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중국 5월 차이신 서비스업 PMI 57.1·0.7P↑..."경기회복 지속"뉴시스
- [속보] 검찰, 국회사무처 압수수색···'민주당 돈봉투' 의혹뉴시스
- [속보] 엠폭스 환자 4명 늘어 102명···348일 만에 100명 넘어뉴시스
- [속보] 민주 혁신위 위원장에 ㈔다른백년 이래경 이사장뉴시스
- 용지 걸려 짜증 나는 프린터기···C구조는 왜 다른가뉴시스
- 야놀자, 동남아 트래블로카 맞손···해외여행 서비스 확대뉴시스
- 與 코인게이트 진상조사단, 검찰에 김남국 수사촉구서 제출 [뉴시스Pic]뉴시스
- 길거리 생방송 중 포크로 동료 女 BJ 폭행한 20대 女 입건뉴시스
- '환경의 날' 맞은 환경단체들 "모두의 노력 필요"(종합)뉴시스
- 해수부 "공유수면에 구조물 설치할 때 재해발생 가능성 확인해야"뉴시스

[서울=뉴시스]이지영 기자 = 코오롱스포츠가 공식 브랜드 사이트를 리뉴얼 오픈했다고 31일 밝혔다.
코오롱스포츠의 소식을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다양한 프로그램의 커뮤니티 기능을 더한 플랫폼으로 확장했다. 콘텐츠 업그레이드뿐 아니라 4월 말 2차 리뉴얼에선 고도화된 커뮤니티 기능을 추가할 계획이다.
코오롱스포츠 상품의 기술력과 혁신 스토리, 친환경 아웃도어 브랜드로서의 다양한 활동 등을리뉴얼된 홈페이지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현재 코오롱스포츠의 엠베서더로 활동하고 있는 아웃도어 전문가들의 도전 스토리도 한눈에 볼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dw0384@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뉴시스 기사제공.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
광주지역 상가 입주물량 4년만에 소폭 반등 부동산R114 제공 광주지역 상가 입주물량이 4년만에 반등한 것으로 조사됐다.5일 부동산R114가 자사 상업용 부동산 솔루션 RCS(Realestate Commercial Solution)에 따르면 2023년 광주지역 입주상가는 422개로 지난해 (287개)와 비교해 47.03%(135개) 늘어났다.그동안 광주 상가는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았다. 2019년 628개였던 입주물량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작된 2020년에는 569개, 2021년에는 470개, 2022년에는 287개로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실내마스크 전면 해제로 인한 일상 회복이 돌아오면서 상가 입주도 늘어난 것으로 보여진다.이같은 현상은 수도권을 제외한 대부분 지방이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수도권은 지난해 2만7천331개에서 올해 2만 477개로, 지방은 지난해 7천183개에서 올해 9천8개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지난해부터 입주물량이 늘어난 탓해 올해 감소했지만, 지방은 올해 들어서야 입주상가 수가 25% 늘었다.반면에 코로나 기간 입주물량이 늘었던 전남은 올해 크게 줄었다. 전남 입주물량은 2019년 364개, 2020년 386개, 2021년 445개, 2022년 547개로 늘어나다가 올해 156개에 그쳤다.이밖에 전국에서는 비중이 큰 수도권의 영향을 받아 지난해 3만4천514개에서 올해 2만9천485개로 줄었다. 유형별로는 근린상가의 입주물량이 전국 1만 464개로 가장 많다. 이어 주상복합상가 5천529개, 단지내상가 5천253개 등 올해 입주상가의 72.1%가 주거지 수요를 배후에 둔 상가로 조사됐다. 최근 주택시장의 미분양 문제가 배후지 상가의 장기 공실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오피스 및 지식산업센터 등 업무시설을 낀 상가 입주물량의 경우, 사업체가 집중된 수도권이 5천363개(오피스상가 3천283개, 지식산업센터상가 2천80개)로 지방 666개(오피스상가 361개, 지식산업센터상가 305개)에 비해 8배 많았다.부동산R114는 "마스크 착용 의무 완화 및 관광수요 확대 등 유동인구가 늘면서 올해 들어 대표상권 위주로 공실률이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경기부진으로 소비 확대에 한계가 있는 데다, 고물가 및 가계부채 상환 등 자영업 경영 여건 악화로 임대료 인상도 쉽지 않고 여기에 자산가치가 하락하면서 투자수익률도 낮아진 상태다"며 "지금처럼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시기에는 안정된 상권 내 우량 상가에 투자 쏠림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고분양가 및 대출이자 부담이 큰 신규 상가에 대한 관심이 낮아지면서, 공급 부담이 크거나 유동인구 확보가 제한되는 지역 내 상가는 외면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전력거래소, 한화컨버전스-인코어드와 MOU 체결
- · '육포데이' 전남농협, 나눔행사···소방본부 전달도
- · 쿠팡, 매달 가전·디지털 정기 할인···"WOW 네고킹"
- · '1000원 국수' 1개로 한끼 해결···'가성비' 홈플러스 불티
댓글0
0/300
많이본 뉴스
- 1[위클리]5년간 매달 70만원 “5천만원 된다”, 이자는 얼마?..
- 2신용대출은 서막…주담대 '대이동'이 진짜 전쟁..
- 3'역대급 실적' 기아, 광주공장 생산 '이 차종' 인기..
- 4우체국, 최고 연 2.0% 금리 파킹통장 특판···7만계좌 한정..
- 5이경규·장도연 등 4년째 출연료 못 받아···10억원가량 ..
- 6현대차, '2024 팰리세이드' 출시..
- 7ACC 전시 '사유정원', 관람객 10만 돌파..
- 8맛있는데 영양도 듬뿍! 고소하고 시원한 광주 콩물국수 맛집..
- 9줄리엔강♥제이제이, 몸짱커플 벤쿠버 등산인증샷..
- 10여수 앞바다서 보호종 상괭이 사체 잇따라 발견..
댓글많은 광주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