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공간집에서 박치호 탐구
올해부터 지역 문화공간서 진행
외부 큐레이터와 대담 형식 운영

광주비엔날레 재단이 8년여 동안 지역 작가의 작품 세계를 탐구하는 시간을 갖기 위해 진행해 온 'GB작가스튜디오 탐방'을 올해부터 방식을 달리해, 작가와 지역 미술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운영한다.
광주비엔날레는 오는 14일 오후 4시 예술공간집에서 'GB 작가탐방'을 진행, 박치호 작가를 만난다.
'GB 작가탐방'은 지난 2018년 지역 밀착형 정기 프로그램인 '월례회'로 시작, 그동안 'GB 작가 스튜디오 탐방'이라는 이름으로 광주와 전남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의 작업실을 직접 찾아 작업세계를 심층적으로 탐구해왔다.
올해는 프로그램 시작에 앞서 재단은 10명의 참여 작가(김설아·김신윤주아·노유승아·박치호아·신호윤아·윤준영아·이인성아·임수범아·정명숙아·천영록), 네 곳의 지역 문화 공간 대표(뽕뽕브릿지·예술공간집·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스페이스 DDF)와 간담회를 갖고 프로그램 세부 운영 방식과 방향성에 대해 논의, 개선했다.

달라지는 점은 크게 세 가지다. 기존에 작가 작업실에서 진행했던 것을 공간적 한계 등의 문제로 지역 문화공간에서 진행한다. 이에 따라 지역 작가 뿐만 아니라 지역 미술 생태계의 한 축을 맡고 있는 지역 문화 공간과 네트워크도 주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하나는 영상 촬영 방식의 변화다. 'GB 작가 탐방'은 팬데믹부터 유튜브 등을 통해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기존에는 작가가 혼자 자신의 작품 세계를 설명하는 방식으로 촬영됐다면 올해부터는 외부 큐레이터와의 대담 형식으로 촬영한다. 지난해 마지막 영상을 대담 형식으로 촬영, 작가 뿐만 아니라 영상 시청자들로부터 호응을 얻은 데에 따른 것이다. 특히 영상 자료 경우 영문과 국문으로 자막을 넣어 편집하기 때문에 작가들에게 자료로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는 평이다.

