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 밤의 산책' 전회 매진···취소표는 실시간 좌석 전환뉴시스
- 넷플릭스 유명 드라마 작가, 챗GPT가 쓴 대본 "형편없다" 혹평뉴시스
- 상반기 서점가 키워드, 자기계발·J콘텐츠·챗GPT·마흔 돌풍뉴시스
- 외국 화랑 서울서 몸집 키운다...英 화이트 큐브도 서울 지점 개관(종합)뉴시스
- '순환 전보 강제' 초등교사 헌법소원 청구···법원, 각하뉴시스
- 프로당구 전용 PBA스타디움, 고양 킨텍스에 탄생뉴시스
- 경기민요 전승자들 "유파 인정하라"···문화재청에 탄원서뉴시스
- 추자현, 中걸그룹 오디션 탈락설···배경은 한한령?뉴시스
- 프랑스 전기차 보조금 기준 개정···산업부, 선제적 대응 착수뉴시스
- 그냥 노래하는 유채훈, 그를 위한 서곡 '임파스토'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매매수급지수, 주택가격전망 CSI 등 반등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도 보합 국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50% 곧 깨질 판
전국 경매 낙찰가율 1.2%P 낮아져

[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2500건 가까이 회복됐고, 급매물 소진 뒤 실거래가가 오르는 단지도 나오면서 집값이 바닥을 다졌다는 분석이 일부에서 나오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듯 매매수급지수와 주택가격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가 소폭 반등하기도 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경매시장 아파트 낙찰가율이 내리고, 전셋값도 힘을 못 쓰면서 부동산 시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각종 선행지표가 혼조세를 보이는 양상이다.
2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6.3으로 6주 연속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11월14일 76.9를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수가 기준선 100보다 낮으면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더 많다는 뜻이다. 아직 공급이 수요를 웃도는 상황이기는 하지만 지난해 말 보릿고개는 넘겨 얼어붙은 주택매수시장이 서서히 풀리고 있는 것으로 읽힌다.
지난달 기준 한국은행의 주택가격전망 CSI도 71로 세 달 연속 오르고 있다. 이 역시 기준선인 100을 하회하는 수준이기는 하다.
주택매수심리가 호전됐다는 지표는 또 있다. 국토연구원 '2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2.1을 나타내 전월(91.5)보다 10.6포인트(p)나 뛰었다. 지난해 7월 95.2로 떨어진 이래 7개월 만에 하강국면을 유지하다 보합국면에 들어선 것이다. 수도권(92.7→104.3), 서울(93.8→105.2), 인천(92.6→105.3), 경기(92.1→103.5)도 수치가 100을 넘어섰다.
그러나 모든 지표의 움직임이 집값 상승 편에 서지는 않는다. 우선 집값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전셋값이 꾸준히 떨어지는 추세다. 전세보증금을 기반으로 갭투자하기가 어려워졌다는 뜻이다.
부동산원 통계를 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은 53.6%로 50% 초반에 머무르는 실정이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2년 1월 이후 최저치다. 지난해 9월 57.4%를 기록한 이후 5개월째 내림세다. 용산구(46.2%), 강남구(47.6%), 송파구(47.1%), 양천구(49.5%), 성동구(49.9%), 노원구(49.9%)에서는 평균 전세가가 매매가격의 절반도 안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주택시장의 대표적 선행지표로 꼽히는 경매시장은 해석이 엇갈린다. 지지옥션에 따르면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을 뜻하는 낙찰가율은 전국 기준 1월 75.8%에서 2월 74.6%로 1.2%p 낮아졌다. 서울(78.7%→79.8%)은 올랐지만 경기(73.3→71.9%), 인천(72.8%→66.7%)은 하락세를 보였다.
낙찰가율은 내렸는데, 평균 응찰자 수는 2년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황이다. 유찰을 거듭한 아파트에 수요자가 몰리면서 평균 응찰자 수는 전월 대비 2.1명 늘어난 8.1명으로 2020년 6월 이후 최다를 나타냈다.
◎공감언론 뉴시스 ashley85@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광주 주상복합 상가비율 10%로 완화되나? 뉴시스 제공광주 주거복합건물의 상가 비율이 10%까지 완화될지 여부를 두고 부동산 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7일 광주시에 따르면 ‘주거복합건물의 상가 등 비주거용시설 면적비율’을 완화하기 위한 의견수렴 절차가 조만간 시작된다. 현재 광주시 조례 주거복합건물의 상가비율은 15%로 대다수 광역자치단체들이 상가비율을 10%로 규정하고 있는 것과 비교해 다소 높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주거복합건물의 경우 ‘상가의 분양 가능성’이 사업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지난달 24일 강기정 시장은 ‘상가비율 15%에서 10%로 완화’를 요구하는 광주 동구 계림3구역재개발조합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상가 공실률이 치솟는 상황에서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다”며 “시장 선거공약이기도 한 만큼 임기 내 상가비율 완화를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지역에서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실제 조례 개정까지는 다소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광주시는 지난 2019년 3월 ‘도시계획조례’를 개정하면서, 상업지역 내 주거복합건물을 지을 경우 ‘상가 등 비주거용 시설의 면적’을 기존 10%에서 15%로 강화했다. 광주전남주택협회 등 지역 관련업계에서는 이같은 조치가 주거복합건물의 사업성을 악화시켜 민간투자 유치 및 원도심 활성화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한다. 박지현기자 5973sally@srb.co.kr
- · "평당 3천만원" 상무 센트럴자이, 광주서 통했다
- · 청년도약계좌 사전금리 공개···가장 높은 은행은?
- · 우체국서도 대출 업무?…'은행 대리업' 도입 추진
- · 상반기 청약시장서 10대 건설사 아파트 '톱5' 싹쓸이
- 1섬진강휴게소 정차중인 고속버스 불···인명피해 없어..
- 2도자기 받침대·약통·안경집에 마약···밀수범 무더기 기소..
- 3"평당 3천만원" 상무 센트럴자이, 광주서 통했다..
- 4은행 예금금리 꿈틀하자···반년 만에 최대 증가..
- 5주월동 아파트 앞에 쓰러진 행인 휴대폰 '쓱'...수천만원 훔친..
- 6"현장 또 멈추나"…시멘트값 줄인상 예고 '노심초사'..
- 7"이사비 줄게요" 세입자 유인...중개사·임대인 한패였다..
- 8상반기 청약시장서 10대 건설사 아파트 '톱5' 싹쓸이..
- 9광주 주상복합 상가비율 10%로 완화되나?..
- 10"여자 안 산다. 그만 와라" 경고문···알고 보니 옆집서 성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