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호남권 메가시티, 선언 넘어 실효성 구축해가야

@무등일보 입력 2025.03.23. 17:47

광주시와 전남도, 전북도가 손을 맞잡고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을 선언했다. 수도권 중심의 불균형 구조에 상대적으로 소외돼온 호남권이 하나의 연합체로 거듭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상징성이 크다.

이들 광역자치단체가 단순한 구호나 선언에 그치지 않고 실효성 있는 메가시티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3개 시·도지사는 최근 나주에 모여 초거대 AI 인프라 공동 유치, 광역 도로·철도망 연결, 2036 하계올림픽 유치 등 광범위한 공동 아젠다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연합 추진단 구성에 합의했다.

대구·경북의 '행정통합'시도와 부울경(부산·울산·경남)의 '메가시티' 전략이 정부 지원 속에 일정 부분 성과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호남권이 후발대를 천명한 셈이다. 부울경은 광역교통망, 공동 산업전략 등을 비교적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대구·경북은 행정통합은 무산되었지만, 경제공동체 협력체로 전환하며 동반 성장을 모색 중이다.

문제는 호남권 메가시티가 지자체 간 협력이 느슨하거나 선언적 수준에 머물러왔다는 점에서 우려도 제기된다. 그간 광역행정의 실질 연계는 미진했고, SOC 연계나 산업클러스터 전략에서도 각 시도의 독자노선이 더 도드라졌다.

이번 협약이 기존의 선언적 차원을 넘어서야 하는 이유다.

실질적인 기구를 만들고 구체적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는 점에서 호남권 메가시티 구상이 진전되리란 가능성도 있다. 기능적 연계와 협력 기반의 광역경제권이란 점에서 현실적이고 유연한 메가시티 모델일 수 있으리란 기대도 된다.

광주·전남의 첨단산업 기반(인공지능, 미래 차 등)과 전남·북의 농생명·에너지 산업은 서로의 강점을 보완해갈 수 있는 구조다. 여기에 교통망이 더해지면 생활·산업 권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하나의 거대한 경제 생태계로 확장될 수 있다.

다른 한편 그간의 선언적 제스처에 그칠 위험성도 간과할 수 없다. 호남권은 '호남권 정책협의회' 등 여러 협력 구상을 내놨지만, 이후 실천 단계로 연결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광주·전·남북은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을 호남의 또 다른 실질 전략으로 육성해가길 바란다.

거와 같은 상호 경쟁보다는 연대와 공동 이익을 우선하는 협치 모델로, 단기 이벤트보다는 중장기적 성장판 구상과 실행력 있는 체제를 통해 이번 광역 경제동맹을 실효성 있는 메가시티 전략으로 키워 가야 한다.

지역민에게 작은 희망 하나라도 선사하길 바란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1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