마지막 하나는 대담 진행자로 외부 큐레이터를 선정한 것이다. 올해는 김성우 프라이머리 프랙티스 큐레이터가 이끌어간다. 김 큐레이터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아마도예술공간 책임큐레이터로 활동했으며 제12회 광주비엔날레의 주제전 공동 큐레이터로 참여하기도 했다. 이같은 외부 큐레이터의 참여는 작가들에게 자극이 되는 한편 작가들이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케 한다.
보다 개선된 방식으로 운영되는 올해 첫 번째 작가탐방은 몸을 화면에 채워 그림으로써 인간의 서사와 삶의 내면을 조망하는 박 작가의 작업을 들여다보고 그의 전시를 함께 감상한다. 박 작가는 추계예술대에서 동양화를 전공하고 1994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2013년 발표한 '시간, 공간, 그리고 인간' 시리즈, 2020년 '망각' 시리즈 등 토르소, 두상 등 파편화 된 신체를 소재로 회화 작업을 이어왔다.
참여는 사전 신청 없이 누구나 가능하며 프로그램 이후 박치호 작가 인터뷰 영상이 광주비엔날레 공식 유튜브 채널에 공개된다.
'GB 작가탐방'은 올해 11월까지 매달 1회 이상 작가들과 만날 예정이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전남수묵비엔날레 존재 이유 확인할 수 있을것" 8월 30일~10월 31일 열리는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가 펼쳐지는 해남의 녹우당. "이번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는 수묵비엔날레를 왜 전남이 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해가 될 것입니다."22일 만난 윤재갑 2025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총감독은 이번 비엔날레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올해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는 오는 8월30일부터 10월31일까지 2개월 동안 목포와 진도, 해남에서 '문명의 이웃들(Somewhere over the yellow sea)'를 주제로 열린다.이번 주제에 대해 윤 총감독은 수묵화를 대륙이 아닌 해상문명권을 중심으로 들여다 보며 한국, 중국, 일본 동아시아 3국 뿐만 아니라 아시아 등으로 수묵을 확장해 살펴보기 위함이라고 전했다.그는 "대륙 중심으로 가면 중국 중심으로 펼쳐질 가능성이 있어 해상문명권으로 넓게 보며 아시아 등지로 시선을 확장하려 한다"며 "특히 서양화의 재료와 기법을 받아들인 상태에서 수묵은 어떻게 변화하고 확장해왔는지를 짚어보려고 한다. '전통의 혁신' '재료의 확장'이 이번 행사 전체를 관통하는 키워드"라고 말했다.이어 이번 행사는 200개가 넘는 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열리고 있는 상황에서 왜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가 열려야 하는지를 볼 수 있는 자리라고 강조했다.윤 감독은 "200개가 넘는 비엔날레 중 수묵비엔날레는 세계적으로 2개뿐이다"며 "중국 심천의 수묵비엔날레가 그 첫 번째로 짧지 않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국가 통제로 인해 수묵 작가들이 자유롭게 작품을 선보일 수 없는 행사이다. 그런 상황에서 전남의 국제수묵비엔날레는 아시아의 시각에서 미학을 논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이다"고 이야기했다.특히 수묵비엔날레가 왜 '전남'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을 보고 느낄 수 있는 자리임을 이번 전시 장소와 연계해 설명했다. 이번 전시는 목포와 해남, 진도에서 각각 2곳에 전시장을 둔다. 목포문화예술회관과 목포실내체육관, 진도남도전통미술관, 진도소전미술관, 해남고산윤선도박물관(녹우당), 해남땅끝순례문학관. 이 중 진도와 해남에서는 전남이 예향으로 불리게 된 까닭을 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공재 윤두서 '자화상'해남은 윤선도-윤두서로 이어지는 녹우당 일가를 중심으로 전시가 펼쳐진다. 공재 윤두서의 '자화상'은 한국회화사의 3대 작품으로 특별한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녹우당의 화첩은 남종화의 맥을 이어온 허씨 집안을 대표하는 진도 운림산방을 만든 소치 허련이 그림을 배운 바탕이 됐다. 이같은 지역성을 바탕으로 해남과 진도에서 펼쳐지는 전시는 '예향 전남'을 압축해 설명하는 장이 된다.진도의 소전미술관도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앞서 언급된 공재 윤두서의 '자화상'과 함께 3대 작품을 이루는 추사의 '세한도', 겸재의 '인왕제색도'를 자신의 컬렉션으로 두고 있었던 소전 손재형의 서예 작품과 추사 김정희, 흥선대원군으로 알려진 석파 이하응, 철농 이기우, 학정 이돈흥, 목인 전종주 등의 작품을 통해 서예의 아름다움을 펼쳐낸다.윤 감독은 "해남과 진도 전시를 꼭 추천하는 이유가 우리가 자세히 알지 못했던 녹우당 가문과 소전에 대해 우리가 재발견하고 전남이 왜 예향인지 알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목포에서는 수묵을 재발견할 수 있는, 기존의 수묵 문법을 극복한 작품들이 대거 선보여진다. 목포문화예술회관에서는 팀랩의 '블랙 웨이브(Black Wave)'가 설치돼 젊은 층의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김은영 전남문화재단 대표는 "올해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는 국제적 규모의 행사임을 느낄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한국 작가로는 작고 작가부터 1995년 생의 젊은 작가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의 작품을 만날 수 있으며 해외 작가 또한 낯선 화면에서 느끼는 수묵과 수묵에서 느끼는 낯설음을 목격할 수 있는 작품들로 채워지니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전했다.김혜진기자 hj@mdilbo.com
- · 제16회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에 '작가' 호추니엔
- · "모든 사람 즐겁게 사는 세상 만드는 디자인 보일 것"
- · 이번 주말 놓치면 2년 더 기다려야해요
- · 일주일 남은 광주비엔날레 보러갈까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