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쇼핑몰 적정 개수 1~2개로 응답
광주 6개 선거구에서 강기정 광주시장의 복합쇼핑몰 추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부정적인 평가보다 두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지역 복합쇼핑몰의 적정 개수로는 1~2개라는 응답이 많았다.
4·10 총선을 100여일 앞두고 무등일보와 뉴시스 광주전남본부, 전남일보, 광주MBC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코리아리서치가 지난해 12월26일부터 29일까지 광주 동남갑, 동남을, 서구갑, 서구을, 북구을, 광산구갑 등 6개 관심 선거구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3천25명을 대상으로 '강기정 시장 복합쇼핑몰 추진 평가'와 '복합쇼핑몰 적정 개수'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강 시장의 복합쇼핑몰 추진에 대해 6개 선거구 모두에서 긍정 평가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긍정(매우+잘하고 있는 편) 평가 응답자는 광주 동남갑 66%, 동남을 64%, 서구갑 64%, 서구을 63%, 북구을 60%, 광산구갑 66%를 차지했다. 반면 부정(매우+잘못하고 있는 편) 평가 응답자는 광주 동남갑 25%, 동남을 27%, 서구갑 26%, 서구을 28%, 북구을 30%, 광산구갑 25%에 그쳤다.
'모름·무응답'은 광주 동남갑 10%, 동남을 9%, 서구갑 9%, 서구을 9%, 북구을 10%, 광산구갑 9%다.
광주지역 복합쇼핑몰 적정 개수에 대한 물음에는 1개와 2개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복합쇼핑몰 1개가 적정하다'고 본 응답자는 광주 동남갑 35%, 동남을 41%, 서구갑 40%, 서구을 40%, 북구을 39%, 광산구갑 37%로 조사됐다. '복합쇼핑몰 2개가 적정하다'고 본 응답자는 광주 동남갑 40%, 동남을 35%, 서구갑 35%, 서구을 32%, 북구을 34%, 광산구갑 35%였다.
'복합쇼핑몰 3개 이상'이라고 본 응답자는 광주 동남갑 18%, 동남을 16%, 서구갑 18%, 서구을 19%, 북구을 19%, 광산구갑 20%에 그쳤다. '모름·무응답'은 광주 동남갑 7%, 동남을 8%, 서구갑 7%, 서구을 8%, 북구을 9%, 광산구갑 8%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안심)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동남갑 15.6%, 동남을 17.2%, 서구갑 13.9%, 서구을 13.0%, 북구을 15.5%, 광산구갑 16.4%다. 표본오차는 광주 6개 선거구에서 각각 95% 신뢰수준에 ±4.4%p다.
통계보정은 2023년 1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에 따라 성·연령·지역별 가중치(셀가중)를 부여해 이뤄졌다. 자세한 내용은 무등일보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트럼프 2기 통상정책...지역 경제계도 예의주시 기아 오토랜드 광주에서 조립 중인 셀토스. 기아 제공트럼프 2기 행정부가 본격 출범하면서 '미국 우선주의'로 대변되는 통상정책을 두고 지역 경제계가 예의 주시하고 있다.보편관세가 현실화되지 않은 데다 지역 내 주력산업인 자동차와 가전 등이 직접적인 영향권에서 벗어나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지만 통상정책에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에서 상황변화를 염두에 둔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21일 지역경제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우려했던 '관세 폭탄'을 시행하지 않고 부과가능성만을 열어뒀다.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글로벌 보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출범 전부터 제시해 왔다는 점에서 '불확실성'만 더욱 커진 상황을 지켜보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 외엔 이렇다 할 방안 마련은 시기상조라는 것이다.특히 광주·전남의 경우 대미 수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데다 반도체와 전기차 등 큰 타격이 우려되는 분야와 연관성이 낮아 현재까진 '새로운 통상정책으로 인한 피해가 낮을 것'이라는 반응도 나온다.실제로 지난해 우리나라 대미 수출액 1천277억 8천647만 7천 달러 중 광주·전남 비중은 6.44% 수준인 82억 2천900만 달러에 불과하다.지역별로도 광주 수출액 중 대미 수출액은 전체 수출의 30.3% 수준인 47억 2천200만 달러이며 전남은 7.71%인 35억 700만 달러에 그치고 있다.여기에 주력산업인 자동차와 가전 역시 지역업체가 완제품을 수출하는 구조가 아닌 기아와 삼성전자에 부품을 공급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대기업 상황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수밖에 없다.하지만 기아 오토랜드 광주 역시 미국 주력 수출 제품인 스포티지가 미국 현지 공장에서도 생산되고 있는 데다 관세 논란 가능성이 있는 멕시코 공장의 생산 차종과도 전혀 연관이 없어 현재로서는 지켜보는 것 외에 이렇다 할 대안 마련은 없다는 입장이다.'글로벌 스마트가전 생산거점'으로 마더팩토리 역할을 맡고 있는 삼성전자 광주사업장도 상황에 따른 대책 마련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그러나 일각에선 보편관세 등으로 전반적인 경제 악영향이 불가피한 만큼 지역 경제계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강조병 광주상의 기획조사본부장은 "지역 주력산업 구조가 완제품 생산 수출보단 부품 공급에 방점이 찍혀 있는 데다 피해 우려 산업이 지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하다고 봐야 한다"며 "아직 명확하게 정해진 것이 없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지역 업체들도 특별한 대책보단 상황 변화를 예의 주시하고 있는 단계"라고 밝혔다.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광주시, 전국기능경기대회 예산 '싹둑'···대회 차질 빚나
- · "주택시장 위기 대응을 위해 모든 역량 결집하겠다"
- · ‘고사 직전' 광주 관광업 "업종별·관광객 수송지원 등 시급"
- · 광주신세계, 금호아트홀 대신할 문화 공연장 검토한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