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예산 1조 시대 포부
농어민 수당 120만원 공약

김철우(더불어민주당) 보성군수가 차기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김 군수는 4일 오후 2시 보성 현충탑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보성군 예산 1조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 군수는 "민선7기에서 시작한 1조원 규모의 3대 SOC 5대 뉴딜 프로젝트를 책임감 있게 마무리해야 하고, 아직도 해야 하는 일들이 아직 많이 남았다"며 "35년 민주당 한길 인생으로 쌓아온 모든 정치적 역량을 다시 한번 보성을 위해 쏟고 싶다"고 밝혔다.
재선에 도전하는 민선7기 김철우 보성군수는 주민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탄탄한 공약이 눈길을 끌었다.
김 군수의 대표 공약은 ▲임기내 농어민 공익수당 120만원 확대 지급 ▲청소년 100원 버스 도입 ▲보성읍·벌교읍 키즈카페 유치 ▲전 가정 내 방송시스템 구축 ▲어르신 일자리 확대 ▲임플란트 시술비 지원 ▲보성사랑상품권 확대 발행 ▲소상공인 카드 수수료 지원 등이다.
특히, ktx이음 도입으로 1천만 관광객 시대가 열릴 것을 대비해 ▲차정원·차산업테마파크 조성과 ▲벌교에서 회천으로 이어지는 해양관광벨트 조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김 군수는 민선7기 보성군수로 재임하면서 5천억 원대였던 보성군 예산을 7천억 원대로 끌어올렸고, 지방교부세 1조 시대를 열었다. 또 역대 최대 규모의 공모사업비 5천억 원을 확보하며 일하는 비즈니스 군수의 면모를 보여줬다.
그는 행정 부분에서도 4등급이었던 종합청렴도가 매년 한 단계씩 올라 전라남도에서 가장 높은 청렴도를 기록했으며, 호남 유일하게 행정안전부 적극행정 우수기관으로 선정 등 주민 신뢰를 회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 군수는 "오늘 이 자리에 4만 보성군민의 꿈과 희망을 가지고 섰다"며 "강한 보성을 만들기 위해 힘 있는 군수가 될 것이며, 민선8기를 통해 한 번 더 보성군민과 하나돼 영광의 날을 맞이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보성=정종만기자 jjjman1@mdilbo.com
-
강기정 시장 "광주 온 팹리스 안착할 수 있도록 돕겠다" 18일 강기정 광주시장이 확대간부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광주시 강기정 광주시장이 광주의 AI(인공지능) 생태계가 실제로 만들어지고 작동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강 시장은 18일 광주시청에서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최근 광주에 사무소를 여는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들의 행보를 소개하며 이같이 당부했다.강 시장은 "지난해 9월 광주와 협약을 맺은 팹리스 기업 에이직랜드가 최근 송암공단 GCC 내 광주사무소 개소식을 가졌고 또 다른 협약 기업인 에임퓨처도 오는 5월 인근에 사무공간을 열 예정이다"며 "이들 기업은 하나같이 광주의 인재를 보고 왔다고 말했고, 근무할 인력들은 실제 반도체 설계 R&D 인재들이다"고 말했다.강기정 광주시장과 이종민 에이직랜드 대표이사가 15일 광주실감콘텐츠큐브(GCC) 광주사무소 현판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시그러면서도 협약만 하고 실질적 변화에 대해 의구심을 보내는 일각의 시선을 언급, "편견을 확실히 떨쳐버릴 수 있도록 광주의 팹리스 기업들이 자리에 안착하고 실제 칩을 생산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또 강 시장은 우리 지역에서 인재가 직접 기업을 만드는 창업 중심의 생태계 확장도 필요하다고 발언했다. 특히 지난해 코스닥 상장에 성공한 에스오에스랩을 모델로 지목했다.강 시장은 "빛고을창업스테이션이 곧 입주를 완료하고, 국가AI데이터센터 창업동도 올해 안에 구축되고, 국내 최대 규모의 AI 드라이빙 시뮬레이터도 현재 시운전 과정 돌입 직전에 있다"며 "광주에서 창업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확신과 제2의 퓨리오사AI와 같은 혁신 기업이 이곳으로 와 마음껏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플랫폼이 되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그러면서 "대한민국 사람들이 광주를 보러, 배우러, 느끼러 오는 도시로 만들어야 한다. 그건 불가능한 일이 아니다"고 덧붙였다.한편, 광주시는 지난해부터 팹리스를 잇달아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제1호 팹리스인 에이직랜드는 지난 15일 광주 남구 송암산단에 사무실을 냈다. 최근에는 퓨리오사AI와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AI 생태계 조성에 탄력을 받았다.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광주시 '브레인' 대거 李 싱크탱크로···정책 창구 열리나
- · 국가AI데이터센터가 지역사업? 기재부 '모순'
- · 이재명 싱크탱크 '성장과 통합' 출범···광주·전남 인사 대거 참여
- · 내로라하는 AI 기업 광주 러시···파운드리만 남았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