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이 온다’ 동호로 구현…시민에 편지
문학과 첨단 기술 융합으로 교감 '관심'
11일 오전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던 시간, 광주시청 광장은 특별한 감동으로 물들었다.
한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 속 주인공 동호가 인공지능(AI) 홀로그램 기술을 통해 시민들 앞에 나타났기 때문이다. 더 정확히는 1980년 5월 27일 옛 전남도청에서 계엄군에 최후의 저항을 하다 17세의 나이로 사망한 문재학 열사가 동호의 모습으로 온 것이다.
동호는 편지를 통해 한 작가에게 노벨문학상 수상을 축하하는 한편 시민들과 교감하며 1980년 5월 광주의 기억을 되살렸다. 자신을 문재학이라고 소개한 동호는 "오늘은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는 날이니, 소설 속 동호의 이름과 모습으로 왔다"고 말했다.
이어 "여기 제 혼의 힘으로가 아니라 여러분들의 기억의 힘으로 왔다. 여러분들의 기억이 제 혼"이라며 "모든 것이 한강 작가 덕분이다. 그리고 '소년이 온다'라는 소설 덕분"이라고 한 작가에 감사를 전했다.
동호는 1980년 5월 27일 새벽에 죽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그 전날 집에 꼭 돌아오라는 엄마의 바람을 지키지 못한 한을 고백했다. 이어 "이 책을 펼치던 여러분의 손길 곁에 저는 항상 같이 있었다. 제 후회 없는 마지막 삶이 읽는 이들의 기억 속에서 다시 살아나고 있다"며 독자들과 시민들의 기억 속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월 광주의 기억과 함께 소년 동호는 꼭 돌아옵니다"고 끝맺음했다.
동호의 담담한 독백에 현장에 있던 시민들의 눈에는 샘이 차올랐다. 이를 지켜보던 문 열사의 어머니 김길자 씨도 눈물을 감추지 못했다. 무엇보다 홀로그램을 통해 전해진 동호의 독백은 단순한 시각적 효과를 넘어 감동까지도 전해졌다.
인공지능 기술이 문학과 융합해 문학 속 인물과 현실의 인물, 과거와 현재를 연결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광주시 문화도시조성과 관계자는 "광주가 인공지능 중심도시이기 때문에 문학을 기술과 연결해 시민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겠다는 생각에서 진행됐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 출신인 한 작가는 스웨덴 현지시각으로 7일 한림원에서 열린 강연에서 "인간의 잔혹성과 존엄함이 동시에 존재했던 시공간을 '광주'라고 부를 때 광주는 더 이상 고유명사가 아니라 보통명사가 된다는 것을 책을 쓰면서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강기정 시장 "시민들, 공직자 헌신과 따듯한 행정에 박수" 강기정 광주시장이 지난 15일 오후 북구 영락공원을 찾아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 장례 지원에 총력을 다한 직원들을 격려하고 있다./광주시 제공 강기정 광주시장이 올해 첫 간부회의에서 공직자들의 헌신과 시민을 위한 따뜻한 행정에 대해 격려와 감사를 표했다.강 시장은 16일 간부회의에서 최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수습에 앞장선 공직자들을 격려했다. 강 시장은 "유가족과 시민들이 우리 공직자에 대한 칭찬을 참 많이 해주셨다"며 "이런 칭찬은 우리 시민이 공직자의 헌신에 바탕을 둔 따뜻한 행정을 느꼈음을 표현해 준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연가를 취소하고 사무실로 복귀한 공직자, 참사 소식을 듣고 곧장 시청으로 달려온 공직자, 현장으로 빠르게 달려가고도 트라우마를 겪는 119 소방대원들, 무안공항에서 상황을 수습했던 공직자들이 있었기에 (시민의 신뢰가) 가능했다"고 강조했다.또 장기 교육을 위해 대기 중이었음에도 바로 현장으로 달려간 간부들이나 유가족과 1대 1로 연결해 수습을 지원한 공직자들의 헌신 등을 언급하며 이들의 헌신이 시민들에게 따뜻한 행정을 체감하게 했다고 평가했다.이어 강 시장은 공직자들의 신속한 결정과 결단력 또한 시민 신뢰를 얻은 원동력이라고 말했다. 광주시는 무안공항 여객기 사고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명칭을 정확히 규정하고, 신속히 분향소를 설치하며 애도 기간을 선포한 사례를 그 예로 들었다.특히 강 시장은 "지난 계엄에서도 광주는 다른 시·도와 달리 시청을 개방해 시민과 함께 싸우는 행정을 만들어 갔다"며 "마치 80년 5월의 항쟁지도부가 계엄군에 대항하는 진지를 구축한 것과 같이 우리 시는 신속한 결단으로 헌법을 수호했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공직자의 헌신에 기초한 따뜻한 행정과 신속한 결정, 결단의 경험을 축적해 왔고 이제는 그것들로 인해서 행정이 시민들 속에 박수받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런 힘을 바탕으로 올해 어려워진 민생 경제를 살리고, 미래산업과 문화산업을 양 축으로 든든한 광주의 내일을 준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공직자들이 앞으로도 시민을 제1의 우선순위에 두고 시민들의 기댈 언덕이 돼달라고도 당부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GGM 노조, 설립 목적 훼손···시민이 지켜달라"
- · 광주시장·전남지사 "이제는 尹 파면·구속만 남아"
- · 광주시 "자동차세 1월에 내고 세금 부담 덜어요"
- · '특혜'냐 '약속이냐'···민주노총 사무실 지원 '불씨'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