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인구보다 10배 많은 담양···전남, 생활인구 살펴보니

입력 2025.03.27. 16:20 이삼섭 기자
행안부·통계청 인구감소지역 ‘생활인구’ 공개
지난해 8월 기준 구례·담양·장성·곡성 순 높아
전남 등록 대비 생활인구 평균 3~6배 형성
복합적인 유입 구조…소비 비중도 절반 육박
담양 죽녹원 야관경관 모습.

지난 2024년 8월의 전남 담양.

인구 4만 4천명에 불과한 지역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만큼 시내는 차량과 사람들로 붐볐다. 특별한 축제나 이벤트가 있었던 것도 아닌데, 거리에는 사람들로 북적였다. 이유는 '생활인구'에 있었다. 실제 8월 한 달간 담양에 머문 생활인구는 무려 47만명에 달했다. 등록인구의 10배를 넘는 수치다.

27일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3분기 인구감소지역 생활인구 산정 결과'를 살펴보면, 생활인구는 계속해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8월의 경우 전국 인구감소지역의 등록인구는 490만명이었으나, 생활인구는 3천362만명으로 등록인구의 6배에 달했다. 7월에는 2천686만명(4.8배), 9월에는 3천93만명(5.3배)을 기록했다.

생활인구는 등록인구(정주인구)뿐 아니라, 일정 시간 이상 머무는 '체류인구'와 등록외국인을 더해 산정하는 인구 개념이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전국 89개 인구감소지역을 대상으로 생활인구를 산정하고 있다.

16개 군이 인구소멸지역으로 지정된 전남의 경우, 8월 기준으로 구례(11.35배), 담양(10.65배), 장성(6.74배), 곡성(6.61배), 화순(6.35배) 순으로 등록인구 대비 생활인구 배수가 높게 나타났다. 예컨대 이 기간 구례는 등록인구 2만 4천083명인 반면 생활인구는 27만 3천313명이었고, 장성은 등록인구 4만 2천177명에 생활인구는 28만 4천65명에 달했다.

전남 지역의 생활인구는 평균적으로 등록인구의 3배에서 6배 수준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체류인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체류인구는 해당 지역에 월 1회 이상, 하루 3시간 이상 머문 외부인을 뜻하며, 주민등록은 해당 지역에 없는 경우를 말한다.

실제 등록인구보다 생활인구가 높은 전남 지역 대부분은 광주 대도시권에서의 접근성이 뛰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단기 숙박형 체류자, 광역권 통근자, 귀촌형 거주자 등이 섞인 복합적인 유입 구조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행안부에 따르면, 인구감소지역에서 체류인구가 차지하는 소비 비중은 등록인구에 육박한다. 지난해 3분기 동안 체류인구의 신용카드 사용액이 해당 지역 전체 생활인구 사용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45~49%로 집계됐다. 다시 말해 체류인구가 늘수록 해당 지역의 소비도 함께 늘어난다는 뜻이다.

그동안 단순한 '인구 수'만으로 지역을 평가하고 정책을 설계해왔던 관성적 시각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생활인구는 지역에서의 '실제 수요'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다. 버스 노선 운영, 응급의료 체계, 관광 편의시설 등은 정주자뿐만 아니라 체류자 수요를 함께 고려해 설계할 필요가 제기된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보는 "생활인구 산정이 거듭될수록 인구감소지역에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며, 지자체가 생활인구 개념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