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새 인상폭만 30원대…상승곡선 가파라
국제유가 하향안정화 전망…완화 가능성도

이란-이스라엘 분쟁 이후 국내유가가 급격하게 치솟고 있다.
광주지역 휘발유와 경유 평균가격도 최근 2주 새 30원 이상 급등하는 등 상승곡선이 가팔라지고 있다.
24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광주지역 평균 휘발유 가격은 전날보다 6.24원 오른 1천647.89원을 기록했다. 경유도 5.15원 오른 1천517.42원이다.
이스라엘과 분쟁 중인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 봉쇄카드를 꺼내든 지난 22일부터 국내유가는 급격한 상승곡선을 그렸다.
전국적으로 휘발유 가격은 이틀 동안 1천653원에서 1천667원으로, 경유 가격도 1천516원에서 1천531원으로 각각 14원, 15원이 올랐다.
광주 역시 휘발유는 1천635원에서 1천648원으로, 경유는 1천504원에서 1천517원으로 오르는 등 올 들어 가장 가파란 가격 상승을 보였다.
이란-이스라엘 분쟁 격화로 국내 경제가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국내 유가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 상승세를 보여온 국제유가의 국내 반영이 2~3주 시차를 두고 이뤄진다는 점에서 그동안 꾸준히 기름값 상승 우려가 제기돼 왔다는 것 역시 이번 상승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이 같은 상승세가 계속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국내 관련 업계에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개입으로 이란-이스라엘 분쟁이 소강국면에 접어들면서 국제유가가 하향 안정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다.
분쟁 발발 이후 60달러 선에서 70달러선으로 오르는 등 상승하던 두바이유의 경우 지난 23일 기준으로 전날보다 1.13달러 하락한 75.71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국제휘발유와 경유 역시 전 거래일보다 각각 0.56달러, 3.1달러 내린 87.44달러, 94.71달러였다.
한 운전자는 "갑자기 휘발유 가격이 많이 올라 부담스럽다"며 "갈수록 가벼워지는 지갑에 유류비마저 크게 오르면 더 팍팍 해 질 수밖에 없다. 차를 안 타고 다닐 수도 없어 더 체감이 큰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현재 휘발유 평균 가격이 가장 저렴한 지역은 1천643원인 광산구이며 1천662원인 동구가 가장 평균가격이 높았다. 경유도 가장 저렴한 지역은 광산구(1천509원)이며 서구(1천531원)가 가장 비쌌다.
현재 광주지역 휘발유 최저가는 1천569원, 최고가는 1천799원이며 경유는 최저 1천439원, 최고 1천729원이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한 통에 3만원?"···수박값도 덥다, 여름 과일값 폭등 15일 광주 동구 한 과일가게에 수박과 참외 등이 진열돼 있다. #광주 동구에서 과일가게를 운영하는 A씨는 요즘 들어 과일 판매가 부쩍 힘들어졌다. 이른 아침 과일도매공판장에서 제철 과일을 공수해왔지만, 가격이 급등한 탓에 소비자 지갑이 쉽사리 열리지 않고 있어서다. A씨는 "한 달 새 수박 가격이 1만원 가까이 더 비싸졌다. 자두도 5kg 한 박스에 2만원으로 2배 가량 올라 팔기도 부담스러워졌다"고 토로했다.여름철 대표 과일인 수박 한 통 가격이 3만원을 넘기는 등 여름철 과일 가격이 치솟고 있다.기후 영향으로 생육이 부진해지거나 출하가 지연된 가운데 이른 폭염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다.전문가는 이달 하순께 출하량이 안정되면 과일 가격이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당분간 제철 과일의 가격 고공행진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1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KAMIS에 따르면 광주 지역 수박(상품)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 10일 3만원대를 넘겼다. 전날에는 3만933원을 기록했다. 이는 한 달새 41.39%가 오른 것으로 평년(2만1천21원)보다도 47.15% 더 비싼 수준이다.비교적 저렴한 수박 중품도 지난 7일 2만원대로 올랐다. 한 달새 42.51%가 올라 2만6천600원에 판매됐다. 평년(1만9천28원)과 비교하면 7천572원 더 올랐다.이달들어 수박 가격이 급등한 데는 '출하 지연'과 '수요 급증'이 원인으로 꼽힌다.정식기 때 기온이 낮았고 일조량까지 줄어들자, 충북 음성군과 경북 봉화군에서 수박 출하가 지연됐다. 여기에 7월 상순 유래없는 이른 폭염이 찾아오면서 소비량이 대폭 늘어나 가격이 치솟은 것으로 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분석했다.평년 가격을 보이던 참외 가격도 급등하기는 마찬가지다.참외 상품 10개당 소매가는 전날 2만2천333원을 기록했다. 전월 1만9천336원에서 지난 9일 1만4천900원으로 가격이 하락했다가, 10일 2만2천133원으로 하룻새 7천233원이 올랐다.중품으로 분류된 참외 가격도 1만3천100원으로 평년(1만685원)과 전년(1만1천637원)보다 각각 22.60%, 12.57% 상승했다.여름철 인기 과일 중 하나인 복숭아(백도) 가격도 치솟았다.백도 상품은 전날 10개당 2만8천567원에 거래됐다. 평년과 전년 대비 각각 8천원 가까이 가격이 오른 셈이다.백도 중품의 경우 같은날 평균 2만8천500원에 팔려 상품과 가격 차이가 나지 않는 수준까지 치솟았다. 평년 가격은 1만7천774원였음을 감안할때 무려 60.34% 올랐다.전문가들은 제철 과일 가격이 이달 하순부턴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예측했다.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7월 상순에는 유래없는 폭염에 수박을 찾는 수요가 늘었다. 출하가 지연되긴 했지만, 공급량이 지난해에 비해서 줄었다고 보긴 어렵다"면서 "이달 하순께 상순 대비 기온이 떨어지고, 비 소식도 예보된 만큼 수요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경북 봉하군과 강원도 양구, 고창 등 작황이 양호해 큰 수요 증가가 없다면 가격이 안정세를 찾을 것"이라고 내다봤다.이어 "복숭아의 경우 봄철 4월과 5월 이어진 저온으로 생육이 지연돼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가격이 올랐다. 또 7월 긴 장마가 오면 품질이 떨어져 가격이 떨어지기도 하는데, 이번 짧은 장마로 오히려 당도가 높아 품질이 좋다"며 "현재 지연된 물량이 출하되면 현재 수준보다는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광주 1만4천세대 도시가스 미공급···요금 인상 '딜레마'
- · 안정세 보인 광주 기름값···하락전환 될까
- · 지역 중장년 60% 이상 일터로···노후는 '공적연금·저축'에 집중
- · 보증 수요 늘고 부실은 커지고···지역 소상공인 경영 '빨간불'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