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향후 주택정책은 노후 정비, 1인가구 초점"

입력 2021.11.18. 17:39 주현정 기자
광주시·국토도시학회 공동주최 포럼
도시 계획과 주택시장 제언 쏟아져
양적 안정에도 물리적 환경은 열악
1~2인 가구·자가 욕구 해소안 절실

광주의 향후 주택정책은 노후 정비와 같은 환경 개선, 출생률 저하와 1인 가구 증가 등 인구변화에 따른 소규모 지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지역의 주택시장이 양적으로 안정세임에도 불구하고 물리적 환경은 열악해 적정 공급량 유지 필요성이 커진데다 생애주기별 주거 수요도 다양해지고 있어서다.

이 같은 제언은 코로나19로부터 단계적으로 일상을 회복하는 위드코로나 시대를 맞아 향후 광주의 도시계획과 주택시장을 전망해보는 포럼에서 나왔다.

광주시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광주·전남지회가 공동 주최한 2021 광주 도시계획 포럼은 18일 오후 광주 서구 치평동 LH한국토지주택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3층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나강열 광주전남연구원 박사의 '광주시 2030주거종합계획', 변장섭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박사의 '광주시 인구구조 변화와 2019년도 주거실태조사', 최지혜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원 박사의 '광주시 주택시장 현황 및 수급전망' 등을 주제로 한 발제에 이어 정현윤 광주시 주택과장을 비롯한 지역 도시계획 및 주택 분야 전문가들의 토론도 진행됐다.

광주의 주택보급률(2018년 기준)은 106.6%로, 전국 평균(104.2%) 보다 높은 수준이다. 1995년(81%) 대비 1.3배 성장했다.

자가점유 비율도 꾸준히 상승해 61.6%(2015년 기준)를 유지하며 전국 평균(56.8%)를 상회하고 있다. 증감률로 따지면 1995년 보다 21.9%p 늘었는데 이는 전국 증감률의 3.5배 높다.

반면 지역 주택의 노후화는 심각한 수준이다. 2000년대 이전에 건축된 노후화 된 주택이 27만6천호(아파트 71%·주택 25%)에 달해 전체 재고주택의 과반을 넘는 실정이다.

주택 유형이 아파트 중심의 획일화에 치중된 점도 문제다. 특히 택지지구와 도시외곽을 중심으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채워지면서 지역 전체 주택 10채 중 6.6채는 아파트로 집계됐다. 주택(3.1채)의 2배다.

동별로 살펴보면 아파트 세대수 공급비율은 수완-효덕-건국-첨단2-운남동 순으로, 신규 아파트 세대수 비율은 화정2-송암-지원2-문화-어룡동 순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도심 주택이 아파트 중심으로 치중되면서 기성 시가지의 빈집 집적 현상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한때 광주의 심장격이었던 동구는 물론 광산구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불량, 철거가 요구되는 3~4등급이 밀집해 있다.

주거 환경 자체도 열악한 실정이다.

지역민이 체감하는 주거 만족도는 보통(3.46점)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좁은도로와 치안, 주거비 부담, 주차나 층간소음과 같은 이웃간 갈등 등이 원인으로 꼽혔다. 이용이 편리한 문화시설 부족에 대한 불만도 큰 것으로 확인됐다.

광주 전체 가구의 23%(단독주택 29.7%·아파트 19.3%)가 전문업체를 통한 대대적인 주택 수리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도 지역 주거 환경 상태를 엿볼 수 있는 항목이다.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안전하고 향상된 주거환경을 제공해 주택 전환수요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대목이다.

주거안정을 위해 자가를 보유해야 한다는 인식(87.0%)이 높은 점, 청년이나 신혼, 중장년, 고령 등 높은 1인~2인(각 25.6%·26.6%) 가구수 비율 역시 향후 지역 주거정책이 생애주기별 수요에 방점을 찍은 정책 발굴에 주력해야 하는 방증이다.

정현윤 광주시 주택과장은 "광주시 차원은 물론 지역 다양한 도시계획, 주택분야 전문가들과 유기적인 거버넌스를 유지해 질은 높이면서도 시장의 불안정성은 낮출 수 있는 다앙한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주현정기자 doit85@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