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중미 온두라스, 대만과 국교 단교 발표" 中 CCTV뉴시스
- 포스코·포스코E&C, '합성기둥 공법' 녹색기술 인증뉴시스
- 김기현 "민변 등 민우국 카르텔의 반헌법적 궤변"···'검수완박 유효' 판결 비판 뉴시스
- 현역 거취·선거 제도·공천 룰···광주 정치권 '술렁'뉴시스
- 유키 구라모토, 5월부터 전국 투어 콘서트···'디어 하트'뉴시스
- 안중근 의사 순국 113주기 추모식 거행 [뉴시스Pic]뉴시스
- "뭐라고 불러야 하나?"···추성훈, 사윗감으로 강호동 아들에 관심뉴시스
- 송파구, 서울시에 잠실동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건의뉴시스
- 선관위, 4·5 재보선 투표소 503곳·선거인수 130만 확정뉴시스
- 韓, 국제장애인기능올림픽 8번째 종합 우승...대회 7연패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외출시 보호자·아이 모두 편리하게 이동
안전성 우선…풋브레이크, 페달, 핸들 등
편의성 확인해야…폴딩기능과 수납공간
등받이 각도와 시트 높이 다각도로 조절
보조 발판과 캐노피 등 탈부착 가능해야

[서울=뉴시스] 배민욱 기자 = 최근 실외 마스크 해제와 다양한 행사들이 다시 재개되면서 야외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외출 시 보호자와 아이 모두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유모차형 세발자전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유모차형 세발자전거는 아이가 직접 페달과 핸들을 움직일 수 있어 유모차를 거부하는 아이도 선호하고 신체 부담 없이 균형감각과 근력을 키울 수 있다.
실제로 지난 한달간 네이버 블로그에서 유모차 자전거 관련 게시글은 전년 동기 대비 21배나 늘었다. 인스타그램에서 유모차 자전거라는 해시태그를 단 게시물은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모차형 세발자전거가 높은 관심을 끌면서 자녀의 첫 자전거로 구매를 고려하는 부모들 역시 늘고 있다. 성인용 자전거와는 다른 기준으로 선택해야 하는 유모차형 세발자전거 구매는 어떻게 해야 할까.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유모차형 세발자전거는 아이가 타는 제품인 만큼 안전장치를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특히 공산품 유해 물질 안전 기준 통과 여부와 아이가 부딪혀 다치기 쉬운 부분에 안전장치 적용 여부를 체크해야 한다.
보호자의 풋브레이크가 잘 작동하는지, 아이가 페달이나 핸들을 돌려도 보호자의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연동 해제가 가능한지도 확인이 필요하다.
승차감도 구매 전 필수 확인 요소다. 아이가 오랜 시간 동안 타도 안정적인 주행감을 제공하는지, 자전거를 타다가 잠들어도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안장과 등받이 쿠션이 충분한지 살펴보는 것이 좋다.
부모와 아이가 함께 사용하는 유모차형 세발자전거는 아이 못지않게 보호자를 위한 편의성도 꼭 확인해야 할 요소다. 나들이나 외출이 잦은 경우에는 이동과 수납이 쉬운 폴딩 기능이 적용된 제품이 좋다.
