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량은 절반으로 줄고 햇김 출하는 늦어져
돌김 가격 141%, 일반김 가격 50% 인상
12월부터 가격 안정 기대…생산량 증가 예상
올해 전남 김 수출액이 최초로 3억달러를 넘어서는 등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지만, 수출 증가로 인한 재고량 감소, 고수온으로 인한 김 생산 지연 등으로 국내 김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특히 2025년산 김 채묘 시기가 지난해에 비해 2주 가량 늦어지면서 채취도 순차적으로 늦어진데다 햇 김 생산량도 줄어 김밥용 김 생산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는 연말께에나 가격이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
20일 전남도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우리나라 김 수출액은 8억 5천만 달러, 이 중 전남은 3억 600만 달러를 차지했다. 전남도가 올해 김 수출 목표로 잡은 3억 달러를 조기에 달성한 것이다.
전남 김 수출이 이처럼 '상한가' 행진을 기록한 것은 다른 나라의 작황 부진과 김 수요 확대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세계적인 김 생산국은 대한민국과 중국·일본 등 3개 국가다. 이 중 중국와 일본의 지난해 김 작황은 전년에 비해 40~50%가량 감소했다.
여기에 김밥이 새로운 K푸드로 각광받으며 마른 김에 대한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한 것도 가격 상승을 이끌어 낸 영향도 있다. 우리나라의 김 수출은 10년 전 64개국에서 최근 124개국으로 2배가량 늘었다.
김의 높은 인기는 김 재고량의 감소로 이어졌다. 지난 8월 재고량은 2천100만속이었지만 9월에는 1천800만속, 10월에는 1천500만속으로 줄었고, 이달까지 1천300만속으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25% 감소한 양이며, 최근 5년을 기준으로 하면 50% 이상 줄어든 재고량이다.
여기에 2025년산 김은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지난해보다 채취 시기가 늦어졌다.
생산이 늦어진 이유는 높은 해수 온도때문이다. 일반적으로 9월 중순부터 20도를 되찾아 김 채묘가 이뤄지지만 올해는 9월 하순부터 10월 상순으로 시기가 늦어졌다.이 때문에 김 생산도 10월 중순에서 10월 말로 늦어져 공급량이 줄고 가격이 상승했다. 최근 5년간 10월 생산량은 160만속, 지난해 생산량은 141만속이었지만 올해는 98.6%가 줄어든 2만속에 불과하다.
이러다보니 김 가격이 지난해보다 30% 이상 상승했다. 지난 1월부터 높아지던 김 가격은 9월에는 36년만에 최대치로 올랐다.
통계청은 9월 마른김 가격은 지난해보다 32.7% 오른 것으로 파악했다. 1987년 12월 34.6% 오른 이후 36년 9개월 만의 최대 폭이다. 마른김 10장 가격은 1천354원으로 지난해보다 33.4%, 평년 대비 49.3% 늘었다. 돌김의 위판장 가격은 지난 해에는 1㎏당 25만6천원이었지만 올해는 61만7천원으로 141% 치솟았다.
전남도는 일반 김이 출하되는 12월께부터 가격이 안정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 양식 면허가 1천600㏊ 늘어난데다 지난해에는 생산하지 못했던 마로해역도 양식을 시작하면서 2025년산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7.5% 이상 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예년에는 9월까지 높았던 김 가격이 10월부터 평년 수준으로 내려갔지만, 올해는 생산이 늦어지면서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며 "곱창김 수확이 끝나고 일반김 생산이 시작되는 12월부터 가격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내년 5월까지 2025년산 햇김이 1억6천만속 정도 생산돼 지난해 보다 늘 것"이라고 덧붙였다.
선정태기자 wordflow@mdilbo.com
- 김영록 전남지사 "정부, 추경에 지역사랑상품권 예산 반영해야" 김영록 전남지사가 6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후속대책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전남도 제공 김영록 전남지사는 14일 정부는 지역사랑상품권 예산을 추경에 반영해야 한다고 밝혔다.김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에 '왜 정부는 온누리상품권만 고집하나'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지역사랑상품권이 골목상권에 더 도움된다"며 이같이 말했다.이어 "최근 정부가 국민 물가 부담을 덜겠다며 온누리상품권 발행규모를 역대 최대인 5조 5천억원으로 늘린다고 발표했다"며 "하지만 지역에서 정작 원하고 체감효과가 큰 것은 지역사랑상품권이다"고 주장했다.또 "온누리상품권은 전국 전통시장에서만 유통되지만, 지역사랑상품권은 지역 내 전통시장과 상가 가맹점에서 모두 사용되어 지역경제의 선순환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내 생활반경 안에서 쓸 수 있는 가맹점이 많아서 좋다"고 설명했다.아울러 "우리 전남만 해도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은 7만7천여개소이지만,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은 1만여개소 밖에 안된다"며 "지난해에는 국비가 지원돼 전남 지역사랑상품권을 1조원 규모로 발행했다. 하지만 올해는 국비로 발해하는 6천500억원이 전액 삭감돼 전남도에서 3천500억원 규모의 지역사랑상품권을 도 자체 예산으로만 발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도대체 정부는 민생현장에서 그토록 바라는 지역사랑상품권은 한사코 마다하고, 온누리상품권만 고집하는 이유가 무엇이냐"며 "혹시 야당이 추진하는 정책이라는 정치적 고려가 깔린 것인가"라고 꼬집었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 '제주항공 참사' 공직자 손길이 슬픔을 녹였다
-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추모공원 만든다···긴급생계비도 지원
- · '2027년 개항' 흑산공항, 철새 충돌 문제 없나
- · 오픈런으로 입주자 대표 뽑은 무안 오룡 아파트, "'5만건 하자' 용역사와 결탁 "의혹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