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 나비효과 ② 사나워진 산불
지난 5년간 건조주의보 발효 전국 상회
5년간 214건 산불 발생…787ha 소실
계절 안가리는 산불…지구 온난화 이유

최근 광주·전남지역에서 겨울 산불이 잦아지고 있다. 계속되는 건조한 날씨에 산림이 바짝 타 들어가면서다. 지구온난화 탓이다.
13일 산림청에 따르면 2020년∼2024년 5년간 광주 21건, 전남 193건 등 모두 214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1년에 40여 건 꼴이다. 2020년 광주 3건·전남35건, 2021년 광주 4건·전남 40건, 2022년 광주 5건·전남 45건, 2023년 광주 4건·전남 38건, 2024년 광주 5건·전남 35건 등이다. 광주·전남의 지난 5년간 피해 면적만 해도 787㏊에 이른다. 여의도 면적의 2.7배, 상암 월드컵경기장 131개 크기의 산림이 화재로 사라졌다.
전국적으로도 산불 발생 빈도수는 늘고 있다. 2020년 620건에서 2023년 768건으로 증가했다.
산불 대형화 양상도 뚜렷하다. 지난 3월 경북 영덕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은 수 십 ㏊의 산림을 태웠다. 실제 피해 면적도 2020년 408㏊에서 2022년에는 9배 가까이 늘어 3천746㏊로 급증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산불의 계절적 분포가 예년과 달리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5년간 겨울철(12월~2월) 평균 산불 발생 건수는 75건으로, 1990년대 38건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이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겨울철 기온 상승과 강수량 감소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산불 위험이 일상화되고 있는 데 대한 대책 마련을 주문하고 있다. 예방 중심의 산불 대응 체계 구축 등이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기후플레이션' 현실화···위기 대응 컨트롤타워 설치를 최근 극한호우와 역대급 폭염 등 기후 위기가 가속화 되면서 밥상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날씨 변동에 따라 농·수산물 수급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법적·제도적 정비와 함께 정부 차원의 컨트롤 타워를 주문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수년 간 되풀이 되는 이상기후로 인해 '금(金) 수박·복숭아·상추·깻잎·고등어·우럭' 등 품목 별로 가격이 치솟고 있는데, 이 같은 서민 경제 압박 요인을 줄일 수 있는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는 취지에서다.우선,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나 이상 기후가 농산물 수급과 식탁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경고한다. 박형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농업경제학 박사)은 "생필품에 가까운 농산물들은 수요는 그대로 있는데 공급이 줄어들기 때문에 시민들에게 굉장히 크게 다가올 수 있다"면서 "기후 문제가 계속 지속되고 해결책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취약계층에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실제 기후 변화에 따른 나비효과는 현실화되고 있다. 한국은행의 분석 결과, 국내 물가 상승분의 10% 가량이 고온 등 이상기후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폭염 등의 원인으로 일시적으로 기온이 1도 오르면 농산물가격은 0.4~0.5%p 오르는 걸로 나타났다. 기온이 1도 오르는 충격이 1년간 지속된다면 이후 농산물 가격은 2% 오르고, 전체 소비자물가 수준은 0.7% 상승하는 걸로 추산됐다.피해 보상에 대한 우려도 크다. 농·수산물 등의 경우 재해보험 가입이 가능하지만 실제 가입률은 낮다. 보험료를 국가에서 상당 부분 지원해주지만 여전히 비싼데다가 기후 문제로 피해를 입어도 보상받을 수 있다는 신뢰가 없다는 이유에서다.이처럼 피해는 현실화 하고 있지만 뾰족한 대책은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기후 위기 피해는 전 사회적으로 확산하고 있지만, 정부 각 부처와 지자체 등의 대응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농산물은 농림축산식품부, 수산물은 해양수산부, 산불은 산림청, 물가 관리는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와 지자체, 산하 기관 등 각자의 입장에서 대응에 나선다면 전체적인 방향성과 효율성 등을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생산과 유통, 소비 시스템 점검 등 기후 위기와 관련한 정부 차원의 통합 운영·관리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주문이 나오는 이유다.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예고됐던 '극한 기후', '밥상 물가' 끌어올렸다
- · 추석(秋夕) 아닌 하석(夏夕)···달라진 풍경
- · "작년 추석 35도까지···올해도 걱정이네요"
- · "꿀벌 빌려야 감 열려요"···수정에도 돈 드는 농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