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수원에 복합쇼핑 브랜드 ‘타임빌라스’ 선봬
광주 복쇼 3사에 맞설 롯데 점포 변화 방향 ‘관심’
유통 대형사들이 판매시설을 강조한 백화점이나 아울렛 등을 체험 중심의 복합쇼핑몰 형태로 탈바꿈시키면서 '스타필드','더현대'와 같이 브랜드화하고 있다.
특히 광주지역에는 현대백화점그룹의 '더현대 광주'와 신세계그룹의 '그랜드 스타필드 광주', 광주신세계의 '아트앤컬처파크'로 3개의 복합쇼핑몰 건립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유통3사의 한축인 롯데쇼핑의 지역 점포 리뉴얼·개발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 판매 중심에서 체험 중심 복합쇼핑몰로
2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대형 유통사들이 백화점, 아울렛 등을 체험 중심의 복합쇼핑몰 형태로 개발하면서 '~백화점' 대신 해당 지역 특성 등이 반영된 각각의 브랜드를 내세우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난 2016년에 복합쇼핑몰 브랜드 '스타필드'를 런칭했다.
스타필드는 모두에게 사랑받는 스타와 같은 공간이라는 의미에서의 '스타'와 많은 사람이 모여 놀 수 있는 마당을 의미하는 '필드'가 합쳐져 탄생했다. 쇼핑, 여가, 레저까지 한 곳에서 즐길 수 있는 형태의 쇼핑 테마파크다. 하남점과 수원점, 고양점, 안성점, 코엑스몰점, 부천점 등을 운영하고 있다.
백화점과 센텀시티몰을 연결해 복합화한 부산 신세계 센텀시티점, 대전 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등도 기존 개념에서 탈피하고 있다.
광주지역에는 광산구 어등산관광단지에 2030년 개점을 목표로 '그랜드 스타필드 광주'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현지법인 광주신세계는 광주신세계백화점 확장을 추진하면서 문화·예술·과학·쇼핑을 접목한 미래형 프리미엄 백화점인 '광주신세계 아트앤컬처파크'(가칭)를 선보일 예정이다.
'아트앤컬처파크'는 광주의 '문화도시' 이미지를 접목해 갤러리, 개방형 대형 서점, 옥상 공간 등으로 꾸며 체류형 소비 공간으로 변화를 시도한다.
현대백화점그룹은 2021년 2월 여의도동 일원에 미래형 플래그십 스토어 '더현대 서울'을 개점했다.
백화점이란 한정된 틀에서 벗어나 고객에게 수준 높은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면서 인간적인 교감과 소통을 나누는 공간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점포명에서 '백화점'이라는 단어를 제외했다.
지난 6일 부산점을 전시·체험형 문화예술 공간으로 새단장해 도심형 복합쇼핑몰 '커넥트 현대'로 문을 열기도 했다.
광주지역에는 최단기간 1억명이 방문한 MZ들의 핫플 '더현대 서울'의 1.5배 규모로 북구 임동 전방·일신방직 공장부지에 '더현대 광주'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유통업계의 이 같은 브랜드화는 판매시설에 그쳤던 기존 백화점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고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해 매장으로 끌어모으기 위함이다.
'백화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체험 중심으로 매장을 구성함으로써 온라인 이커머스와 차별화해 고객들의 체류시간을 늘려나간다는 방침이다.
◆롯데, 광주 점포들에 변화 줄까
롯데백화점 광주점을 운영하는 롯데쇼핑도 복합화하고 있다.
롯데가 지난 5월 롯데몰 수원점을 10년 만에 대대적으로 리뉴얼해 백화점과 쇼핑몰의 강점을 결합한 '타임빌라스 수원'을 선보인 데는 지역 대표 랜드마크형 쇼핑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는 한편 지하철역 한 정거장 거리(4.6㎞) 떨어진 스타필드 수원과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광주 역시 복합쇼핑몰과의 경쟁을 위해 변화를 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또한 광주시가 롯데아울렛·마트 월드컵점이 운영되고 있는 건물에 대한 롯데쇼핑과의 임대차계약이 2027년 만료되면 민자 유치를 통해 쇼핑몰과 문화복합시설이 어우러지는 스포츠 문화파크로 조성할 계획을 세워둔 것도 롯데의 복합화에 힘을 싣고 있다.
