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1000배 격차···광주·전남 고위공직자 재산 양극화

입력 2025.03.27. 14:17 이정민 기자
정부·광역지자체 공직자윤리위원회 재산 공개
심창욱·이동현 '최고 자산가'…1천만원대 신고도
단체장 중 명현관 군수 77억원으로 최고액 기록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고위공직자 등 재산공개대상자 2047명의 재산 변동사항(2024년 12월 31일 기준)을 전자관보 '누리집'을 통해 공개했다. 뉴시스

인사혁신처 산하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정기 재산변동사항 공개'자료에 따르면, 광주·전남 고위공직자들의 재산 평균이 나란히 13억원대를 기록했다. 그런 가운데 광주는 심창욱 시의원이 116억원, 전남은 이동현 도의원이 134억원으로 각각 '최고 자산가'에 올랐다. 반면 1천만원대 신고자도 있어 상위권과 하위권 간 양극화 양상도 보였다.

◆광주 최고 116억원…최저 1천200만원

광주지역 자치단체장과 광역의원, 고위공직자의 평균 재산은 13억원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강기정 광주시장과 부시장, 5개 구청장, 자치경찰위원회, 시의원 등 34명의 평균 재산은 13억6천688만5천원으로 집계됐다.

광주지역에서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공직자는 심창욱 광주시의원으로 배우자를 포함해 116억8천461만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해와 비교해 32억4천18만8천원이 감소했다.

이상갑 광주시 문화경제 부시장과 임미란 광주시의원은 나란히 40억원 이상을 보유했다. 이 부시장은 기존 재산 43억8천663만원에서 5억3천436만1천원 증가한 49억2천99만1천원을 신고했다. 임 의원은 42억220만3천원의 재산을 신고했지만, 지난해보다는 6억6천329만7천원 감소했다.

신석기 광주경제자유구역청장과 문인 북구청장으로 각각 25억6655만4천원, 20억1067만2천원을 신고해 재력가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강 시장의 재산은 11억6천714만8천원으로 지난해(11억3천531만3천원) 보다 3천183만5천원 증가했다. 이 밖에도 고광완 광주시 행정부시장 15억4천431만7천원, 박수기 시의원 13억3천214만5천원, 홍기월 시의원 12억2천834만6천원 등 총 10명이 10억원 이상 재산을 신고했다.

김병내 남구청장은 8억4천104만6천원으로, 구청장 중에서는 문인 구청장 다음으로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이어 김이강 서구청장 4억7천673만3천원, 임택 동구청장 3억7천846만9천원 순이었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4억4천873만4천원을 보유했다고 신고했지만 배우자가 재산을 고지하지 않았다.

김나윤 시의원은 1천227만9천원을 신고해 재산이 가장 적었다. 지난해 가장 적은 재산(-66만원)을 신고했던 이명노 시의원은 2억1천61만8천원이 증가한 2억995만8천원을 신고했다. 혼인으로 인한 배우자 재산이 새롭게 등록되면서 재산이 큰 폭으로 늘었다.

◆전남 평균 13억…이동현 도의원 4년째 최고

전남지역 고위공직자 85명의 평균재산은 13억3천842만원으로 나타났다.

김영록 지사는 26억2천463만원을 신고해 지난해보다 1억9천14만8천원이 증가했다. 부부 명의의 서울 용산구 아파트가 17억여원으로 1억원가량 올랐다.

이동현 전남도의원이 134억9천557만원을 신고해 4년 연속 최고 재력가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국 광역시·도 의원 중 6번째로 많은 액수다. 특히 1년 전에 비해 38억4천458만원이 늘었다.

이어 명현관 해남군수 77억2천576만원, 이상익 함평군수 67억8천460만원, 김정이 도의원 46억2천733만원, 최무경 도의원 43억7천931만원, 정순관 전남자치경찰위원장 38억4천695만원, 강문성 도의원 38억2천875만원, 한춘옥 도의원 28억3천486만원, 김 지사 26억2천463만원, 진호건 도의원 25억7천858만원 순으로 조사됐다. 또 명창환 행정부지사와 박창환 경제부지사는 각각 8억3천689만원과 14억1천235만원을 신고했다.

신고 대상자 중 20억원 이상 재력가는 14명, 10억원 대 재산 보유자는 17명, 5억원 이상 10억원 미만은 23명에 달했고, 1억원 미만은 5명, 마이너스 재산은 1명이었다.

진호건 도의원(19억4천467만원), 노관규 순천시장(8억7천230만원), 정순관 자치경찰위원장(3억4천542만원), 김성 장흥군수(2억906만원), 박성재 도의원(2억546만원) 순으로 재산이 늘었다.

◆광주 43명·161명 재산 증가

광주시공직자윤리위원회와 전남도공직자윤리위원회도 이날 관할 재산 공개 대상자에 대한 결과를 공개했다.

광주시공직자윤리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재산 공개 대상자 76명의 평균 재산은 10억1천716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평균(12억8천501만원)보다 2억6천785만원 줄어든 수치다. 공개 대상자는 공직유관단체장 7명과 5개 자치구 구의원 69명이다.

재산 규모는 5억원 미만 보유자가 27명(35.5%)으로 가장 많았다. 5억~10억원 미만은 25명(32.9%), 10억원 이상은 24명(31.6%)이었다. 재산 변동 내역을 보면 전체의 56.6%에 해당하는 43명이 재산이 증가했고, 나머지 33명(43.4%)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재산공개 대상자 241명의 신고재산 평균액은 7억7천874만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신고 평균액(7억5천988만원)보다 1천886만원이 증가한 금액이다. 공개 대상자는 공직유관단체장 5명, 기초자치단체 의회 의원 241명이다.

신고한 재산총액을 보면 1억원 이상 5억원 미만이 93명으로 전체 대상자 중 38%를 차지했다. 5억원 이상 10억원 미만 신고자는 69명이다. 재산보다 채무가 많은 것으로 신고한 대상자는 6명이다.

재산공개대상자 중 161명(66%)은 재산이 증가했고, 85명(34%)은 재산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재산등록의무자는 공직자윤리법 제6조(변동사항 신고)에 따라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재산변동사항을 다음해 2월 말일까지 신고해야 한다.

시·도공직자윤리위원회는 등록재산을 거짓으로 기재했거나 의무자의 중대한 과실로 재산을 누락 또는 잘못 기재하면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보완 명령, 경고·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등의 처분을 취할 계획이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