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자 내부검토 수용하면 후속 행정절차 이행
옛 전방·일신방직에 들어서는 '더현대 광주'가 31일 광주시 교통영향평가 심의를 조건부로 통과했다. 앞서 사업지 내 '셋백' 구간의 기부채납 문제로 심의에서 한차례 막히면서 타임라인에 차질을 빚었던 더현대 광주가 이번 조건부 심의를 받아들이고 추진에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31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시 교통영향평가심의위원회(교평위)는 이날 오후 '더현대 광주' 신축공사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심의를 진행했다. 위원회는 사업장 진입을 위한 가감속차로(완화차로)인 셋백 구간의 기부채납과 자전거도로·인도의 일정 폭 유지를 조건으로 내걸었다.
더현대 측은 광주시에 셋백 구간 150m 길이의 폭 0.25m를 기부채납하기로 했지만, 교평위가 이를 최소 1.25m까지 확대하라고 요구했다. 1차 교평 심의에서 요구한 150m 길이의 폭 3m와 비교해 다소 완화한 조건이다. 당시 더현대 측은 설계를 다시 해야 하고, 지하주차장 면적이 축소된다는 점을 들어 난색을 보였다.
또 교평위는 자전거와 보행로 폭을 3m 이상 확보하고, 이 중 1.75m를 광주시에 기부채납하라고 요구했다. 복합쇼핑몰 준공 이후 3개월 사후 모니터 등으로 교통수요를 분석해 추가 개선 방안을 마련할 것도 요청했다. 더현대 측이 제시한 차량 통행량보다 실제 통행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른 것이다. 위원회는 이밖에 주차공간 분리, 교차로 시설 확충, 안전시설 보강 등 모두 9가지의 조건부 수용 결정을 내렸다.
더현대 측이 심의 조건을 수용하게 되면 건축경관·공동위원회 심의 등 후속 행정절차를 밟아 나갈 예정이다. 사업자 측은 내부검토 이후 입장을 광주시에 전달할 방침이다. 사업자가 수용하지 않게 되면 교통영향평가에 대한 재심의가 이뤄진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형평성과 예산 부담 사이···광주 노인 '무임승차' 어쩌나 /뉴시스 #. 광주 서구 서창에 거주하는 70대 주민 A 씨는 버스로 시내를 이동할 때마다 의문이다. 똑같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고령층인데도 도시철도는 무료인 반면 버스는 돈을 내야 하기 때문이다. 도시철도 인근에 사는 사람만 대중교통 복지 혜택을 보는 것 같아 괜히 억울한 마음도 든다. 광주도시철도 2호선이 건립되면 더 많은 노인층이 복지 혜택을 누린다지만, 여전히 도시철도 이용과는 거리가 머니 그림의 떡이다.#. 도시철도 2호선 건립에 한창인 광주도시철도공사는 앞으로 홍수처럼 밀려올 적자에 벌써부터 한숨이다. 지금도 고령층 무임승차로 해마다 300억원이 넘는 적자인데, 앞으로 고령층이 계속 늘어나는 데 반해 젊은 층이 줄어들면 적자 확대는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도시철도 2호선 개통되면 이용자가 큰 폭으로 늘겠지만, 적자 폭도 그에 비례하기에 마냥 웃을수만은 없다.고령층에 대한 대중교통 복지가 확대되는 추세에 따라 도시철도와 버스 이용자 간 형평성이 불붙고 있다. 이와 함께 지자체는 급격히 증가하는 예산 부담에 고민이 늘고 있다. 무작정 고령층에 대해 전면적으로 무상 대중교통을 실현하기에도, 형평성 문제를 방치할 수만도 없는 노릇이다.이런 가운데 타 특·광역시는 고령층에 대한 무임승차 연령 기준을 높이고 있어 주목된다. 고령층의 급격한 증가와 쪼그라드는 재정을 고려한 정책에 대해 광주시가 주의 깊게 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경제력이 충분한 고령층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 노인연령 기준 상향 논의가 있다는 점에서 광주시가 충분한 공론장을 마련해 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21일 광주시에 따르면, 현재 만 65세 이상 고령층에 대한 대중교통 복지는 G-패스와 도시철도 무임승차가 있다.G-패스는 대중교통 이용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에 광주시가 할인율과 환급액을 더 높인 대중교통 정책이다. 이에 따라 65세 이상 노인은 대중교통 이용 시 50%를 환급한다. 다만, 이미 광주도시철도는 65세 이상 노인에 대해서는 '무임승차' 정책을 시행 중이다.기존에는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고령층만 '무료 이용' 혜택을 온전히 누렸지만, G-패스 도입으로 버스를 이용하는 고령층도 반값에 이용할 수 있게 된 셈이다.그럼에도 지하철과 버스 이용자 간 혜택 차이가 해소된 건 아니다. 그러다보니 전국 지자체들은 버스까지도 무료로 하거나, 대중교통 무료 연령 기준을 올린 뒤 도시철도와 버스에 똑같이 적용하는 정책을 도입 중이다. 고령층의 도시철도 무임승차로 인한 적자 확대도 원인으로 작용한다.지난 2023년 대구시와 대전시는 나란히 70세 이상 노인에 대해 도시철도와 버스 등 대중교통 무료화 정책을 시행했다. 다만, 대구시는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시행한다. 도시철도와 버스 간 형평성을 맞추는 동시에 도시철도 '무임승차' 이용에 따른 막대한 적자도 해소하자는 취지다.광주시 또한 대중교통 간 형평성과 도시철도 적자 해소를 위해 내부적으로 다양한 방안을 논의됐지만 아직 구체적으로 검토하진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예산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이다. 이미 해마다 300억원이 넘는 도시철도 적자에 더해 버스까지 무료로 하기에는 막대한 재정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이다.광주도시철도공사는 지난 2020년 375억원에서 2021년 357억원, 2022년 380억원, 2023년 368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기록 중이다. 현재 고령층 급증과 더불어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하면 적자폭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도시철도 이용자 3명 중 1명가량이 고령층 등을 중심으로 한 무임승차로 파악된다. 또 G-패스를 첫 도입한 올해만 100억원이 넘는 예산을 추가적으로 투입했다. G-패스 예산은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광주시 통합공항교통국 관계자는 "고령층의 이동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취지는 공감하지만 현실적으로 도시가 축소되는 상황에서 고령층에 대한 전면 무상교통을 시행하기에는 한계가 뚜렷하다"면서 "무엇보다 베이비부머 세대로 대표되는 경제력 있는 고령층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고 말했다.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통 정책의 지속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한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광주지역 한 교통전문가는 "도시철도와 버스 간의 형평성을 맞추는 동시에 재정 효율성을 극대화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시민 의견을 수렴하고 중장기적인 대책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광주관광공사 '조직 효율화' 진통
- · 김영록 지사 "법치주의 흔든 폭력 난동 일벌백계해야"
- · 강기정 시장 "시민들, 공직자 헌신과 따듯한 행정에 박수"
- · "GGM 노조, 설립 목적 훼손···시민이 지켜달라"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