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재앙이 된 산불, 피해 최소화 함께 장기 대응책 절실

@무등일보 입력 2025.03.27. 18:11

영남 지역에서 시작된 산불이 사상 최악의 인명 피해로 국가적 재앙이 되고 있다. 국민 생명을 지키기 위한 국가 차원의 총력전과 함께 산불에 대한 장기적 대응책이 요구된다.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27일 오후 4시 현재 경상권 산불로 사망 27명, 부상 32명 등 59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성에서는 산불 진화 중이던 헬기가 추락해 구조대의 희생을 또다시 목도해야 했다.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불은 건조한 날씨와 강풍에 확산하고 있다.경남 산청에서 지리산 국립공원 자락을 넘어 전남 구례 인근까지 접근하고 있다.

전남도 심상찮다. 지난봄 5건이던 산불이 올해는 이미 15건으로 3배나 급증했다. 다행히 재난으로 확대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 영농부산물이나 쓰레기 소각에서 비롯된 인재로, 예방할 수 있었던 사고들이라는 점에서 아쉬움이 크다.

여기에 전문화되지 못한 안전 대원, 진화 헬기의 노후화 문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국가적 과제다. 인명을 구하는 안전대원이 희생되는 참사는 막아야한다.

또 노후화가 이번 사고의 직접적 원인이었는지도 정밀한 감식이 요구되고, 그 후속 조치 또한 절실한 실정이다.

전남도는 여수와 순천 등 9개 시·군에 에 1대씩 산불 진화 헬기를 운용 중인데, 의성군에서 추락한 헬기(1995년 산)처럼 모두 1990년대 산이다. 30년 이상된 기체의 안전성과 신뢰성은 통계적으로 낮아질 수밖에 없고, 예측 불가능한 결함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다.

특히 최근의 산불은 더이상 일시적 재난이 아닌, 기후위기로 인한 구조적 위험이 되고 있다. 지난 1월 미국 서부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을 비롯해 최근 전 세계적으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의 주요 원인은 기후 변화로 인한 이상 고온과 건조한 날씨가 꼽히고 있다.

현재 지자체가 전담하는 시스템으로는 한계가 분명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이번 영남지역 산불이 증언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산불을 계기로 예방과 진화 시스템을 전면 재정비하기 바란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다. 국가의 대응 부족으로 국민 생명과 안전이 위협당하는 일이 더이상 발생해선 안 된다. 국가적 차원의 책임 있는 대응과 지역사회의 연대와 실천이 절실한 시점이다.

재난은 예고 없이 다가오지만, 대응은 준비된 만큼 가능하다. 하루빨리 국가를 정상상태로 만들 필요가 절실하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