론회 결과를 반영해 전라도천년사 문구 수정·발행 여부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

광주와 전남·북 시민단체는 이날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라도천년사 전권 폐기를 촉구했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전라도천년사는 대한민국 역사와 전라도 역사를 식민사관으로 왜곡하고 분절했다"며 "이 역사서가 발간되면 일본 극우세력은 쌍수를 들고 환영하며 전 세계에 퍼뜨릴 것이다. 3개 지자체장은 34권 전권을 즉각 폐기하고, 편찬위는 국민과 호남민에게 공개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관우기자 redkcow@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5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