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하락세 속 실수요층 구매 늘어난 듯
‘약보합세’ 전망속 거래량 증가 가능성도
전국적으로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부동산시장이 '수도권 대 비수도권'의 양극화현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광주지역 3040세대의 생애 첫 주택구입이 지난해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실수요층의 구매가 늘어났다는 평가다.
27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의 소유권이전 등기 신청 매수인 현황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광주 생애 첫 집합건물(다세대·연립·아파트 등) 구매자는 8천575명이다. 이중 3040세대는 전체 65.54%인 5천620명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5천110명에 비해 9.98% 증가한 수치다.
특히 생애 첫 주택 구입자의 경우 지난해 8천643명에서 올해 8천575명으로 68명이 줄었지만 3040대 구입자는 반대로 늘어났다.
이 같은 지역 내 3040세대 첫 주택 구입 증가세는 서울 등 수도권과 엇비슷하면서도 차이를 보인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경우 아파트 공급 감소와 함께 계속된 집값 상승세, 아파트 분양가격 오름세 등을 이유로 3040세대의 주택구입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지역에선 전반적인 주택 가격 하락세에 실수요층이 적극 구매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주택시장 가격 하락세가 계속되면서 광주의 경우 지난해 누적 하락률이 5.37%였으며 올해 현재(11월 18일 기준) 1.22%에 이른다.
지역부동산업계에서는 주택가격이 소폭 하락하는 지금의 상황이 계속 이어지는 '약보합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입장이다.
또 지역주택시장에서 투자 목적의 수요는 사실상 거의 없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실수요층의 거래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미분양 아파트 증가분과 함께 민간공원 등 대규모 개발로 인한 분양물량이 시장에 쏟아질 것으로 보여 향후 2~3년간 주택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실수요층인 3040세대의 주택 구매 증가세는 한동안 이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광주·전남 대표 부동산플랫폼인 사랑방부동산의 '광주 아파트입주세대 현황'을 보면 2025년 5천99세대, 2026년 1만 838세대, 2027년 6천734세대 등 내년부터 3년간 예정된 신규 아파트 물량만 2만 2천671세대에 이른다.
최현웅 사랑방부동산 과장은 "생애 첫 주택 구입의 경우 그전에 무주택자였다는 의미기도 해 3040세대의 구입이 늘었다는 것은 투자 목적으로 보기보단 실제 거주를 위한 실수요층 구매로 봐야 할 것 같다"며 "점진적으로 약보합세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주택 가격 상승을 통한 차액 등을 기대한 투자보다는 실수요층의 거래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1가구 1주택 특례' 지역주택시장 영향 미칠까 광주 도심 전경.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에 한해 '1 가구 1 주택 특례'를 적용키로 한 정부 대책이 지역 주택 시장에 영향을 미칠지가 관심이다.지역 부동산 업계에선 오랜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투자수요가 사실상 없는 상황에서 '악성 미분양' 해결을 위한 투자 수요 형성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22일 지역 부동산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8일 올해부터 1 주택자가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구입 시 양도·종부세를 산정할 때 1 가구 1 주택 특례를 적용키로 했다비수도권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취득자의 경우 전용면적 85㎡및 취득가액 6억 원 이하 주택을 대상으로 취득할 경우 다주택자가 아닌 '1 주택 보유자'로 보겠다는 의미다.또 종부세 1세대 1 주택자 판정 시 주택수에서 제외하는 지방 저가주택 범위를 공시가격 3억 원 이하에서 4억 원 이하로 확대하는 등 지방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를 꾀하겠다는 방침이다.정부의 이 같은 정책을 두고 건설업계는 환영하는 분위기다.지역의 악성미분양주택 상당수가 분양가 6억 원 미만인 데다 선호하는 규모 역시 전용면적 85㎡(약 34평)라는 점에서 미분양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지난해 11월 말 기준 광주 악성미분양은 415세대이며 전남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2천452대에 이른다.여기에 준공 전 미분양 역시 광주는 1천242세대, 전남은 3천631세대에 달하고 있어 큰 변화가 없을 경우 광주·전남 모두 '준공 후 미분양'인 악성 미분양이 지금보다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하지만 부동산업계에선 2월 예정인 관련법규 개정안 시행령 시행이 돼봐야 실효 여부를 알 수 있을 거라는 분위기다.부동산 투자를 이끌어내는 방식으로 미분양 주택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은 알지만 투자 수요가 임대 목적이 아닌 시세 차익이 있어야만 형성된다는 점에서 현재의 지방 주택시장이 그만한 메리트를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선 그리 긍정적이지 않다.또 이번 정책이 여유 있는 다주택자를 대거 양성하겠다는 의미기도 해 일종의 '부익부 빈익빈',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지역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정부대책이 큰 실효성을 가질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며 "미분양주택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이라는 점에서 공감은 하지만 지방주택들이 과연 시세차익을 노릴 수 있을 정도로 주택 가격 상승 요소가 남아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이어 "광주의 경우 미분양이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데 최근 아파트 분양가가 대부분 6억 원을 훌쩍 넘기는 경우도 많아 실질적인 거래로 이어지려면 분양가 할인 등이 이뤄져야 그 기준을 맞출 수 있을 것"이라며 "상황을 지켜봐야 정책 실효성 여부를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광주 아파트가격 하락 올해도 계속
- · "정국 불안정 거래 영향 커···하반기엔 반등가능성"
- · 올해 아파트 입주 물량, 예년 절반 수준 그쳐
- · '반등없는 하락세' 광주 아파트가격, 올해엔 다를까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