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용 디자인' 키워드로 전시 펼쳐
패트리샤 무어 등저명 인사 참여
심포지엄 갖고 매니페스토 공표
전세계 디자인 전공생 챌린지에
광주 지하철 프로젝트 진행 '눈길'

"'디자인을 우리는 어떻게 이해하고 있나'를 질문합니다. 디자인을 '예쁘게 만드는 것' 정도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인식을 바꾸고 디자인의 역할이 물건을 예쁘게 만드는 것을 넘어서서 모든 사람이 즐겁게 살 수 있는 것에 역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이번 광주디자인비엔날레에서 보여주고 싶습니다."
지난 18일 최수신 제11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총감독은 이번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핵심 키워드를 '포용 디자인'이라 밝히며 키워드 선정의 배경을 이같이 밝혔다.
오는 8월 말에서 11월 초까지로 예정된 제11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포용'이란 키워드 아래 '너라는 세계: 디자인은 어떻게 인간을 끌어안는가?'를 주제로 열린다.
포용 디자인(Inclusive Design)은 세계적 디자인 추세이다. 배리어프리(Barrier-Free)가 장애인을 위해 물리적 장벽을 없애는 디자인을,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이 장애나 성별, 나이 등을 떠나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범용적 디자인을 뜻한다면 포용 디자인은 이 둘을 모두 끌어안는 개념이다. 개개인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디자인으로 물리적인 것을 뛰어넘어 서비스와 사회 시스템의 영역을 포함한다.
이번 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이같은 포용 디자인을 하나의 섹션이 아닌 전체 주제로 삼고 다양한 분야에서 이를 심도 깊게 살펴본다.
최 총감독은 "포용 디자인은 이미 오랜 시간 디자인계 등에서 논의된 것이기는 하나 지금까지 사회적으로 반향을 크게 일으킨 적이 없고 세계적 디자인 위크 등에서도 포용 디자인이나 유니버셜 디자인을 주제로 한 적이 없다"며 "광주디자인비엔날레가 포용 디자인을 주제로 열리는 첫 번째 디자인 행사로 높고 낮음이 없는 무등(無等)의 정신이 있는 광주가 포용 디자인을 이야기할 수 있는 적합한 곳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네 가지 영역서 살피는 포용디자인
본 전시는 4개 전시관으로 꾸려질 계획이다. 각 전시관은 '포용디자인과 세계' '포용디자인과 삶' '포용디자인과 모빌리티' '포용디자인과 미래'를 주제로 펼쳐진다.
1전시관은 세계 각국의 삶 속에서 포용 디자인은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 사회적 영향력은 어떤지 등을 심도 있게 살펴본다.
2전시관은 제품 뿐만 아니라 환경, 공공디자인까지 우리 삶 속에서 포용디자인이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바라보며, 3전시관은 기존의 이동약자 개념을 넘어선 인간의 권리인 자유의 관점에서 우리는 이동 어려움을 디자인을 통해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지를 교통 수단을 포함한 다양한 이동 수단에 대해 들여다 본다.
4전시관은 AI, 로보틱스 등의 미래기술 등장으로 우리 사회는 진정 탈인간화하게 되는 것인지, 우리에게 부족한 부분을 첨단 기술을 통해 채움으로써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지는 않은지 우리에게 상상력을 불어넣는다.
특히 네 개 전시관은 공간 디자인을 통해 동선을 핵심으로 가벽을 최소화하고 각 전시관 간의 콘텐츠가 연결될 수 있도록 조성될 계획이다.

◆영향력 높이고 삶에 스미게
포용 디자인을 실험하고 삶에 적용하는 프로젝트도 행사 기간 동안 전시와 함께 펼쳐진다.
전시 개막 주간에는 연계 국제심포지엄이 열린다. 세계적으로 저명한 패트리샤 무어(Patricia Moore), 라마 기라우(Rama Gheerawo) 등이 참여해 포용 디자인에 대해 고민하고 논의한다.
이 자리에서는 '광주포용디자인매니페스토'가 발표될 예정이다. 전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디자이너들이 참여해 뜻을 모으게 되는 이 매니페스토는 세계디자인기구(World Design Organization)를 통해 전세계로 공표될 예정이다. 아직까지 포용 디자인에 대한 원칙이 개발되지 않은 상황에서 전세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외 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초청해 펼쳐지는 72시간 포용 디자인 챌린지도 눈길을 모은다. 언어와 문화가 다른 학생들이 한데 모여 우리의 삶과 환경을 포용적으로 변화시킬 콘셉트를 개발하게 된다.
