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이 온다’ 동호로 구현…시민에 편지
문학과 첨단 기술 융합으로 교감 '관심'
11일 오전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던 시간, 광주시청 광장은 특별한 감동으로 물들었다.
한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 속 주인공 동호가 인공지능(AI) 홀로그램 기술을 통해 시민들 앞에 나타났기 때문이다. 더 정확히는 1980년 5월 27일 옛 전남도청에서 계엄군에 최후의 저항을 하다 17세의 나이로 사망한 문재학 열사가 동호의 모습으로 온 것이다.
동호는 편지를 통해 한 작가에게 노벨문학상 수상을 축하하는 한편 시민들과 교감하며 1980년 5월 광주의 기억을 되살렸다. 자신을 문재학이라고 소개한 동호는 "오늘은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는 날이니, 소설 속 동호의 이름과 모습으로 왔다"고 말했다.
이어 "여기 제 혼의 힘으로가 아니라 여러분들의 기억의 힘으로 왔다. 여러분들의 기억이 제 혼"이라며 "모든 것이 한강 작가 덕분이다. 그리고 '소년이 온다'라는 소설 덕분"이라고 한 작가에 감사를 전했다.
동호는 1980년 5월 27일 새벽에 죽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그 전날 집에 꼭 돌아오라는 엄마의 바람을 지키지 못한 한을 고백했다. 이어 "이 책을 펼치던 여러분의 손길 곁에 저는 항상 같이 있었다. 제 후회 없는 마지막 삶이 읽는 이들의 기억 속에서 다시 살아나고 있다"며 독자들과 시민들의 기억 속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월 광주의 기억과 함께 소년 동호는 꼭 돌아옵니다"고 끝맺음했다.
동호의 담담한 독백에 현장에 있던 시민들의 눈에는 샘이 차올랐다. 이를 지켜보던 문 열사의 어머니 김길자 씨도 눈물을 감추지 못했다. 무엇보다 홀로그램을 통해 전해진 동호의 독백은 단순한 시각적 효과를 넘어 감동까지도 전해졌다.
인공지능 기술이 문학과 융합해 문학 속 인물과 현실의 인물, 과거와 현재를 연결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광주시 문화도시조성과 관계자는 "광주가 인공지능 중심도시이기 때문에 문학을 기술과 연결해 시민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겠다는 생각에서 진행됐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 출신인 한 작가는 스웨덴 현지시각으로 7일 한림원에서 열린 강연에서 "인간의 잔혹성과 존엄함이 동시에 존재했던 시공간을 '광주'라고 부를 때 광주는 더 이상 고유명사가 아니라 보통명사가 된다는 것을 책을 쓰면서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여객기 참사 추모공원' 놓고 전남도-민주 전남도당 엇박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추모공원 조성을 두고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이 "진상규명이 먼저"라고 비판 논평을 낸 것에 대해 전남도가 "성급한 판단으로 유가족과 도민들에게 상처주지 말라"고 반박하고 나섰다.전남도는 지난 10일 대변인 명의의 입장문을 통해 "후속대책의 최우선인 유가족 지원과 진상규명 등 시급한 사고수습이 마무리된 후 유가족과 국민의 뜻을 받들어 추모공원 세부 계획을 관계기관과 논의할 방침이다"며 이같이 밝혔다.이어 "지난 6일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후속대책 발표는 이제부터가 새로운 시작이라는 각오로 무엇보다 유가족을 위로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데 중점을 뒀다"며 "가장 시급한 유가족 지원과 철저한 진상규명, 재발방지 등을 위한 전남도의 역할과 정부 건의사항을 최대한 세부적으로 제시하며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라고 말했다.또한 "이를 위해 유가족의 심리치료와 생계비 지원을 비롯해, 배·보상금과 위로지원금 등 피해 보상 근거를 담은 특별법 추진 방침을 밝혔다"며 "특별법의 한 골자로서 희생자와 유가족을 위로하는 대책의 하나로 추모공원 조성도 포함됐다. 이는 유가족 대표단과 협의된 사안이고, 국토부와도 조성하자는 자체에 대해 협의된 내용이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게도 보고된 것"이라고 강조했다.이같은 도의 입장문은 민주당 전남도당이 '전남도가 유가족 등의 공감대 없이 추모공원을 관 주도로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내용의 논평을 낸 데 따른 것이다.앞서 지난 9일 민주당 전남도당은 "460억원 추모공원 조성보다 참사 원인 등 진상 규명과 도내 공항안전 강화 대책 수립이 최우선돼야 한다"며 "도의 무안공항 추모공원 조성 추진계획은 본말이 뒤바뀐 관 주도의 일방적 추진 계획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12·29 참사는 국가와 지역사회가 결코 잊어선 안 될 비극"이라며 "이를 기리는 추모공간은 필요하지만 제대로 된 참사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충분한 피해자 배상과 지원 등 시급한 문제를 해결한 뒤에 희생자들과 지역 사회 목소리를 수렴하고 충분한 논의를 거쳐 추진하는 것이 순서다"고 덧붙였다.한편, 도는 지난 6일 심리상담과 긴급생계비 지원, 특별법 제정과 추모공원 조성, 안전시설 확충과 조기 운항 등을 골자로 한 사고 후속대책을 발표했다.추모공원은 무안공항 인근에 460억원을 들여 7만㎡ 규모로 조성하고 추모탑과 추모홀, 방문객센터를 비롯해 유가족 위로를 위한 숲과 정원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 김영록 지사, 12·3 계엄 사태 후 11번째 정계 쓴소리
- · 시·도, '여객기 참사' 후속 지원 나섰다
- · 1980년 5월, 2024년 12월···광주가 지킨 공동체의 온기
- · '더현대' 들어설 방직터 개발 설계, 해안&디에이가 맡는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