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강 시장이 직접 입장 밝혀라" 촉구
고광완 부시장 "사과보단 재발 방지 하겠다"
이례적으로 연이어 행정사무감사를 중단한 광주시의회가 11일 입장문을 내고 광주시에게 파행의 책임을 물었다. 이날 고광완 행정부시장에게 사과하라고 요구했지만, 거절당한 직후 공식적으로 항의한 셈이다.
광주시는 중대한 사안이 아님에도 광주시의회가 감사를 중단했다는 입장을 밝히며 양 기관이 대립각을 세우는 모양새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광주시의회는 11일 행정사무감사와 관련, 입장문을 내고 "파행의 책임은 누구인가?"라며 "광주시는 책임있는 자세로 행감에 임하라"고 촉구했다.
광주시의회는 입장문을 통해 "일부 피감기관 행정사무감사에서 부실하고 허술한 자료 제출, 허위 자료 작성, 허위 답변 등이 있었고, 유사한 사례가 연일 발생하고 있다"며 "광주시의회는 연일 반복되는 부실 감사를 막기 위해 감사를 중단할 수 밖에 없었다"고 부연했다.
특히 광주시의회는 "산업건설위원회는 의회와 집행부의 갈등을 해소하고 엉클어진 행정사무감사를 바로 세우고자 행정부시장을 증인으로 채택했다"면서 "행정부시장은 집행부나 산하기관이 잘못한 것을 단순한 실수나 오기라고 우겼다"고 설명했다.
이에 광주시의회는 강기정 광주시장이 직접 입장을 표명해줄 것을 요구했다. 광주시의회는 "잘못한 것이 있어 아쉬운데 사과는 못 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행정사무감사에서 피감기관과 부시장이 보여준 행태와 태도는 참으로 유감"이라고 강조했다.
또 광주시의회는 "이제라도 광주시의 행정사무감사를 임하는 태도와 인식의 전환을 요구한다"며 "파행의 주체인 광주시는 진솔한 사과와 함께 책임 있는 자세로 행정사무감사에 임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후 광주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는 고광완 광주시 행정부시장을 행정사무감사 증인으로 불러 감사 중단에 따른 의견을 묻고 사과를 요구했다.
의원들이 잇따른 사과 요구에도 고 부시장은 "감사를 중지할 정도의 심각한 사안은 아니다", "충분히 소명할 기회를 줬으면 어떨까 하는 마음이다. 사과보다는 재발 방지를 하겠다"며 입장을 굽히지 않으면서 양측의 긴장이 이어졌다.
이에 신수정 광주시의회 의장은 "당초 행정사무감사 중단에 따른 입장문을 감사가 끝난 후 내려고 했으나, 오늘 바로 발표할 예정"이고 공식 입장을 예고했다.
한편, 산건위는 지난 5일 광주테크노파크와 8일 통합공항교통국이 허위 또는 조작된 자료를 제출하고 허위 답변을 했다며 감사를 중단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한국거버넌스대상] 출범 44주년···국정관리 공공담론 연구 중심 한국거버넌스학회는 국정관리에 관한 공공담론(public discourse)의 이론과 실체를 연구하는 전국 규모 학술단체다. 1978년 '한국행정학회 호남지회'로 출발해 1985년 '광주·전남행정학회'로, 2003년에는 사단법인 '한국거버넌스학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전국학회로 발전해온 44년의 역사를 가졌다.현재 1천200여명에 달하는 전국의 행정학자와 관련 지식인들이 학문 공동체를 형성해 국가발전과 지역발전을 위한 새로운 담론구성과 이론 개발을 위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또한 매년 4번의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연구 활동의 결과로 한국연구재단 A급 등재지인 '한국거버넌스학회보(Korean Governance Review)'를 매년 3차례 (4월, 8월, 12월) 발간하고 있다.한국거버넌스학회는 전국학회와 지속적인 학문공동체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구·경북 지역을 근간으로 하는 한국정부학회와 매년 하계공동학술대회를 순회 개최하고 있다.부산·울산지역을 근간으로 하는 한국지방정부학회와 전북지역을 근간으로 하는 한국자치행정학회와도 공동으로 학술대회·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2024년 한국거버넌스학회는 광주시의회, 전남교육청,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섬진흥원, 광주 서구, 국가철도공단, 한국정부학회, 목포해양대학교, 목포대학교, 송원대학교 등 36개 기관과 공동으로 학술대회 4회, 세미나 2회를 개최했다. 이를 토대로 지방시대 지역에 문제를 전국의 석학들과 함께 토론하고 논의하며 해결방안을 모색해 지역발전에 선도적인 역할을 했다.한국거버넌스학회는 지속가능한 디지털 대전환기 시대에 학술적 공공담론의 선도적인 역할을 모색하고 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한국거버넌스대상-최명수 전남도의원] 재난 예방·도민 안전 강화 노력
- · [한국거버넌스대상-장성군] 지역경제와 관광 활성화의 모범 사례
- · [한국거버넌스대상-최지현 광주시의원] 기후위기·지역소멸 활동···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 기여
- · [한국거버넌스대상] 해 거듭하며 성숙한 지방자치 피부로 느껴져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