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총리, 우크라 전투기 지원 요청에 난색···"또 다른 논쟁"뉴시스
- 김호중, 매일 아침 마시는 액체는 무엇···"목 관리 위해"뉴시스
- 동부전선 전황 놓고 공방...러시아 "장악" vs 우크라 "격퇴"뉴시스
- 이란 중부 군사시설 자폭 드론 공격···이란 측 "피해 없어"뉴시스
- 이란 북서부서 규모 5.9 지진···3명 사망·800여명 부상 뉴시스
- [녹유 오늘의 운세] 70년생 울적했던 기분에 꽃이 핍니다뉴시스
- 우크라, 러·벨라루스 추가 제재 발표···기업 182곳·개인 3명 뉴시스
- 이재명 "5503억 배임죄? 개발허가 후 한푼도 못번 부산시장은 무슨 죄"뉴시스
- 부산 동래구 교차로서 5중 충돌사고···5명 중·경상뉴시스
- 통영해경, 용남면 뱀섬 인근 침수어선 구조···인명피해 및 해양오염 없어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저축은행권 예금금리 최고 연 5.95%
1년 만기 예금 평균금리 하락 전환
은행권 예금금리 인상 자제 영향

[서울=뉴시스]이주혜 기자 = 금융당국의 은행권 예금금리 인상 자제령에 정기예금 금리가 후퇴하고 있다. 5%대로 올라섰던 시중은행 예금금리가 주춤하자 6%대로 치솟았던 저축은행 금리도 5%대로 물러섰다.
5일 저축은행중앙회 공시에 따르면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의 회전정기예금은 이날 기준 12개월 만기 연 5.95%의 금리를 제공한다. 이는 79개 저축은행 정기예금(12개월) 중 금리가 가장 높은 상품이다.
이어 OK저축은행 'OK e-안심정기예금(변동금리)'과 다올저축은행 'Fi 리볼빙 정기예금(비대면)' 등이 연 5.90%의 금리를 적용한다.
저축은행권의 6%대 정기예금이 사라진 것이다. 최고 연 6.5%까지 치솟으며 예금금리 6% 시대를 열었던 저축은행권 정기예금 금리는 5%대로 물러섰다.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연 5.51%로 1일 5.53%에서 0.02%포인트 하락했다. 예금 평균금리는 지난달 23일 연 5.53%로 정점을 찍은 뒤 1일까지 제자리걸음을 이어왔으나 하락세로 전환했다.
앞서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6%를 넘어서자 시장에서는 7%대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금융당국이 은행권으로의 자금 쏠림과 예금금리 인상으로 인한 대출상승을 막고자 수신 경쟁에 제동을 걸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시중은행에 이어 저축은행도 예금금리를 내리는 모양새다.
저축은행권 관계자는 "은행이 예금금리를 올리면 저축은행은 자금 조달을 위해 더 매력적인 금리를 시장에 제시해야 해서 연 6%대 금리가 등장했던 것"이라며 "은행들이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저축은행도 부담을 덜 수 있다"고 말했다.
시중은행에서는 최고 연 5%대를 돌파했던 예금금리가 대부분 4%대로 돌아갔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 중 하나은행 '하나의정기예금'이 연 5.00%로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한다. 이어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 최고 연 4.98%,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 연 4.95%, 국민은행 'KB Star 정기예금' 연 4.81% 순이다.
은행권은 지난달 24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25%로 0.25%포인트 인상한 후에도 예금금리를 올리지 않았다. 금융당국이 수신금리 인상 자제를 주문한 영향이 크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25일 "금융권의 과도한 자금확보 경쟁은 금융시장 안정에 교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업권간, 업권내 과당 경쟁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달 28일 "최근 예금금리의 급격한 움직임은 다시 대출금리를 끌어올리는 악순환을 만들 수 있다"며 "통상 금융당국은 금융시장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으나 지금 같은 경우는 극히 예외적인 상황이므로 금융당국이 일부 비난을 받더라도 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예대율도 완화된 점도 영향을 줬다. 금융위원회는 10월 말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의 예대율 규제를 기존 100%에서 각각 105%, 110%로 한시적 완화했다. 이에 예대율을 충족하기 위해 자금을 조달할 필요성이 약해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winjh@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전북은행 JB플랫폼, 금융교육 대학생 자원봉사 '성황' [전주=뉴시스]윤난슬 기자 = JB금융그룹 전북은행은 'JB 플랫폼(JB PLATFORM)'에서 도내 대학생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전주 태평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을 대상으로 금융 체험을 실시했다고 26일 밝혔다.(사진=전북은행 제공)[전주=뉴시스] 윤난슬 기자 = JB금융그룹 전북은행은 'JB 플랫폼(JB PLATFORM)'에서 도내 대학생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전주 태평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을 대상으로 금융 체험을 실시했다고 29일 밝혔다.앞서 전북은행은 금융교육 현장 실무경험과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도내 소재 대학교 홈페이지에 봉사자 공모를 통해 총 10명의 봉사자를 선발했다.이들은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26일까지 도내 초·중학교 및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디지털 금융 체험 지원, 금융교육 강사로서 다양한 활동을 진행했다.봉사 마지막 날인 이날 체험에는 태평지역아동센터 청소년 25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금융 체험 및 용돈 관리 주제의 체험형 교구를 활용한 체계적인 금융교육으로 유종의 미를 거두며 학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봉사자들은 "그동안 배웠던 전공 지식을 연계한 교육 봉사에 참여할 수 있어 자기 계발의 기회로 다가왔다"며 "다음에도 교육 봉사자로 꼭 참여하고 싶다"고 소감을 전했다.전북은행 관계자는 "도내 대학생 금융교육 봉사는 지역사회 대학생과 청소년 모두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시너지 활동"이라며 "앞으로 금융교육 봉사 참여 기회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대학생 봉사자들에게는 JB 플랫폼 캐릭터 굿즈 제공 및 봉사활동 수료증과 함께 금융교육 봉사활동 시간을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봉사자 모집 계획 및 문의 사항은 JB플랫폼 홈페이지 및 전북은행 사회공헌홍보부로 문의하면 된다.◎공감언론 뉴시스 yns4656@newsis.com
- · 국토부, 페루·파나마 건설수주 지원단 파견···신시장 발굴
- · 원희룡 "전세사기 의심 중개사, 전수조사해 엄벌"
- · 새해에도 집값 하락폭 확대 수도권 –1.68%···집값 전망지수는 반등
- · 공모채 발행 나선 KB증권...위험요인은?
- 1손주 용돈 벌던 노점상 앗아간 만취 운전자 징역 3년..
- 25세 이하 영유아 가정에도 난방비 긴급 투입···전국 유일..
- 3광주 도심 아파트 불···70대 주민 연기흡입..
- 4역대급 한파에 계량기 동파 급증···보장되는 보험은..
- 5새해에도 집값 하락폭 확대 수도권 –1.68%···집값 전망지수..
- 6'학생없는 전남' 중·고 2개교 수십년만에 교문 폐쇄···20개..
- 7광주시, 올해 25억 투입 도심 빈집 정비한다..
- 8전남대병원, '새병원' 건립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대응단 발족..
- 9한전, '농사용 전기' 공정하고 합리적인 사용 위한 종합대책 수..
- 10"밥보다 옷"···김승현 母, 프랑스 여행 중 단식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