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남도청 채울 콘텐츠, 또 비슷하게?

입력 2023.05.31. 19:06 김혜진 기자
관련 세미나 갖고 의견 나눴으나
기록관·전일빌딩245 등과 비슷해
차별화한 방향성 먼저 고민해야
31일 옛전남도청복원협의회와 문화체육관광부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은 '옛 전남도청 전시 콘텐츠 복원 모델 도출 세미나'를 가졌다.

옛 전남도청 복원과 함께 내부를 채울 전시 콘텐츠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가운데 자칫 장소성에 의존한 차별성 없는 콘텐츠로 채워지진 않을지 우려를 사고 있다.

'옛 전남도청 전시콘텐츠 복원 모델 도출 세미나'가 31일 전일빌딩245에서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옛전남도청복원협의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 주관으로 개최됐다.

세미나는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의 옛 전남도청 전시콘텐츠 구현안 경과 보고를 시작으로 의견 조사 용역 결과 보고로 이어졌다. 발제에는 이재의 5·18기념재단 연구위원과 이동기 강원대 평화학과 교수가 나서 각각 '복원의 원칙과 방향에 관한 하나의 제언' '방문객 입장에서 본 전시와 운영'을 발표했다.

이날 발제에서 이 연구위원은 "민간주도, 원형 보존, 5·18정신 계승, 민주 연대, 왜곡 대응 등 5개 원칙을 바탕으로 해야하며 특히 우리는 궁극적으로 왜곡 대응을 목표로 교육적 콘텐츠에도 힘을 써야한다. 또 옛 전남도청 의미에 따라 복원은 반드시 민간 주도, 관 지원으로 이뤄져야한다"며 "장소적으로 서사를 풀어내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시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데 유의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 연구위원은 도청 본관, 별관, 회의실과 도경 본관, 민원실, 상무관 등에 대한 세부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방문객 입장에서 그냥 보고 나가는 공간이 될 것이냐 또 오고 싶은 공간이 될 것이냐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한다"면서 "기념박물관, 역사박물관의 성격으로 진행하려면 유물과 자료 수집, 보관, 전시, 교육, 연구 등이 주요한 기능이 되기 때문에 전문성에 기초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그는 "기념박물관은 역사 현장을 직접 체험한다는 것이 관람객에게 소구되는 포인트다. 역사에 대해 깊게 알 수 있는 것은 요즘 유튜브나 자료, 서적 등으로 충분하기에 자신이 역사적 현장에 직접 왔음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완전한 원형복원은 힘들다. 역사현장의 보존에 집중해 성격에 맞게, 관람객의 요구에 맞게 유지와 보존, 재현과 활용, 구성과 변형이 함께 있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옛 전남도청이 어렵게 원형을 복원하고도 드나드는 이 없이 상징적 의미로만 전락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기존 유관기관인 5·18기록관과 전일빌딩245 등이 진행하고 있는 전시 콘텐츠와의 차별성에 대한 논의 없이 장소성에 기댄 채 콘텐츠 내용에만 집중하고 있어서다. 이날 논의된 방향만 보더라도 비슷한 콘텐츠를 벗어나기는 어려워보인다.

지역 한 문화계 인사는 "옛 전남도청이 힘들게 원형을 복원해 오월 전승을 기대한다면 기존 기관이 진행하고 있는 전시나 체험, 콘텐츠와는 차별화된 방향성을 먼저 도출해야한다"며 "이러한 고민 없이 이뤄지는 콘텐츠 논의는 앞으로 5·18이 전국화하고 세대를 넘어서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보다 전문적으로 고민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옛 전남도청 복원 추진단 측은 "이번 세미나는 전시 콘텐츠의 방향에 대해 옛 전남도청 복원과 관련한 많은 관계인들과 시민, 전문가들이 의견을 나누고자 만든 첫 번째 자리로 이번 세미나에서 발표된 내용들이 정해진 방향이라 볼 수 없다 "면서 "앞으로 복원협의회 측과 논의해 의견을 나누는 자리를 더 많이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토론에는 김기곤 광주전남연구원 실장, 박경섭 전남대 문화인류고고학과 강사, 홍성칠 복원대책위 집행위원장, 이기봉 5·18기념재단 사무처장, 김꽃비 청년문화허브 운영위원이 참여했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1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