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균형발전 개헌…호남 인재 등용 중요"

[무안=뉴시스] 송창헌 기자 = 의정 갈등 장기화와 정부의 의대 정원 원점 회귀로 전남 국립 의과대학 내년 신설은 사실상 어려울 전망이다.
전남도는 새 정부 출범 후 2027학년도 개교를 목표로 전략수정에 나섰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14일, 대선 불출마 선언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도정 현안인 국립 의대 신설과 관련해 "정부의 의대 정원 3058명 동결(회귀) 방침에 서운함을 금할 수 없다"며 "현재 상황에선 2026학년도 신설과 첫 정원 배정은 어려울 거 같다"고 밝혔다.
내년도 전남 의대 신설과 관련해 김 지사가 "어렵다"며 공식적으로 사실상 불가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이달 내 2026학년도 대입 요강 수요조사를 거쳐 5월 중 전형계획에 확정 발표하는 과정에서 전남 의대 첫 신입생 배정은 사실상 제외될 것으로 보이고, 의대 신설 예비인증도 최소 1년 이상 순연될 것으로 보인다.
김 지사는 대신 "2027학년도는 의료인력수급 추계위원회를 구성, 지역별로 필요 의료인력이 어느 정도인지 따져서 인력 수급을 결정하고 관련법도 통과됐기 때문에, 당연히 전국에서 유일하게 의대가 없는 전남에는 '정원 동결과 별개로 의대를 신설해야 된다'는 논리적 결론으로 귀결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의대 정원 증원은 의료계와의 대타협으로 해결하되, 국립 의대 신설은 그와 별개로 의료 취약지 의료 완결성 차원에서 대학 신설과 증원을 별도로 확보해야 한다는 투 트랙 전략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남은 노인·장애인 비율 전국 1위, 의사 없는 유인도 전국 최다, 지방의료원 대거 휴진, 공중보건의 감소, 1인당 의료비 전국 1위, 중증응급·외상환자 유출률 전국 최고, 긴급환자 골든타임 등 각종 지표에서 17개 시·도 중 가장 열악한 실정이다.
김 지사는 "정부도 이같은 분위기에 상당히 공감하는 분위기"라며 "새 정부에서도 추계위를 통해 2027학년도에 신설과 신입생 배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 지사는 이날 새 정부 출범 후 헌법 개정 과정에서 지방균형 발전과 지방분권을 반드시 포함시키고, 고위공직자와 정부 부처 국·과장에 호남 인재 발탁과 등용이 절실하다는 점 등도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goodcha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