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이준석,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전자 접수뉴시스
- [속보] 尹 "홍수 예·경보시스템 구축 피해 최소화···물 잡는 지하터널도 논의"뉴시스
- [속보] KT, 2분기 영업익 4592억원···전년비 3.5%↓뉴시스
- [속보] 7월 중국 소비자물가↑ 2.7% 생산자물가 4.2%↑뉴시스
- [속보] 尹 "과거 방식으론 재난 대응안돼...최악 염두해 대응해야"뉴시스
- [속보] 尹 "취약계층 안전해야 대한민국 안전...일상 신속 회복 지원"뉴시스
- [속보] 尹 "2차피해 예방 가장 중요...지자체 예산 인력 신속 지원"뉴시스
- [속보] 코로나 위중증 402명···사망 50명 '80일만 최다'뉴시스
- 성균관대 미술학과, 세르반티노 국제 페스티벌 초청뉴시스
- 제주동부하수처리장 증설 갈등 심화···주민들 "환경 보존 우선"뉴시스
지금은 과거 경제 호황으로 금리를 인상한 것과는 상황이 다릅니다
코로나로 인해 경기침체를 막기위해 막대한 유동성을 공급했고
그로 인해 인플레가 발생하자 유동성을 회수하기 위해 금리인상
을 하는거죠 . 즉 경제가 성장해서 금리가 올라가는게 아니라
돈을 풀어 생긴 후유증 때문에 금리인상을 하는겁니다 그걸 견딜수
있는 체력이 과거와는 다르다는 말이죠
또한 과거와는 비교도 안될정도로 개인채무가 많습니다
과거 미국 저금리시절 술집에서 스트립댄스를 하던 저소득
층도 모기지를 끼고 집을 몇채씩 가지고 있었던 시절이
있었죠
그러다 저금리 시대가 끝나고 금리가 올라가기 시작하자
어느정도 버티다 결국 금리를 감당못해 터진게 서프라임 모기지
사태고 그로 인해 세계 순위권의 은행이었던 리만브라더스가
파산했습니다
지금 미국이 그때보다 금리를 더 가파르게 또 높게 올릴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경험치가 있으니 어느정도 대비가 되어있겠죠
근데 한국은?
아직도 사랑방에 모여 집값은 오늘이 제일싸다
집은 빚을지던 무조건 있어야하며 실거주는 꼭지에사도
손해가 아니다 .꼭지에 사기싫다하면 넌 평생 집못산다
이러면서 조롱하고 자기들끼리 정신승리 하기 바쁘죠
오늘부로 환율 1300원을 돌파했고 코로나 이전 코스피가 2200정도 였는데 2300에 가까워 졌네요 .아직좀더 떨어지겠지만
주식은 흔히 6개월을 선행한다 합니다
코로나 이전의 서울포함 광주 집값이 어느정도 였는지는
다들 아실겁니다
6개월 후에 미국과 한국의 금리가 얼마고 또 그정도 금리에
과연 디플레가 안올지 다들 한번씩 생각해보시면 좋겠네요
세상을 끌어가는 정치인도 아니고 대기업 오너도 아닌 우리같은
일반 시민들은 시류에 잘 대응해야 살아남습니다
- 1'시세의 80% 수준' 선운2지구 1089호 모집..
- 2광주 가구당 월 254만원 쓰는데 '이렇게' 절약해볼까?..
- 3'강남 물난리' 럭셔리 침수차 쏟아진다...올 가을 중고차 매물..
- 4보금자리론 최대 0.35%p 내린다···연말까지 4.25~4.5..
- 5삼성전자 다시 5만전자로?···매수 기회일까..
- 6[Q&A]안심전환대출 23만~35만명 혜택...어떻게 누가 받나..
- 7"집값하락기 때 보증금 떼일라"···오피스텔도 월세가 강세..
- 8입맛 되찾는 '매콤 볶음요리' 맛집 3곳..
- 9"잔소리 싫어" 모친에 흉기 휘둘러 사망케한 40대..
- 10나주서 변압기 제조업체 직원 감전···병원 치료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