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가 추진 중인 새꿈도시 조성사업이 지지부진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2일 전남도의회에 따르면 이현창 의원(더불어민주당·구례)은 제386회 제2차 정례회 건설교통국 소관 업무 행정사무감사에서 새꿈도시 조성사업이 지지부진하다고 비판했다.
새꿈도시 조성사업은 베이비붐 세대 은퇴인구의 전남 유입과 귀농어·귀촌 유도를 위해 지난 2009년 시작된 사업으로 당시 '은퇴자 도시'라는 명칭으로 시작됐으나 이후 '새꿈도시'로 변경돼 진행하고 있다.
이 의원은 "당초 계획대로라면 현재 활발하게 분양과 공사가 이뤄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나마 진행 중인 담양 매산지구 새꿈도시는 298세대 조성 계획 중 126세대만 진행되고 있으며 그마저도 분양률은 24%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극소수 투자자만 아는 새꿈도시 조성사업에 대해 시군 및 민간사업자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며 "지역의 특성과 은퇴인구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정책으로의 전환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유호규 전남도 건설교통국장은 "최근 각종 공사비 폭등과 부동산 시장 악화로 민간 사업자들이 쉽게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앞으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투자유치를 활성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한편, 새꿈도시 조성사업은 담양 매산지구를 비롯한 42개소가 후보지로 지정됐으며, 설계 및 단지 조성중인 곳은 4개소이나 실제 입주까지 진행된 곳은 장흥 로하스타운 1곳에 불과하다. 또한 올해 2월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전남 새꿈도시 조성사업 지원 조례'를 개정해 사업 지원 최소 건축기준 조건을 기존 50세대에서 30세대로 완화한 바 있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한국거버넌스대상] 출범 44주년···국정관리 공공담론 연구 중심 한국거버넌스학회는 국정관리에 관한 공공담론(public discourse)의 이론과 실체를 연구하는 전국 규모 학술단체다. 1978년 '한국행정학회 호남지회'로 출발해 1985년 '광주·전남행정학회'로, 2003년에는 사단법인 '한국거버넌스학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전국학회로 발전해온 44년의 역사를 가졌다.현재 1천200여명에 달하는 전국의 행정학자와 관련 지식인들이 학문 공동체를 형성해 국가발전과 지역발전을 위한 새로운 담론구성과 이론 개발을 위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또한 매년 4번의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의 결과로 한국연구재단 A급 등재지인 '한국거버넌스학회보(Korean Governance Review)'를 매년 3차례 (4월, 8월, 12월) 발간하고 있다.한국거버넌스학회는 전국학회와 지속적인 학문공동체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구·경북 지역을 근간으로 하는 한국정부학회와 매년 하계공동학술대회를 순회 개최하고 있다.부산·울산지역을 근간으로 하는 한국지방정부학회와 전북지역을 근간으로 하는 한국자치행정학회와도 공동으로 학술대회·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2024년 한국거버넌스학회는 광주시의회, 전남교육청,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섬진흥원, 광주 서구, 국가철도공단, 한국정부학회, 목포해양대학교, 목포대학교, 송원대학교 등 36개 기관과 공동으로 학술대회 4회, 세미나 2회를 개최했다. 이를 토대로 지방시대 지역에 문제를 전국의 석학들과 함께 토론하고 논의하며 해결방안을 모색해 지역발전에 선도적인 역할을 했다.한국거버넌스학회는 지속가능한 디지털 대전환기 시대에 학술적 공공담론의 선도적인 역할을 모색하고 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한국거버넌스대상-최명수 전남도의원] 재난 예방·도민 안전 강화 노력
- · [한국거버넌스대상-장성군] 지역경제와 관광 활성화의 모범 사례
- · [한국거버넌스대상-최지현 광주시의원] 기후위기·지역소멸 활동···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 기여
- · [한국거버넌스대상] 해 거듭하며 성숙한 지방자치 피부로 느껴져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