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자 50% 안팎 최우선 과제 꼽아
광주전남 상생·복합쇼핑몰 등 관심
광주 6개 선거구 지역민들은 새해 들어 우선 해결돼야 할 지역 현안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꼽았다.
4·10 22대 총선을 100일 앞두고 무등일보와 뉴시스 광주전남본부, 전남일보, 광주MBC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이 지난해 12월 26일부터 29일까지 광주 6개 관심 선거구를 대상으로 '우선 해결돼야 할 광주 현안'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광주 관심 선거구 6곳(동남갑·동남을·서구갑·서구을·북구을·광산갑) 응답자의 절반가량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선거구별로 응답자의 47%에서 최대 57%가 경제·일자리 현안이 시급하다고 봤다.
선거구별 순위 차이는 있지만 ▲공항 이전 ▲광주·전남 상생 ▲복합쇼핑몰 등도 대체로 10% 안팎 고르게 응답이 나와, 해결이 필요한 주요 현안으로 꼽혔다.
특히 공항이 위치한 광산갑에서는 공항 이전(19%)을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자 비율이 지역경제 활성화·일자리 창출(47%)에 이어 많았다. 다른 선거구 내 '공항 이전' 응답 비율보다도 4%~13% 포인트 더 높았다.
반면 '5·18 갈등 해소'와 '광주~대구 달빛철도 조기 착공'을 우선 현안으로 꼽은 응답자는 선거구 6곳 모두 10% 미만으로 집계돼 다른 현안과 비교할 때 우선순위가 높지 않았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광주 관심 선거구 6곳(동남갑, 동남을, 서구갑, 서구을, 북구을, 광산갑) 지역민 2만 17명과 전화 연결해 3천25명이 응답했다. 응답률은 각 선거구마다 13%~17.2%였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광주 지역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 포인트다. 피조사자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2023년 11월 말)에 따라 성별·연령대·지역별 가중값(셀 가중)을 부여했으며, 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한 휴대전화 가상(안심)번호 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진행했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고향사랑기부제' 대박 지자체, '이것'부터 달랐다 대전시와 대전 중구가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으로 내건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덩달아 기부액도 증가했다. 고향사랑기부제 성과가 두드러진 지자체는 답례품과 지정기부부터 달랐다. 지자체가 치열하게 고민해 내놓은 지역만의 차별화된 상품에 기부자들은 기꺼이 손길을 내밀었다. 지자체로서는 의미 있는 사업들을 발굴해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기부자들은 효능감을 얻는 '두마리 토끼'를 잡은 셈이다.특히 전국의 고향사랑기부제를 주도하는 광주와 전남의 경우 '지정기부'를 효과적으로 활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2일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고향사랑 기부 실적'을 살펴보면, 시민이 선호하면서도 차별성 있는 답례품을 제시한 지자체의 기부금 증가가 눈에 띄었다.지역사랑상품권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판매된 답례품은 대전시와 대전 중구의 공통 답례품인 성심당 상품권(3만원)으로 총 1억4천19만원(4천703건)이 팔렸다. 이어 제주특별자치도의 귤로장생 노지감귤 1억3천647만원(5천292건), 충남 논산시의 겨울시즌 논산딸기 1억120만원(3천587건), 강원 속초시의 만석닭강정 9천225만원(3천75건) 순이다.젊은층에게 큰 관심을 받는 성심당이 답례품으로 나오면서 젊은층의 기부가 늘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10만원까지는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기부 유인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된다.광주 동구 임택 청장과 고향사랑팀 직원들이 동구 고향사랑기부제에 대해 논의하는 모습. /광주 동구그러면서 대전시와 대전 중구의 기부 실적은 크게 늘었다. 대전시의 고향사랑기부제 실적은 총 6억8천500만원으로, 1년 전(1억2천270만원)보다 6배가량 증가했다. 대전 중구 마찬가지로 같은 기간 1억500만원에서 8억700만원으로 7배 이상 늘었다.광주시와 전남은 고향사랑기부제의 지정기부제도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주목할 만한 결과를 이끌어냈다. 지정기부제도는 지자체가 지역에서 필요한 사업을 찾아 모금하는 것으로, 기부자는 기부감의 사용처를 특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용감이 높다.대표적으로 광주 동구는 인구가 10만명가량으로 지자체 중에서 소규모에 불과한데도 지난해 24억원가량의 고향사랑기부금을 끌어냈다. 이는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금액이다.비결은 동구가 시민이 공감할 만한 기부 사업을 발굴한 것은 물론 기부 활성화를 위해 민간플랫폼을 적극 활용한 데 있다. 동구는 지정기부로 '광주극장 100년 프로젝트', '발달장애 청소년 E.T 야구단 지원사업', '유기동물 구조·보호 지원 사업' 등을 했다. 이 사업들은 지역민뿐 아니라 문화 예술에 관심 있는 기부자들의 공감을 얻으며 성공적으로 모금을 끌어냈다.특히 광주극장은 광주에서 가장 오래된 극장이자 한국에서 두번째로 오래된 극장이다. 도시의 역사와 시민들의 기억을 간직하고 있는 광주극장에 대한 관심은 광주를 넘어 출향한 시민들에게도 큰 관심을 받았다.또 전남의 기초자치단체는 지역의 열악한 의료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정 기부로 기부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곡성의 '소아과를 선물하세요', 영암의 '고향사랑 소아청소년과 운영' 등이 대표적이다.그러면서 곡성은 2024년 모금액이 10억원을 돌파했다. 2023년(3억3천만원)에 비해 3배 넘게 증가한 셈이다. 이 중 지정기부로 모은 게 절반이 넘는 5억4천만원이다. 영암도 2024년 18여억원을 모금했다. 그 결과로 곡성이나 영암에 소아과가 생긴 건 말할 것도 없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고향사랑 마음, 광주와 전남이 '주도'
- · 광주시, '청년13(일+삶)통장' 참여자 모집
- · 형평성과 예산 부담 사이···광주 노인 '무임승차' 어쩌나
- · 광주관광공사 '조직 효율화' 진통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