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한전 ˝데이터센터 전기공급 신청 허수 대다수˝

입력 2023.10.03. 14:51 수정 2023.10.03. 14:58 댓글 0개
자체 감사서 신청 건수 67.7% ‘허수신청’
부당 전력용량 선점으로 실수요 피해 발생
“데이터센터 설립 권장지구 등 정부 건의”
한전 본사 전경.

한국전력의 데이터센터 관련 자체 감사에서 데이터 센터 전기사용예정 통지의 67.7%가 실수요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전에 따르면 수도권을 중심으로 데이터센터 전기공급 신청이 급증해 전력확보 경쟁이 가열되면서 지난 7월부터 자체 특별감사를 실시했다.

한전은 전력공급이 확정된 부지 매매를 통해 개발이익을 취하려는 일부 데이터센터 개발업자들로 인해 데이터센터 전력수요가 과다하게 반영돼 장기 송변전설비 계획상 과투자가 초래될 우려가 있음을 인지, 감사에 착수했다.

감사결과 2020년부터 올해 2월까지 한전에 접수된 데이터센터 전기사용예정통지 1천 1건 중 678건(67.7%)이 실수요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한 개의 주소에 6명의 고객이 신청한 경우도 있었으며 1명의 고객이 28곳의 주소에 신청을 남발한 사례도 나왔다.

또 전력공급 승인을 받고나서 1년이 지나도 전기사용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경우도 33건에 달했으며 전기사용일이 6개월 이상 지나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고객설비가 시공완료되지 않은 경우도 3건이 있었다.

이에 한전 감사실은 ▲데이터센터 전기사용예정통지 단계에서부터 토지나 건축물의 소유자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만들고 ▲실수요 목적이 아닌 고객의 전기사용예정통지를 제한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장기간 공급용량을 선점하고 있는 데이터센터 고객의 전기사용신청을 반려하고 전기사용계약을 해지할 것을 한전 관련 부서에 조치하도록 했다.

전영상 상임감사위원은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수적 인프라인 전기, 용수, 통신네트워크설비를 갖추고 있으면서 지역적 특성 고려시 데이터센터 구축이 용이한 지역을 '데이터센터 설립 권장지구'로 지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부동산 투기억제 조치와 전력공급 패스트-트랙(Fast-Track) 제도 도입을 병행함으로써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데이터센터 연관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 지역 균형발전을 촉진할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련 기관들의 협의기구 구성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
재밌수다 광주인구 유출 내가 생각하는 해법은?
58분전 빛고을 사랑해 내가 생각하는 유출 원인 1. 20~30대: 일자리, 주거 목적 2. 30~50대: 아이들 교육 및 직장 이직 3. 50~대: 도심생활 정리 근데 이 같은 문제들은 광주 뿐 아니라 타 지방 광역도시들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지방의 발전이 필요...
재밌수다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