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 부담 난제…강기정 "국가사업 연계"
'빈곤율 최상위' 노인층 시급 적용 의견
국내 주요 도시들 속속 '무료화' 움직임
광주 '무상 대중교통'을 위한 공론장 마련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르면 내년부터 어린이와 청소년을 시작으로 단계적 시행이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빈곤율'이 심각한 노년층에도 시급히 도입하자는 의견들이 있어 '무상 대중교통'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요구된다.
19일 광주시에 따르면 전날 열린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과의 당정 정책협의회에서 아동(어린이)과 청소년 대중교통비 지원 추진을 건의했다.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무상 대중교통'을 요구하고 있는 것에 호응해 적극적으로 국비 예산을 발굴해 추진하자는 취지다.
지난달 2일 박미정 광주시의원이 시정질문을 통해 청소년 보편 복지 차원에서 어린이·청소년 무상 대중교통 검토를 요구했고, 강 시장이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긍정적 입장을 밝혔다.
정의당 광주시당은 지난 4월 '무상교통 운동본부'을 출범한 뒤 '월 1만원 정기권' 도입 운동을 펼치고 있다.
우선 광주시는 1단계 사업으로 자체 예산을 들여 내년부터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우선적으로 무상 대중교통을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만 12세 이하 어린이에게는 요금을 받지 않고, 청소년들에게는 월 1만원가량의 정기권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어 2단계로 청소년 전체로 무임승차를 확대하는 것이다.
공식적으로 밝히진 않았지만 사회적 논의 진척도에 따라 추후 65세 이상 노인과 전 연령층 등으로 무상 대중교통을 확대해나가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막대한 예산을 조달해야 하는 난제가 있다. 당장 내년 1단계에 연간 90억원, 2단계 120억원가량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대상을 확대할수록 부담해야 할 액수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광주시의 대중교통 지원액은 연 1천450억원에 달한다. 광주시는 국가 사업과 최대한 연계해 무상 대중교통 대상을 확대해나간다는 방침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날 광주시청에서 열린 기자들과의 차담회에서 "국회에서 K-교통패스권 시범도시를 만들자는 논의가 있어, 탄소중립(을 위한) 대중교통 시범도시로 지정받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인층에도 시급히 무상 대중교통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현재 만 65세 이상은 지하철에 무임승차할 수 있지만, 1호선에 불과해 대부분 노년층이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2020년 기준 국내 노인 빈곤율이 40.4%에 육박한 상황에서 노년층의 이동권 보장이 위협받고 있어 이들에 대한 무상교통 도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상 대중교통은 이미 전국적으로 도입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중립'과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주어지는 '이동권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무상까지는 아니더라도 저렴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국내외적으로 자리잡고 있다.
38만명 인구를 가진 세종시는 2025년부터 시내버스 전면 무료화를 추진하고 있다. 부산시는 내년부터 만 12세 이하에 대중교통 무료화를, 전남 13개 기초단체에서는 초·중·고교생을 대상으로 100원 버스를 시행하고 있다.
대구시의 경우 노인층에 우선적으로 무상 대중교통을 도입한다. 올해 75세부터 우선적으로 시행한 뒤 2028년까지 70세 이상으로 확대한다. 대전시도 오는 9~10월부터 70세 이상 노인을 위한 버스 무임승차 제도를 시행하기로 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평가·정산 부실' 광주 시내버스 준공영제 추경 절반 삭감 광주시의회 청사 전경. 광주시의회가 '절차·근거' 부실로 입방아에 오른 광주 시내버스 준공영제 재정지원금 예산 209억원을 삭감했다.18일 시의회에 따르면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전날 광주시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 심의를 열고 시가 제출한 시내버스 준공영제 재정지원금 418억 가운데 절반인 209억원을 삭감했다.앞서 전날 심의에서 시가 시내버스 준공영제에 매년 1천억원 이상의 세금을 지원하고 있지만 근거가 되는 원가 산정, 경영 평가 등을 절차대로 진행하지 않으면서 예산 운영의 난맥상을 드러내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구체적으로 시내버스 준공영제 운영 조례상 명시된 표준운송원가 산정과 정산 검사, 성과이윤 배분의 근거가 되는 경영 평가를 실시하지 않은 것이 확인됐다.조례에 따르면 시장은 운송수입금의 부족분을 합리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표준운송원가 산정용역을 매년 실시해야 한다. 용역 결과를 토대로 운송사업자와 협의 후 버스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시장이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2019년 표준운송원가 산정 이후 2020년, 2021년, 2022년은 조례에 따라 표준운송원가 산정용역만 실시했을 뿐, 버스정책심의위에 안건이 올라오지 않았다.성과이윤 배분도 조례에 따라 매년 경영·서비스 평가 결과를 반영해 차등지원해야 하지만, 2019년 이후 경영 평가를 실시하지 않은 채 이윤을 배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서비스 재정지원 정산 검사 결과보고도 2019년 이후에 이뤄지지 않았다.특히 2019년 8월 실시된 특정감사 사후조치도 미흡하다는 질타가 이어졌다.채은지 시의원은 "광주시 지방채도 계속 늘어나고 있고 금리도 늘어나서 광주시 부담이 커지고 있다. 시민 편의를 위한 사업에 시민 세금이 비합리적으로 편성되고 사용되는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이에 대해 시는 "2019년 준공영제 특정 감사로 표준운송원가 확정이 늦어졌다. 2020년, 2021년의 경우에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운송 수입이 급감해 시 부담이 커졌고 이런 상황에서 업체와 운송원가를 협상할 상황이 필요했고 이에 따라 지연됐다"면서 "2020~2022년 예산 집행은 2019년 기준으로 집행됐다"고 해명했다.한편, 광주시는 2007년부터 해마다 10개 시내버스 업체(1천44대·예비차 45대 포함)에 적자분 재정보전을 위해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2007년부터 2023년까지 재정투입 총 금액은 1조795억원이다. 2007년 당시 196억원이던 지원금은 지난해 1천448억원으로 급증했다.이예지기자 foresight@mdilbo.com
- · 존폐기로선 광주·전남 마을버스···재정지원 '의견차 팽팽'
- · '공영제 10년' 신안 시내버스 '탄탄대로' 달린다
- · "버스타려는데 쓰레기는 어디에 버려야 할까요?"
- · 제2회 버스킹 월드컵에 각국 1천700명 '도전장'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