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자립준비청년 560명인데, 전담 인력은 고작 11명뿐

입력 2024.01.08. 17:22 김종찬 기자
1인당 50여명 담당…전화 상담·사례관리·현장업무까지
높은 채용 기준·낮은 급여 이유…“전담인력 처우 개선”

전남도가 운영 중인 자립준비청년전담기관의 인력 확충과 처우 개선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자립준비청년이 560명에 달하는데, 전담인력 11명이 전화상담을 비롯해 사례관리부터 현장 업무까지 도맡고 있기 때문이다.

8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에서 관리 중인 자립준비청년은 총 560명이다.

지역별로 보면 목포가 14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여수(87명) ▲순천(80명) ▲나주·해남(28명) ▲무안(27명) ▲광양(24명) ▲강진·보성(16명) ▲영암(15명) ▲진도·영광(14명) ▲함평(13명) ▲장성(11명) ▲신안(10명) ▲곡성·고흥·완도(9명) ▲화순·장흥(8명) ▲담양·구례(2명) 순으로 나타났다.

자립준비청년은 아동양육시설이나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 등의 보호를 받다가 만 18세 이후 보호가 종료돼 홀로서기에 나서는 청년이다.

전남도는 지난 2022년 순천에 자립준비청년 지원을 위한 센터를 개소, 현재까지 운영 중이다. 자립준비청년들은 ▲자립정착금(1천만원) ▲건강검진비용(20만원) ▲전세보증금(3천만원) ▲월세(120만원) ▲자격증취득(100만원) ▲자립수당(40만원) 등의 금전적 지원뿐만 아니라 ▲취업 연계 ▲공공주택 우선 입주 ▲마음건강 주치의 사업 등의 혜택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전담기관이 인력 부족을 호소하고 있어 청년들에게 제공될 맞춤형 서비스의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자립준비청년 전담인력 총원은 13명이다. 하지만 2명이 이직하거나 사직해 현재는 11명이 근무하고 있다. 전담인력 1명당 50여명의 자립준비청년을 담당하고 있는 꼴이다.

전담인력은 22개 시·군을 나눠 관리한다. 또 이들은 주로 자립준비청년들의 전화상담 뿐만 아니라 1대1 면담, 현장 방문 등까지 도맡다보니 업무 과중을 호소하고 있다.

입무 과중은 전담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전담인력 부족 이유로는 높은 채용 기준과 낮은 연봉이 대표적으로 꼽힌다.

자립지원전담기관에서 근무하려면 사회복지사 1급(근무경력 2년 이상)이나 2급(근무경력 4년 이상), 정신건강사회복지사 2급 이상(근무경력 2년 이상)의 자격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 사례관리 업무경력(4년)이나 자립지원전담기관에서의 근무경력을 우대조건으로 제시해 젊은 직원들의 채용을 가로막고 있다.

때문에 전남도의회는 전담인력 처우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김재철 의원(더불어민주당·보성1)은 "자립지원전담인력이 기관에만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22개 시·군 출장도 다녀야 하고, 맞춤형 서비스도 제공해줘야 하는 등 업무가 많은데 그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전담인력의 유출도 심각하다. 청년들의 멘토 역할을 해야 할 인력이 자주 바뀌면 체계적인 지원 정책 또한 무용지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인력)구조를 근본적으로 고쳐야 한다"고 우려했다.

전남 자립준비청년전담기관 관계자는 "채용기준이 높은 반면 급여는 낮은 편이어서 이적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게다가 관리자(팀장급) 이상에 대한 급여체계도 없다보니 팀장급 이상의 지원자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슬퍼요
3
후속기사 원해요
3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