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자원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한 개도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에 따르면 지난 17일 국제회의실에서 '문화자원 ODA를 통한 쌍방향 지속가능 발전 방안 모색'을 주제로 포럼이 열렸다.
이날 포럼은 ACC가 2022년부터 추진해 온 키르기스스탄과 라오스 문화자원관리 분야 ODA사업 성과를 공개하고, 이들 국가의 문화콘텐츠 개발 지원 방향을 논의하고자 기획됐다.
1부에서는 이강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당장의 개회사에 이어 아이다 이스마일로바 주한키르기스스탄대사, 송칸 루앙무닌톤 주한라오스대사의 축사가 진행됐다.
이후 '공공외교로서의 문화 ODA와 상호 지속가능 발전 전략'에 관한 함한희 무형문화연구원장의 기조 강연으로 포럼이 본격 시작됐다.
2부는 '키르기즈·라오스 문화자원관리시스템 구축 방향과 문화 발전'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의 장이 펼쳐졌으며, 3부는 '문화자원 활용 문화콘텐츠 개발과 문화 발전', 4부는 'ACC 디지털문화자원관리시스템의 확장과 미래'를 소주제로 진행됐다.
특히 포럼에서는 ACC가 지원해 구축된 두 나라의 통합 디지털문화자원관리시스템이 공개돼 더욱 관심을 모았다.
키르기스스탄은 유목과 실크로드를 주제로, 라오스는 메콩 유역의 불교문화를 주제로 시스템에 입력된 문화자원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의 가능성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또 4부 'ACC 디지털문화자원관리시스템의 확장과 미래' 시간에는 ACC의 아시아문화자원 아카이브의 미래가 제시됐으며, 기후위기 시대의 ACC 문화자원관리시스템의 역할에 대해서도 열띤 토의가 이뤄졌다.
공적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는 국가, 지자체 및 공공기관이 OECD에서 지정한 수원국의 경제 발전과 사회복지 증진을 목표로 제공하는 원조사업이다.
ACC는 2022년부터 키르기스스탄, 라오스 등 문화자원의 관리와 활용을 지원을 통해 지속가능한 문화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강현 전당장은 "우리나라가 개도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문화 분야 지원이 매우 절실하다"며 "이번 포럼은 공여국과 수원국이 함께 발전하는 방안을 찾는 뜻깊은 자리"라고 강조했다.
이관우기자 redkcow@mdilbo.com
-
아시아문화전당이 트로트에 빠진 날 지난 21일 ACC에서 열린 '애호가편지' 개막행사에서 메이와덴키의 토사 노부미치와 가수 이박사가 합동 공연을 펼치고 있다. "영맨! 자리에서 일어나라~ 영맨! 힘찬 날개 달고 가자! 나도 신이 난다~!"경쾌하게 울려 퍼지는 뽕짝리듬에 관객들이 너도나도 몸을 뒤흔들고, 노래가사를 큰소리로 따라 불렀다. 빠른 리듬에 따라 함께 춤을 추다 흥에 겨워 "신바람 이박사!"나 "와이엠씨에이!", "조아조아조아~!" 등을 외치는 소리도 이어졌다.반짝이 의상을 입고 박수를 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열정적으로 두팔을 벌리며 안무를 따라하는 사람도 있었다.지난 21일 오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복합전시2관에서 200여명의 관람객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전시 '애호가편지'의 개막행사는 작은 축제장으로 변모했다. 트로트와 미술의 결합으로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전시에 앞서, 참여 작가들을 초청한 개막행사가 열린 것이다.참석자 중 일부는 반짝이 의상을 입고 행사장에 나타나 눈길을 끌었으며, 김상욱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 직무대리도 반짝이 모자와 넥타이를 착용한 채 "이번 전시를 축제처럼 즐겨달라"고 말하며 흥을 돋웠다.지난 21일 ACC에서 열린 '애호가편지' 개막행사에서 참여작가인 메이와덴키가 직접 만든 이색 악기들을 선보이고 있다.개막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메이와덴키와 가수 이박사의 '메카 트로트' 합동 퍼포먼스였다. 메이와덴키의 대표이자 사장인 토사 노부미치는 가전제품으로 직접 만든 이색적인 악기들을 선보여 관람객들의 웃음을 자아냈다.이박사의 노래들이 메이와덴키의 전자음악과 어우러지자, 관람객들은 너도나도 핸드폰으로 공연을 촬영하고 대표곡 '영맨'의 후렴구를 소리높여 외쳤다.특히 마지막으로 부른 '스페이스 판타지'는 메이와덴키의 원곡을 이박사가 우리나라 뽕짝풍으로 편곡한 노래로 합동공연의 의미를 더했다.열광적인 공연이 끝난 이후로도 모과·빠끼 작가가 전시 리셉션 및 디제잉 퍼포먼스를 선보였으며, 관람객들은 다양한 다과와 함께 테크노 각설이 작가가 직접 담근 막걸리를 마시며 전시를 즐겼다.일부 관람객들은 행사가 끝난 후에도 공연의 여운이 가시지 않은 듯 작가들 주변에 몰려 작품의 의도를 물어보기도 하고, 체험형 작품을 통해 나만의 뽕짝 음악 만들기에 여념이 없었다.지난 21일 ACC에서 열린 '애호가편지' 개막행사에서 관람객들이 이박사와 메이와덴키의 공연을 감상하고 있다.대학생 황순호(25)씨는 "음악과 미술이 합쳐지는 전시가 많지만 트로트라는 장르를 감각적으로 표현해서 새로웠다"며 "조용하고 정적인 전시도 많은 사람과 흥겹게 즐기게 하는 것이 트로트의 매력인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전시를 기획한 김혜현 학예연구사는 "촌스러운 음악 취급을 받은 트로트와 뽕짝이 2020년 들어서 다양한 음악 장르로 재구성되고 인기를 끌게 된 것이 이번 전시의 출발점이었다"며 "우리 모습을 가장 잘 담고 있는 트로트를 통해 도시에서의 우리 삶을 새로 바라보고 위로받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애호가편지는 3월22일부터 8월24일까지 문화창조원 복합전시2관에서 진행되며, 트로트를 중심으로 다양한 도시 풍경과 감각을 재해석한 14종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글·사진=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 우리 삶 애환 담긴 '트로트·뽕짝' 전시로 만난다
- · 판소리와 미디어아트의 결합 '두 개의 눈'
- · 올해 ACC 문화교육 '한눈에'
- · 떠오르는 문화예술 직업, ACC서 만나자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