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겹살, 김밥, 냉면, 김치찌개백반 뒤이어

지난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8개 외식 메뉴의 가격이 광주지역에서는 평균 4.5% 인상돼 런치플레이션('점심'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 점심 지출이 늘어난 현상 의미)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 선호 8개 외식 메뉴(김밥, 냉면, 비빔밥, 김치찌개백반, 자장면, 삼계탕, 삼겹살, 칼국수)의 광주 기준 평균 가격 상승률은 4.5% 수준으로 나타났다.
메뉴별로는 2023년 12월 8천200원이었던 칼국수 1인분이 지난달 9천100원으로 10.9% 올라 가장 상승폭이 컸다.
같은기간 비빔밥은 1인분에 9천900원에서 1만500원으로 6.0% 인상됐다.
이어 삼겹살 200g(1만4천844원→1만5천711원) 5.8%, 김밥 1줄(3천160원→3천340원) 5.6%, 냉면 1인분(9천400원→9천900원) 5.3%, 김치찌개백반 1인분(8천원→8천200원) 2.5% 등 각각 오름세를 보였다.
삼계탕과 자장면은 각각 1만6천400원, 6천800원으로 동일했다.
지속된 고물가에 외식물가 상승도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광주지역 '음식 및 숙박' 항목의 소비자물가지수는 꾸준히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100, 2021년 103.16, 2022년 110.37으로 지속 상승했으며, 지난해는 121.18로 전년(117.23)대비 3.3% 올랐다.
한국외식업중앙회 광주시지회 관계자는 "고물가 속에서 인건비와 임대료 등 부담에 기본 식재료값까지 일제히 상승해 외식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향후에도 외식비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홍콩거리·와이즈파크 개발 '난항'···충장상권 활성화 차질빚나 19일 ㈜시너지타워가 브랜드 '몽키너미널'로 개발 중이던 옛 와이즈파크 건물이 공사 중단 상태로 방치돼 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충장로 상권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충장상권 르네상스 사업'이 옛 와이즈파크 개발 중단과 함께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당초 지난달까지 홍콩의 분위기를 담은 거리(가칭 홍콩타운) 조성을 마칠 예정이었지만 부지 협상도 끝나지 않은 데다 옛 와이즈파크 개발 공사도 사실상 중단되면서다.19일 무등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광주 동구는 충장상권 르네상스사업의 '핵점포 육성 사업'의 예산 중 2억원가량을 투입해 올해 2월까지 젊은 층이 많이 방문하는 해외 여행지 중 한 곳인 홍콩의 분위기를 담은 '홍콩거리'를 충장로 일원에 조성할 예정이었다.해당 사업 과정에서 동구는 지난해 4월 부동산개발회사인 ㈜시너지타워와 '충장로 상권 활성화 업무협약'을 맺고 점포 유치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그 결과 홍콩식 레스토랑·주점·디저트 카페 등으로 점포를 구성하기로 했다.하지만 조성 예정 부지가 사전에 알려지면서 당초 협상보다 임대료가 올라 협상이 지지부진해진 데다, 수행을 맡기로 했던 ㈜시너지타워 관련 법인회사가 물러나면서 수행사도 찾아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동구 관계자는 "부지 협상 과정에서 지체되긴 했지만, 입점 업체 구성도 마쳤다. 수행만 하면 되는 상황이라 현재 계획한 바가 차질 없이 진행되면 5~6월께 홍콩 분위기가 나는 거리가 조성될 것"이라며 "21일 수행사 적격심사가 마무리되면 진행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거리 조성과 함께 충장로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는 기대를 받아온 '옛 와이즈파크' 개발도 최근 공사가 중단됐다.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개발에 나선 ㈜시너지타워 본사에 자금 유동성 문제가 생긴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시너지타워는 2021년 옛 와이즈파크 건물을 매입해 브랜드 '몽키터미널'로 리뉴얼 공사를 진행 중이었다. 이 건물은 충장로 상가시설 중 최대 규모인 연면적 5천300평으로 지하 3층·지상9층 규모로 패션·잡화 매장과 식음매장, 놀이·체험 등이 복합된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해 오는 6월 개장 예정이었다.앞서 ㈜시너지타워가 첨단1지구 일대에 '포플레이 첨단', '보이저 첨단' 등 상가를 연달아 개발해 일명 '시리단길'로 불리는 상권을 만들어 주목받은 터라, 충장로 내에 개발할 상가가 상권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져 왔다.이 같은 지역민의 기대와 달리 공사가 중단되자, 상인들 사이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옛 와이즈파크 건물 인근에서 점포를 운영 중인 한 상인은 "첨단에서 워낙 유명했고 지금도 젊은 사람들이 많이 간다고 하니까, 충장로에 건물을 개발해 주면 젊은 사람들이 호기심에라도 몰릴 것이라고 생각했다"며 "이렇게 계속 방치되면 흉물이 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우려를 나타냈다.정일성 충장로1·2·3가 상인회장은 "구청으로부터 홍콩거리 조성은 그대로 추진된다고 들었다. 홍콩거리가 조성되면 당연히 상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도 "와이즈파크 건물 공사가 지금 상태로 중단된다면 상권에 아주 큰 악재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광주·전남 1인가구 증가···경제 발전 불균형 우려
- · 광주 휘발유 최저 1천500원대 진입
- · 지역 기업인들, 도립대서 산학교류 활동
- · 학생 사교육 참여율 광주·전남 모두 평균 못미쳐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