광주 포용 지하철 프로젝트도 주목된다. 지역 디자이너와 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주도하게 되는 프로젝트로 광주 지하철을 포용 디자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장애인 뿐만 아니라 외국인, 외부인 모두 쓸 수 있는 더욱 포용적인 지하철을 만든다. 실제 역사에 실제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지난 18일 시작했으며 실제 시민이 체험하며 포용디자인이 무엇인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프로젝트이다. 여기서 개발된 포용디자인은 2호선 지하철에도 적용하는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 총감독은 "광주디자인비엔날레가 행사에서 끝나고 그칠 것이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광주가 입에 오르내리는, 또 시민 삶에 스며드는 레거시가 되길 바라며 이번 전시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수신 총감독은 기아차의 첫 차인 세피아를 디자인한 한국 자동차 디자이너 1세대로 현재 미국 사바나예술대학(SCAD) 산업디자인 학부장을 맡고 있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GB 작가탐방, 달라진다 박치호 작 '침묵' 광주비엔날레 재단이 8년여 동안 지역 작가의 작품 세계를 탐구하는 시간을 갖기 위해 진행해 온 'GB작가스튜디오 탐방'을 올해부터 방식을 달리해, 작가와 지역 미술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운영한다.광주비엔날레는 오는 14일 오후 4시 예술공간집에서 'GB 작가탐방'을 진행, 박치호 작가를 만난다.'GB 작가탐방'은 지난 2018년 지역 밀착형 정기 프로그램인 '월례회'로 시작, 그동안 'GB 작가 스튜디오 탐방'이라는 이름으로 광주와 전남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의 작업실을 직접 찾아 작업세계를 심층적으로 탐구해왔다.올해는 프로그램 시작에 앞서 재단은 10명의 참여 작가(김설아·김신윤주아·노유승아·박치호아·신호윤아·윤준영아·이인성아·임수범아·정명숙아·천영록), 네 곳의 지역 문화 공간 대표(뽕뽕브릿지·예술공간집·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스페이스 DDF)와 간담회를 갖고 프로그램 세부 운영 방식과 방향성에 대해 논의, 개선했다.박치호 작 '붉은 몸'달라지는 점은 크게 세 가지다. 기존에 작가 작업실에서 진행했던 것을 공간적 한계 등의 문제로 지역 문화공간에서 진행한다. 이에 따라 지역 작가 뿐만 아니라 지역 미술 생태계의 한 축을 맡고 있는 지역 문화 공간과 네트워크도 주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또 하나는 영상 촬영 방식의 변화다. 'GB 작가 탐방'은 팬데믹부터 유튜브 등을 통해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기존에는 작가가 혼자 자신의 작품 세계를 설명하는 방식으로 촬영됐다면 올해부터는 외부 큐레이터와의 대담 형식으로 촬영한다. 지난해 마지막 영상을 대담 형식으로 촬영, 작가 뿐만 아니라 영상 시청자들로부터 호응을 얻은 데에 따른 것이다. 특히 영상 자료 경우 영문과 국문으로 자막을 넣어 편집하기 때문에 작가들에게 자료로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는 평이다.박치호 작 '붉은 손'마지막 하나는 대담 진행자로 외부 큐레이터를 선정한 것이다. 올해는 김성우 프라이머리 프랙티스 큐레이터가 이끌어간다. 김 큐레이터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아마도예술공간 책임큐레이터로 활동했으며 제12회 광주비엔날레의 주제전 공동 큐레이터로 참여하기도 했다. 이같은 외부 큐레이터의 참여는 작가들에게 자극이 되는 한편 작가들이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케 한다.보다 개선된 방식으로 운영되는 올해 첫 번째 작가탐방은 몸을 화면에 채워 그림으로써 인간의 서사와 삶의 내면을 조망하는 박 작가의 작업을 들여다보고 그의 전시를 함께 감상한다. 박 작가는 추계예술대에서 동양화를 전공하고 1994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2013년 발표한 '시간, 공간, 그리고 인간' 시리즈, 2020년 '망각' 시리즈 등 토르소, 두상 등 파편화 된 신체를 소재로 회화 작업을 이어왔다.참여는 사전 신청 없이 누구나 가능하며 프로그램 이후 박치호 작가 인터뷰 영상이 광주비엔날레 공식 유튜브 채널에 공개된다.'GB 작가탐방'은 올해 11월까지 매달 1회 이상 작가들과 만날 예정이다.김혜진기자 hj@mdilbo.com
- · 이번 주말 놓치면 2년 더 기다려야해요
- · 일주일 남은 광주비엔날레 보러갈까
- ·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현장서 어떤 작품이 반응 좋을까
- · 광주비엔날레 가면 취향 저격 굿즈도 있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