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갑 83% 최고…동남을 최저
전남 2개 선거구 70% 이상 '압도적'
5060 높은 찬성률, 학생은 낮아
광주 6개 선거구와 전남 2개 선거구에서는 광주 군·민간공항을 무안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특히 최근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의 2차 회동으로 광주 군·민간공항의 무안 이전 가능성이 높아진 점이 지역민들의 높은 찬성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4·10 총선을 100여일 앞두고 무등일보와 뉴시스광주전남본부, 전남일보, 광주MBC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2월 26일부터 29일까지 광주 6개 국회의원 선거구와 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 해남완도진도 선거구 등 관심 선거구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4천43명을 대상으로 '광주 군공항·민간공항 무안 이전 찬반'을 물어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선거구 별로는 광주 군·민간공항이 위치한 광산갑은 찬성 83%로 8개 조사 선거구 중 유일하게 80%를 넘는 등 가장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이어 서구갑 75%, 동남갑 73%, 북구을 71%, 서구을 70% 순이었으며, 동남을은 68%로 가장 낮은 찬성률을 기록했다.
고흥보성장흥강진 선거구는 찬성 71%, 해남완도진도 선거구는 찬성 78%였다.
전체적으로 중장년층의 찬성률이 청년층보다 높았다.
동남갑 선거구는 50대의 84%가 무안 이전을 찬성했으며, 30·40대가 각각 78%, 70대 이상이 75%의 찬성률을 보였며, 18~29세가 52%의 찬성률로 가장 낮았다. 직업별로는 자영업과 무직·기타가 82%, 블루칼라가 81% 찬성했으며, 화이트칼라가 71%였다. 학생은 50% 찬성으로 가장 낮았다.
동남을은 70대 이상이 76%, 60대가 73%의 찬성률을 보였으며, 직업별로는 무직·기타가 83%, 블루칼라가 79%의 찬성률을 보였다. 또 서구갑은 50대 84%, 60대 83%의 찬성률을, 자영업과 화이트칼라가 81%의 찬성률을 보였다.
서구을은 50대가 80%, 60대와 70대 이상이 71%의 찬성률을 보였으며, 농·임·수산업 81%, 블루칼라79%의 찬성률을 보였다.
북구을은 50대 83%, 60대 82%의 찬성률을, 농·임·수산업은 100%, 자영업이 86%의 찬성률을 보였다. 특히 광산갑은 60대가 91%, 50대가 89%의 찬성률을, 농·임·수산업이 95%, 자영업이 91%의 찬성률을 보이는 등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이전 찬성률을 보였다.
고흥보성장흥강진 선거구는 50대가 84%, 60대가 75%의 찬성률은, 화이트칼라가 88%, 자영업이 76%의 찬성률을 보였다.해남완도진도 선거구는 60대가 86%, 30·40대가 각각 84%의 찬성률을, 무직·기타가 89%, 화이트칼라가 83%의 찬성률을 보였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안심)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광주동남갑 15.6% 동남을 17.2% 서구갑 13.9% 서구을13.0% 북구을 15.5% 광산갑 16.4% 고흥보성장흥강진 24.9% 해남완도진도 22.7%다. 표본오차는 광주 6개 선거구에서 각각 95% 신뢰수준에 ±4.4%p, 전남 2개 선거구에서 ±4.3%p다. 통계보정은 2023년 1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에 따라 성·연령·지역별 가중치(셀가중)를 부여해 이뤄졌다. 자세한 내용은 무등일보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선정태기자 wordflow@mdilbo.com
- '고향사랑기부제' 대박 지자체, '이것'부터 달랐다 대전시와 대전 중구가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으로 내건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덩달아 기부액도 증가했다. 고향사랑기부제 성과가 두드러진 지자체는 답례품과 지정기부부터 달랐다. 지자체가 치열하게 고민해 내놓은 지역만의 차별화된 상품에 기부자들은 기꺼이 손길을 내밀었다. 지자체로서는 의미 있는 사업들을 발굴해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기부자들은 효능감을 얻는 '두마리 토끼'를 잡은 셈이다.특히 전국의 고향사랑기부제를 주도하는 광주와 전남의 경우 '지정기부'를 효과적으로 활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2일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고향사랑 기부 실적'을 살펴보면, 시민이 선호하면서도 차별성 있는 답례품을 제시한 지자체의 기부금 증가가 눈에 띄었다.지역사랑상품권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판매된 답례품은 대전시와 대전 중구의 공통 답례품인 성심당 상품권(3만원)으로 총 1억4천19만원(4천703건)이 팔렸다. 이어 제주특별자치도의 귤로장생 노지감귤 1억3천647만원(5천292건), 충남 논산시의 겨울시즌 논산딸기 1억120만원(3천587건), 강원 속초시의 만석닭강정 9천225만원(3천75건) 순이다.젊은층에게 큰 관심을 받는 성심당이 답례품으로 나오면서 젊은층의 기부가 늘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10만원까지는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기부 유인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된다.광주 동구 임택 청장과 고향사랑팀 직원들이 동구 고향사랑기부제에 대해 논의하는 모습. /광주 동구그러면서 대전시와 대전 중구의 기부 실적은 크게 늘었다. 대전시의 고향사랑기부제 실적은 총 6억8천500만원으로, 1년 전(1억2천270만원)보다 6배가량 증가했다. 대전 중구 마찬가지로 같은 기간 1억500만원에서 8억700만원으로 7배 이상 늘었다.광주시와 전남은 고향사랑기부제의 지정기부제도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주목할 만한 결과를 이끌어냈다. 지정기부제도는 지자체가 지역에서 필요한 사업을 찾아 모금하는 것으로, 기부자는 기부감의 사용처를 특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용감이 높다.대표적으로 광주 동구는 인구가 10만명가량으로 지자체 중에서 소규모에 불과한데도 지난해 24억원가량의 고향사랑기부금을 끌어냈다. 이는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금액이다.비결은 동구가 시민이 공감할 만한 기부 사업을 발굴한 것은 물론 기부 활성화를 위해 민간플랫폼을 적극 활용한 데 있다. 동구는 지정기부로 '광주극장 100년 프로젝트', '발달장애 청소년 E.T 야구단 지원사업', '유기동물 구조·보호 지원 사업' 등을 했다. 이 사업들은 지역민뿐 아니라 문화 예술에 관심 있는 기부자들의 공감을 얻으며 성공적으로 모금을 끌어냈다.특히 광주극장은 광주에서 가장 오래된 극장이자 한국에서 두번째로 오래된 극장이다. 도시의 역사와 시민들의 기억을 간직하고 있는 광주극장에 대한 관심은 광주를 넘어 출향한 시민들에게도 큰 관심을 받았다.또 전남의 기초자치단체는 지역의 열악한 의료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정 기부로 기부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곡성의 '소아과를 선물하세요', 영암의 '고향사랑 소아청소년과 운영' 등이 대표적이다.그러면서 곡성은 2024년 모금액이 10억원을 돌파했다. 2023년(3억3천만원)에 비해 3배 넘게 증가한 셈이다. 이 중 지정기부로 모은 게 절반이 넘는 5억4천만원이다. 영암도 2024년 18여억원을 모금했다. 그 결과로 곡성이나 영암에 소아과가 생긴 건 말할 것도 없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고향사랑 마음, 광주와 전남이 '주도'
- · 광주시, '청년13(일+삶)통장' 참여자 모집
- · 형평성과 예산 부담 사이···광주 노인 '무임승차' 어쩌나
- · 광주관광공사 '조직 효율화' 진통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