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진 전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이 글로벌광주방송(GGN)에서 고액의 출연료를 받았다는 지적이 광주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잇따라 제기됐다.
6일 광주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는 광주시 출연기관인 GGN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했다. 이날 행정사무감사는 김 전 부시장의 '출연료'에 쏠렸다. 김 전 부시장은 GGN '김광진의 오마이 광주'에 고정 출연한다. 출연료 특급 대우 이상을 적용받아 1시간에 30만원이 적용됐다. 주 5일 진행함에 따라 월 환산 600만원가량을 받는다.
이에 행자위 위원들은 GGN 재정 여건에 비해 출연료가 과도하다고 지적했다.
박희율(더불어민주당·남구3) 의원은 "김 전 부시장이 특급 대우를 적용 받아 한 달에 600만원대의 출연료를 받고 있어 특혜로 보일 수 있다"며 "유튜브 실시간 시청자 수가 평균 253명인 점과 방송사 여건을 감안해 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임석(민주당·남구1) 의원은 "주력 시간대인 출·퇴근 시간에 프로그램이 편성됐다"며 "광주시가 편성권에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닌가"라고 물었다.
직전 광주시 고위공직자를 역임한 김 전 부시장에 대해 헌신적 태도가 아쉽다는 의견도 나왔다.
채은지 의원(민주당·비례)은 "김 전 부시장은 옛 광주영어방송 시절부터 경영 위기를 알고 있었을 텐데, 광주를 사랑하고 방송을 위했다면 스스로 출연료를 조정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도한 GGN 사장은 "사장 취임 전 김 전 부시장의 출연료 책정이 이뤄졌다"면서도 "타 방송과 비교해 출연료가 적정한지 검증 과정에 있다"고 답변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광주 정치인들 박근혜 탄핵보다 결집력 높아" 심철의 광주시의원. 심철의 광주시의원(더불어민주당·서구4)은 9일 탄핵 정국과 관련해 "광주 정치인들이 지역의 역사적 상징성에 걸맞은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심 의원은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제7대 광주시의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유일하게 '두 번째 탄핵 정국'을 경험한 현역 시의원이다.심 의원은 "이번 탄핵 정국은 과거 박 전 대통령 탄핵과는 사유와 성격에서 차이가 있다"며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는 국정농단 사건이 주요 쟁점이었다면, 이번에는 '비상계엄 선포에 의한 국민 위협'이라는 보다 심각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심 의원은 "2016년 당시에는 시민들이 촛불 행동을 주도하고 정치권이 이를 뒤따랐다면, 현재는 정치인들이 더 조직적이고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며 "당시 시의회는 민주당과 국민의당과 나뉘었던 반면, 현재는 국민의힘 의원 1명을 제외하고 민주당과 무소속 의원들이 뜻을 모아 '원팀'으로 움직이고 있다. 민주당 광주시당, 중앙당과 기초의회와도 긴밀하게 소통해 공동성명 발표 등을 이어가는 중"이라고 설명했다.다만 심 의원은 "광주가 중심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이유로 다른 지역과의 조화를 깨거나 과도하게 앞서나가서는 안 된다"며 지역 간 균형과 협력을 강조했다.심 의원은 "광주가 민주화 도시인 만큼 지역에서 앞장서야 한다는 생각이 있는데, 자칫 이로 인한 독단 행동이 발생하면 충돌의 빌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라며 "행렬의 선두에 서되, 정치적 행동에 대해선 범야권 및 타 지역 등과 함께 발맞춰야 한다"고 말했다.심 의원은 시민들의 집회 참여 양상에 대해서는 '초기 단계'로 평가하며, 앞으로 상황 변화에 따라 시민들의 움직임이 더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했다.심 의원는 "현재 박 전 대통령 탄핵 때보다는 거리로 나서는 시민 규모는 적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시민이 행동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며 "지역 정치권도 이러한 흐름을 민감하게 주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한편, 광주시의회는 윤 대통령 탄핵 관련 현수막 게첨, 국힘당사 앞 침묵시위 등 추가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강주비기자 rkd98@mdilbo.com
- · "윤석열 탄핵" 삭발·단식 나선 광주·전남 지방의원들
- · '탄핵정국' 전남도의회, 대만과 교류 활동 전면 취소
- · 시·도의회, 계엄 사태 후속 대응 '총력'
- · '5·18 기념 대중교통 무료이용 사업' 1년 만에 좌초 위기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