롯데가 해당 공모에 참여해 실제 개발로 이어질 경우 체육시설이 결합된 지역 내 최대 규모 복합시설이 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가 개발 계획을 세운 염주종합운동장 일대 부지는 126만6천㎡(38만3천평)이다. 오는 2027년과 2030년 각각 개점을 목표한 더현대 광주(15만1천평), 스타필드 광주(12만6천평)와 비교했을 때 3~4배가량 큰 규모다.
롯데 관계자는 "2027년 임대계약 만료를 앞두고 광주시에서 개발 공모를 한다면 참여할 계획"이라며 "롯데백화점 운영과 관련해서는 점포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리뉴얼 등이 있을 수 있겠지만, 현재 상황에서 아직 확정된 내용은 없다"고 말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한 달 새 배추30%·사과32% 가격↑···농산물값, 설 전엔 잡힐까 전통시장에서 장보는 모습. 무등일보DB설을 앞두고 과일과 채소 등 농산물 가격이 폭등하면서 서민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기상여건이 좋다는 전제하에 수확물량 증가땐 가격이 다소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 무와 배추 수입, 봄 작형 재배면적 확대 등을 통해 시장물량을 조절키로 하는 등 가격 안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이날 기준 광주지역 배추 상품 1포기는 4천937원에 판매됐다. 평년(3천754원)과 전년(3천163원)에 비해 모두 오름세를 보였으며, 지난달(3천795원)보다도 30% 상승했다.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배추 중품도 1포기가 4천원에 거래돼, 지난해(3천57원)보다 30% 올랐다.100g당 928원에 판매된 시금치는 지난달(923원)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지난해(802원)·평년(683원)과 비교하면 각각 15%, 35% 비싸졌다.더욱이 당근 가격은 지난해보다 96% 뛰었다. 1kg당 6천900으로 지난해 가격은 3천505원을 기록했다.채소값과 더불어 과일값도 치솟고 있다.감귤(노지)은 10개에 5천87원에 팔렸다. 평년(2천942원) 가격에 비해 72%가량 오른 수준이다. 지난해(4천279)와 지난달(4천133)에도 4천원대를 유지하다가 올해들어 5천원대로 올랐다.사과의 경우 10개에 3만2천267원으로, 지난달(2만6천127원)보다 23% 비싸게 거래됐다.10개에 1만6천950원을 기록한 단감(상품)의 경우 한 달 만에 33% 오름세를 기록하고 있다.농산물의 이같은 가격 상승은 지난해 길었던 폭염과 폭우를 비롯한 이상기후 여파로 재배면적 감소, 생육 부진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이와 관련 농림축산식품부는 무와 배추를 수입하고 봄 작형 재배면적 확대 등을 통해 시장 물량 조절에 나선다.무와 배추가 겨울철 작황이 부진해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자, 유통인·김치업체의 저장 수요가 증가하는 등 일종의 사재기 조짐이 나타나고 있어 수량을 대폭 늘리겠다는 방침이다.전문가들은 설 명절 이전에 기상여건에 따른 물량 증가 시 가격이 하락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생육기에 비가 많이 내리면서 작황 부진으로 물량이 감소해 무와 당근 등의 가격이 지난해보다 올랐다"며 "보통 배추는 2월~3월까지, 무는 3~4월까지 수확한다. 기상여건이 좋다면 물량 증가로 현재보다는 가격이 다소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이어 "사과의 경우 지난해 11월과 12월 가격이 높게 형성되기는 했지만, 설 시기가 다가오면 배가 많이 출하되면서 수요가 분산되므로 지난달보다 낮은 수준으로 형성될 거 같다"고 설명했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탄핵정국에 꽁꽁언 연말···주류·유통업계 타격 우려
- · 2027년 하반기 '더현대광주' 출점··· '더현대서울'의 1.5배
- · 짧은 가을, 역대급 한파 예고···유통가는 11월의 X-mas
- · 광주 복합쇼핑몰 경쟁···롯데, 복합몰 '타임빌라스' 로 돌파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