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려가던 국제유가 다시 상승세로 전환
대내외 불확실성 속 인하 계속될진 미지수

지난해 10월부터 상승세를 이어온 기름값이 하락세로 돌아섰지만 실질적인 체감효과를 느끼기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유류세 인하폭 조정 전부터 주당 평균 10원 가까이 오름세를 이어왔지만 떨어진 금액은 2~3원에 불과한 데다 하락세가 오래 지속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12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전국 평균 휘발유가격은 전날보다 0.46원 내린 1천730.51원이며 경유는 0.43원 내린 1천596.22원이다.
휘발유 1천733원, 경유 1천598원을 최고점으로 최근 5일 새 휘발유와 경유 모두 2원가량 내린 셈이다.
광주지역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 7일 1천719원이던 휘발유는 이날 현재 1천716.81원(판매가 1천717원)으로, 경유는 1천588원에서 1천584.82원(판매가 1천585원)으로 각각 2원과 3원 내렸다.
하지만 지난해 10월부터 16주간 기름값이 오르던 동안 상승분이 휘발유는 180원, 경유는 198원으로 평균적으로 주당 10원가량 올랐다는 점에서 현재의 하락세는 체감하기 힘들 정도로 낮은 수준이다.
평균 2~3원이 낮아졌다고는 하지만 주유소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에게는 '전혀 변화가 없다'는 불만이 나올 정도다.
한 운전자는 "주유소를 지나갈 때마다 휘발유 가격이 얼마인지 습관처럼 확인하고 있는데 가격이 내렸다는 느낌조차 들지 않는다"며 "최소한 몇십 원씩 내려야 어느 정도 체감되지 않겠냐"고 말했다.
이번 하락세는 최근 환율 상승세가 둔화된 영향으로 풀이되지만 대내외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에서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다시 상승 전환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국내 유가에 2~3주 차이로 반영되고 있는 국제유가가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는 점에서 상승 전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국제 유가의 기준점인 두바이유의 경우 올 들어 75.18달러로 출발해 84.61달러까지 상승했다가 이달 들어 79달러선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6일 기준 77.45달러까지 하락했다가 다시 상승세로 전환돼 11일 기준 79.30달러까지 올랐다.
한편 이날 광주지역 휘발유 한편 이날 현재 광주 지역 휘발유 최저가는 1천655원, 최고가는 1천839원이며 경유 최저가는 1천498원, 최고가는 1천729원이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상춘객 와야 하는데 구제역···'웃픈' 봄맞이 20일 영암과 무안 총 12개의 한우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가운데, 영암의 한 한우농가에서 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전라남도 제공. 영암과 무안 등에서 구제역이 잇따라 발생한 가운데, 봄맞이 행사로 전남을 찾는 관광객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방역당국과 축산농가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구제역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당국의 노력으로 현재 다른 지역으로의 추가 확산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지만, 대규모 관광객들의 유입이 구제역 확산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보다 철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20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이날 구제역 발생 농가는 영암 11곳, 무안 1곳 등 총 12곳이다.이에 전남도는 영암과 무안, 나주, 화순, 강진, 해남, 목포, 함평, 신안, 장흥 등 10개 시·군의 구제역 위기 경보를 '심각'으로 상향시켰다.구제역 위기 경보 상향에 강진 '전라병영성축제', 영암 '왕인 문화축제', 신안 '섬 수선화 축제'와 '1004섬 목련 축제'가 연기됐다. 무안 '운남 돈·세·고 축제' 등은 일정을 미루고 방역에 집중하기로 했다.혹시 모를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구제역 발생지역 인근 지자체마다 선제 대응에 나선 셈이다.하지만 경기 침체 속에 지역 경제 활성화를 이끌 봄맞이 행사, 즉 축제를 무조건 포기할 수 없다는 점에서 구제역 발생지역과 관계없는 지역에선 예정대로 축제를 개최할 예정이다.또 해남 '달마고도 힐링축제'(3월15일~4월5일)와 구례 '300리 벚꽃축제'(3월28일~31일), 여수 '영취산 진달래축제'(3월22일~23일), 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3월29일~4월1일), 완도 '청산도 슬로걷기축제'(3월15일~4월5일), 보성 '벚꽃축제'(3월29일~30일) 등은 기존 일정대로 추진된다.하지만 이같은 축제는 필연적으로 대규모 인파 이동이 불가피해 방역차단선이 무너질 수 있다는 점에서 축산농가들로선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나주 관정동에서 한우농장을 운영 중인 김모(63)씨는 "지역 축제에서는 해당 지역 뿐 아니라 전국 각지의 사람들이 몰리는데, 구제역은 비말(콧물·침), 호흡, 차량, 물 등 수많은 감염 경로가 존재해 영암과 무안뿐만이 아닌 전남 전역에 대유행으로 퍼질 수 있다"며 "최소한 구제역 항체가 형성되는 기간만이라도 지역 축제를 미뤄 방역 위험을 막아야 한다"고 우려했다.방역을 이유로 축제를 전면 취소할 순 없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전남도는 축제와 방역을 철저히 분리하겠다는 방침이다.구제역 발생 지역에 대한 외부 접근을 철저히 차단해 추가 확산 예방과 더불어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는 각오다.전남도 관계자는 "각 지자체가 주최하는 축제를 도에서 행정적으로 막을 순 없지만, 축제 유동인구와 축산농가 사이의 접촉이 없도록 하겠다"면서 "축제 내에서 축산과 관련된 프로그램은 진행시킬 수 없도록 하고, 농가 종사자와 축제 참가자 간의 접촉도 막아 방역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차솔빈 기자
- · 홍콩거리·와이즈파크 개발 '난항'···충장상권 활성화 차질빚나
- · 광주·전남 1인가구 증가···경제 발전 불균형 우려
- · 광주 휘발유 최저 1천500원대 진입
- · 실증도시 광주, 창업기업들 몰려들어 '이젠 전국구'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