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언제 끝나나요" 광주 버스 파업 재개 사흘째, 시민 불편 가중

입력 2025.06.11. 09:28
운행률 70%…노조 차고지 막아 운행 차질도
배차 간격 늘어 지하철 환승, 출근길 지각
"장기화 시 시민 불편 커져 조속한 합의를"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광주 시내버스 파업 재개 사흘째인 11일 오전 광주 광산구 광주송정역 버스정류장에서 시민들이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광주 시내버스 노조는 사측과 임금 인상 등에 대한 협의점을 찾지 못해 지난 5일 총파업에 돌입한 뒤 연휴 동안 준법투쟁을 벌이다 지난 9일부터 파업에 돌입했다. 광주시는 대체기사를 투입해 운행률을 80%대로 유지하고 있으나 파업으로 인해 일부 노선은 배차 간격이 늘어났다. 2025.06.11. hyein0342@newsis.com

[광주=뉴시스]김혜인 기자 = "파업, 언제 끝나나요"

광주 시내버스 파업 재개 사흘째인 11일 오전 광주 광산구 광주송정역 버스정류장.

열차 도착 시간에 맞춰 역에서 우르르 쏟아져 나온 승객들은 정류장으로 향했다. 정류장은 환승을 위해 버스를 기다리는 시민, 등굣길에 오른 학생 등으로 붐볐다.

한 시민은 파업에 따른 배차지연 문구를 보고 "언제 끝나느냐"며 한숨을 쉬었다.

시민들은 출근길 늘어난 배차 간격에 발을 동동 굴렀다.

20분 전부터 정류장에 도착한 시민은 초조한 듯 버스 도착 알림판을 여러 차례 확인하다 "늦겠다"며 지나가던 택시에 몸을 실었다.

나주에서 출퇴근하는 직장인 박모(27)씨는 "보통 5분 이내에 버스가 도착하는데, 파업 이후 15~20분 정도 배차 간격이 길어져 직장에 빠듯하게 도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학교로 향하는 직행 버스가 늦게 도착하면서 사흘째 지하철을 타고 환승해 등교하는 대학생도 있었다.

매일 이 정류장에서 버스를 타고 등교하는 한 고등학생은 파업 이후 평소보다 30분 일찍 집을 나서고 있다.

고등학교 3학년 정모(18)군은 "아침에 더 일찍 일어나 피곤하다"며 "하루이틀쯤은 이해하지만 파업이 길어지면 너무 불편할 것 같다"고 토로했다.

시민들은 파업 장기화를 걱정하며 조속한 노사 합의를 바랐다.

문모(43·여)씨는 "버스 기사들의 고충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파업이 길어지면 불편은 시민이 겪는다"며 "빨리 타협점을 찾길 바란다"고 밝혔다.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광주 시내버스 파업 재개 사흘째인 11일 오전 광주 광산구 광주송정역 버스정류장에서 시민들이 버스에 탑승하고 있다. 광주 시내버스 노조는 사측과 임금 인상 등에 대한 협의점을 찾지 못해 지난 5일 총파업에 돌입한 뒤 연휴 동안 준법투쟁을 벌이다 지난 9일부터 파업에 돌입했다. 광주시는 대체기사를 투입해 운행률을 80%대로 유지하고 있으나 파업으로 인해 일부 노선은 배차 간격이 늘어났다. 2025.06.11. hyein0342@newsis.com

광주 시내버스 노조는 월급 8.2% 인상, 정년 65세까지 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지만 사측과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파업에 들어갔다.

파업 사흘째인 이날 노조 내분이 일어나기도 했다.

일부 노조원들이 이날 오전 파업에 동참하지 않은 버스 회사의 차고지 출입구를 한때 막아서면서 운행에 차질이 빚어졌다.

현재 광주 시내버스 회사 10곳 중 4곳은 파업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광주시는 평상시 버스 1000대를 운행하지만 파업에 따라 대체 기사를 투입, 767대를 운영하고 있다.

광주시는 지하철 운행 횟수를 12편 늘리고 이용객이 많은 버스 정류장에 택시를 집중 배차하고 있다.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광주 시내버스 파업 재개 사흘째인 11일 오전 광주 광산구 광주송정역 버스정류장에 시내버스 파업 운행 지연 안내 문구가 붙어있다. 광주 시내버스 노조는 사측과 임금 인상 등에 대한 협의점을 찾지 못해 지난 5일 총파업에 돌입한 뒤 연휴 동안 준법투쟁을 벌이다 지난 9일부터 파업에 돌입했다. 광주시는 대체기사를 투입해 운행률을 80%대로 유지하고 있으나 파업으로 인해 일부 노선은 배차 간격이 늘어났다. 2025.06.11. hyein0342@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hyein0342@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연관뉴스
메타버스
"메타버스 온라인 전시 콘테스트에 도전하세요"
전남문화재단은 오는 8월 8일까지 도내 예술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전시 콘테스트를 개최, 우수한 전시를 선정해 실제 전시를 개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이번 콘테스트는 지난해 12월 문화재단이 구축한 3D 디지털 트윈 방식의 '남도 메타버스 미술관'을 보다 많은 예술인이 관심을 갖고 자기 홍보를 위한 포트폴리오로 활용하도록 독려하기 위해 기획됐다.콘테스트 참가 자격은 도내 문화예술단체이거나 전남에 거주 중인 예술인, 3인 이상의 예술인 그룹이며 참여를 원하는 예술인은 '남도 메타버스 미술관'에 회원 가입해 온라인 전시관을 임대받아 미술작품을 업로드하면 된다.심사기준은 관객평가 70%·전문가 평가 30%로, 가장 배점이 높은 관객평가는 온라인 전시 조회 수와 방명록 횟수로 집계된다.때문에 온라인 전시를 주변에 널리 홍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온라인 전시관을 구성한 예술인을 선정해 온라인 전시가 실제 전시로 개최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자세한 내용은 남도사이버갤러리와 전남문화재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김선출 전남문화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온라인 전시 콘테스트는 메타버스 가상 온라인 전시 프로그램을 보다 많은 작가가 활용하도록 독려하기 위한 사업이다"며 "이 프로그램을 활용해 도내 미술작가들이 시공간 제약이 없이 자신의 작품을 아카이빙하고 홍보해 작가로서 인지도를 확장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이관우기자 redkcow@md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