콤팩트한 폴딩 사이즈의 제품은 트렁크 적재·보관이 용이하다. 아이의 물품이나 음료를 담은 가방이나 간편한 소품을 보관할 수 있는 다용도 바구니와 같은 수납공간이 있는 제품을 선택하면 짐으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유아기는 아이의 성장이 가장 빠르게 이뤄지는 시기다. 유모차형 세발자전거 구매 전 아이의 성장에 맞춰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부품을 갖추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등받이 각도와 시트 높이를 아이의 성장에 맞춰 다각도로 조절이 가능한지, 보조 발판과 캐노피 등의 탈부착이 가능한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
최근에는 성장 맞춤형 시스템을 적용해 유모차부터 독립형 자전거까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해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mkba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길어지는 가뭄에 물부족 심각···올해 2800억 투입 농업 용수 개발 기사내용 요약농식품부, 신규 8개 지구 등 20개소 선정저수지·양수장 신설 안정적 농업 용수 공급[화순=뉴시스] 이영주 기자 = 광주·전남에 가뭄이 이어지는 상황에 19일 오후 전남 화순군 사평면 주암호 상류에서 주암댐 건축 이후 수몰됐던 다리가 가뭄 여파로 모습을 드러냈다. 2023.03.19. leeyj2578@newsis.com[세종=뉴시스] 오종택 기자 = 최근 기후변화로 겨울철은 물론 영농기인 봄철에도 가뭄이 빈번하고, 점차 심화되는 추세다. 지난 1년간 전국 평균 강수량은 1177㎜로 평년(1332㎜)보다 적다.우리나라 최대 곡창지대인 광주·전남지역은 915㎜에 불과해 지역 평년(1390㎜) 대비 66% 수준이다. 이는 1973년 이후 역대 3번째로 적은 강수량이다.농림축산식품부는 수리시설이 열악해 상습적인 물부족 현상을 겪고 있는 농촌지역에 농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농촌용수개발사업 8개 신규 지구와 기본조사 12개 지구를 선정했다고 26일 밝혔다.농촌용수개발사업은 가뭄상습지역에 저수지, 양수장, 용수로 등 수리시설을 설치하고, 농어촌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농업·생활·환경용수 등 다목적 용수를 확보해 공급한다.이를 위해 전남·충남 등 전국 8개 지구에 총 사업비 5150억원을 투입한다. 이들 지구에 수리시설을 새로 조성하거나 증설하고, 기존 수리시설과 연계해 지역 간 물수급 불균형을 해소할 계획이다.사업을 완료하면 수리시설이 미흡하거나 지하수 관정 등에 의존하던 상습 가뭄 농경지 6769㏊에 하천유지용수를 연간 20만t 꾸준히 공급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올해 공사 중인 52개 지구에 농촌용수개발사업 예산 2822억원을 투입해 조기 완공하도록 지원하고 올해 말까지 7지구 2053㏊를 준공해 내년부터 농업용수를 본격 공급한다.전한영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농촌 물 부족지역에 신규 수자원을 확보하고 안정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해 기후변화에도 농업인들이 가뭄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농업생산기반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겠다"고 말했다.[나주=뉴시스] 농어촌공사 전남지역본부가 가뭄 극복을 위해 나주 용궁제에 양수저류 방식으로 물을 채우고 있다. (사진=농어촌공사 제공) 2023.03.22. photo@newsis.com◎공감언론 뉴시스 ohjt@newsis.com
- · 논에 가루쌀·밀·콩 심으면 직불금···내달 20일까지 신청기간 연장
- · 뒷광고 아닌 진짜 '내돈내산'···"알짜후기 모아라" 쟁탈전
- · 전남 농·공산품 시장개척단···'201만달러' 수출계약
- · 4월 전기에 가스요금까지 동시 인상?···이번주 요금안 발표
- 1아반떼급 車 살때 160만원 덜 낸다···올해 달라진 車제도..
- 24월 전기에 가스요금까지 동시 인상?···이번주 요금안 발표..
- 3"성폭행 하려는 줄 알았다"···귀네스 팰트로, 스키장 뺑소니 ..
- 4진태현♥박시은, 아픔 딛고 임신 준비···"딸 낳고 싶어"..
- 5'금발이 너무해' 리즈 위더스푼, 두 번째 이혼..
- 6'빗장 풀리자 난립' 광주 도심 정당 현수막, 시민 안전 위협..
- 7221㎝ 하승진, 현실판 걸리버 여행기···목숨 걸고 베트남 여..
- 8"까불지 마라" 현주엽, 도발하는 김경진에 엄포..
- 9[집값 꿈틀]③규제완화 정책 쏟아내는 정부···남아있는 카드는..
- 10이정재 '꼭 알아야 할 한국 배우 10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