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관·전일빌딩245 등과 비슷해
차별화한 방향성 먼저 고민해야
옛 전남도청 복원과 함께 내부를 채울 전시 콘텐츠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가운데 자칫 장소성에 의존한 차별성 없는 콘텐츠로 채워지진 않을지 우려를 사고 있다.
'옛 전남도청 전시콘텐츠 복원 모델 도출 세미나'가 31일 전일빌딩245에서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옛전남도청복원협의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 주관으로 개최됐다.
세미나는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의 옛 전남도청 전시콘텐츠 구현안 경과 보고를 시작으로 의견 조사 용역 결과 보고로 이어졌다. 발제에는 이재의 5·18기념재단 연구위원과 이동기 강원대 평화학과 교수가 나서 각각 '복원의 원칙과 방향에 관한 하나의 제언' '방문객 입장에서 본 전시와 운영'을 발표했다.
이날 발제에서 이 연구위원은 "민간주도, 원형 보존, 5·18정신 계승, 민주 연대, 왜곡 대응 등 5개 원칙을 바탕으로 해야하며 특히 우리는 궁극적으로 왜곡 대응을 목표로 교육적 콘텐츠에도 힘을 써야한다. 또 옛 전남도청 의미에 따라 복원은 반드시 민간 주도, 관 지원으로 이뤄져야한다"며 "장소적으로 서사를 풀어내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시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데 유의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 연구위원은 도청 본관, 별관, 회의실과 도경 본관, 민원실, 상무관 등에 대한 세부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방문객 입장에서 그냥 보고 나가는 공간이 될 것이냐 또 오고 싶은 공간이 될 것이냐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한다"면서 "기념박물관, 역사박물관의 성격으로 진행하려면 유물과 자료 수집, 보관, 전시, 교육, 연구 등이 주요한 기능이 되기 때문에 전문성에 기초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그는 "기념박물관은 역사 현장을 직접 체험한다는 것이 관람객에게 소구되는 포인트다. 역사에 대해 깊게 알 수 있는 것은 요즘 유튜브나 자료, 서적 등으로 충분하기에 자신이 역사적 현장에 직접 왔음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완전한 원형복원은 힘들다. 역사현장의 보존에 집중해 성격에 맞게, 관람객의 요구에 맞게 유지와 보존, 재현과 활용, 구성과 변형이 함께 있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옛 전남도청이 어렵게 원형을 복원하고도 드나드는 이 없이 상징적 의미로만 전락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기존 유관기관인 5·18기록관과 전일빌딩245 등이 진행하고 있는 전시 콘텐츠와의 차별성에 대한 논의 없이 장소성에 기댄 채 콘텐츠 내용에만 집중하고 있어서다. 이날 논의된 방향만 보더라도 비슷한 콘텐츠를 벗어나기는 어려워보인다.
지역 한 문화계 인사는 "옛 전남도청이 힘들게 원형을 복원해 오월 전승을 기대한다면 기존 기관이 진행하고 있는 전시나 체험, 콘텐츠와는 차별화된 방향성을 먼저 도출해야한다"며 "이러한 고민 없이 이뤄지는 콘텐츠 논의는 앞으로 5·18이 전국화하고 세대를 넘어서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보다 전문적으로 고민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옛 전남도청 복원 추진단 측은 "이번 세미나는 전시 콘텐츠의 방향에 대해 옛 전남도청 복원과 관련한 많은 관계인들과 시민, 전문가들이 의견을 나누고자 만든 첫 번째 자리로 이번 세미나에서 발표된 내용들이 정해진 방향이라 볼 수 없다 "면서 "앞으로 복원협의회 측과 논의해 의견을 나누는 자리를 더 많이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토론에는 김기곤 광주전남연구원 실장, 박경섭 전남대 문화인류고고학과 강사, 홍성칠 복원대책위 집행위원장, 이기봉 5·18기념재단 사무처장, 김꽃비 청년문화허브 운영위원이 참여했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5·18 부상자·공로자회, 대국민 공동선언 폐기 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 부상자·공로자회는 11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민주의 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동선언문을 공식 폐기했다. 양광삼 기자 ygs02@mdilbo.com 지역사회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특전사동지회와 화합을 추진했던 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와 공로자회가 1년7개월 만에 대국민 공동선언문을 폐기했다.5·18 부상자·공로자회는 11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민주의 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어리석고 잘못된 인식으로 광주지역사회에 상처를 줬다"며 공동선언문을 공식 폐기했다.앞서 지난해 2월19일 두 단체는 서로 만나는 것 자체가 진상규명이라며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공동선언식'을 열고 1980년 5월 진압 작전에 투입된 특전사와 화합을 추진했다.상부의 명령에 따라 광주에 투입돼 임무를 수행한 계엄군들을 민주시민의 정의로운 항거를 억압한 가해자로 볼 것이 아니라 명령에 복종할 수밖에 없었던 피해자로 바라봐야 한다는 논리였다.당시 맺은 5가지의 행동강령에서도 매년 5·18민주묘지와 국립서울현충원을 합동 참배하는 것을 약속하는 등 5·18의 숭고한 정신이 지속적으로 계승·발전되도록 서로 적극적으로 협력해 국민대통합 구현에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보였다.그러나 공동선언식 이후 이어진 계엄군 초청 증언 행사부터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하고 해산된 자체조사위원회까지 5·18 진상규명에 단 한발짝도 나아가지 못했다,두 단체는 "진정한 사과와 반성이 없는 화해가 어찌 있을 수 있느냐는 지역사회의 우려의 목소리를 당사자 주의에 빠져 귀담아 듣지 않았다. 광주지역사회에 대한 배반이었다"며 "다시는 오월이 부끄럽지 않도록 뼈를 깎는 노력을 보이겠다"고 다짐했다.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5·18기념재단, 5·18 왜곡·폄훼 현수막 건 자유민주당 고발
- · 5·18 부상자회·공로자회, 오월어머니집 찾아 사죄
- · 9월 이달의 5·18 민주유공자 故 김용대씨 선정
- · 법원, 5·18부상자회장 직무정지 가처분 기각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