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에서 전북 군산을 잇는 '서해안철도' 건설이 가시화 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전남과 전북 8개 지자체 광역·기초단체장과 국회의원, 전문가 등이 참여한 가운데 지난 18일 국회에서 서해안 철도 국회 정책포럼을 갖고 전남·북 핵심 교통인프라로서 사업추진 공감대를 형성하고 국가계획 반영을 위한 결의를 다졌다.
서부권 교통인프라 문제는 그간 꾸준히 제기됐지만 소위 경제논리로 한발자욱을 나가지 못했다.
서부권은 경제성이 없으니 교통망을 늘리지 못하고, 부족한 교통망은 경제발전의 발목을 잡는 메비우스의 늪에 내몰렸다. 개미지옥같은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국가차원의 결단이 뒤따라야할 것으로 지적된다.
현재 우리나라 교통망은 심각히 동부권에 쏠린, 기울어진 운동장이다.
경부고속도와 고속철은 넓은 차로에, 하루 수십회의 운항으로 높은 수송량과 접근성, 편의성을 자랑한 반면 호남고속도로는 차로 수도 적고 교통량도 적다, 고속철의 경우 주말에는 이용이 어려울 지경으로 최소한의 수송량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이같은 격차는 기하급수적인 사회·문화·경제적 격차를 벌리는 악순환을 양산한다.
이러한 현실에서 서해안 철도는 단순한 교통망이 아니라, 국가 균형발전과 경제 활성화, 국민삶의 질과도 직결되는, 철저히 국가균형발전의 관점에서 판단돼야한다.
서해안 철도 필요성은 다 열거할 수도 없을 지경이다. 먼저 국가균형발전 차원서 반드시 진행돼야한다. 또 서해안 철도는 물류 뿐 아니라 관광 활성화에도, 또 국가 철도망의 균형적 발전 차원에서도 절실하다.
정부가 추진 중인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년)에 서해안 철도를 반영해야 하는 필요성도 열거하기 어려울 지경으로 널려있다. 서해안 철도가 완성되면 대한민국 철도 네트워크가 더욱 균형 잡히게 될 것이다.
정부는 전남·북 지역민들의 숙원을 반영해 서해안철도를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드시 포함시키기 바란다.
이는 단순한 지역의 이해차원이 아니라 국토 균형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과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도권과 동남권 등에 쏠린 기울어진 교통 인프라 균형을 맞추고,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수 인프라를 확충해 가는 과정이다.
국토 균형 발전, 물류 혁신, 관광산업 활성화, 수도권 과밀 해소 등 서해안 철도가 가져올 긍정적인 효과는 무궁무진하다. 정부의 미래를 향한 정책적 판단을 촉구한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