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기자영상] 학교 앞 횡단보도 교통안전 봉사

입력 2022.05.18. 17:02
등굣길 초등학생 사고 예방 교통봉사에 나선 시민
교통봉사활동 모습.

지난 5월 11일 오후 5시쯤 광주 북구 두암동의 한 횡단보도에서 시내버스가 아홉 살 초등학생을 충격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횡단보도를 건너려던 초등학생을 우회전하던 시내버스가 충격한 것이다. 시내버스가 횡단보도 앞에서 일단 멈춤을 하기만 했어도 예방할 수 있는 사고였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2018~2020년 우회전 차량 교통사고로 인한 보행 사망자는 212명, 부상자는 1만3,150명에 이른다. 횡단보도내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2022년부터 교통법규가 '보행자 중심'으로 바뀌었다. 법규가 바뀌기 전에는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는 보행자가 있을 때만 차량이 멈추면 됐지만, 법규가 바뀐 후에는 횡단보도를 건너려고 대기 중인 보행자만 있어도 멈춰야 한다.

횡단보도에서 우회전할 때 보행자가 있으면 우선 정지하도록 제도를 개선, 단속을 강화한다는 취지의 법규 개정이다. 법규뿐만 아니라 교통신호 시설도 바뀌고 있다.


횡단보도에서 주위 교통을 살피지 않고 스마트폰만 보다가 길을 건너다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바닥 신호등'이 설치되고 있다. '바닥 신호등'은 시선이 바닥으로 향한 상태에서도 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횡단보도 바닥에 설치한 제2의 신호등이다. 일부 지역에는 바닥 신호등과 함께 '자동음성 안내 장치'가 설치되어 있기도 하다.

자동음성 안내 장치는 보행자가 적색 신호에서 횡단보도로 진입할 때 "위험하오니 뒤로 물러나 주십시오"라는 음성 안내 방송을 내보낸다. 어린이보호구역에 특별히 설치된 시설도 있다. 횡단보도 앞에 밝은 노란색으로 설치된 '옐로카펫'은 교통사고로부터 어린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밝은 노란색은 멀리서도 잘 보이기 때문에 운전자가 어린이 위치를 미리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엘로카펫은 아이들이 위험한 횡단보도내로 진입하지 않고 엘로카펫 안에 모이도록 하는 효과도 지니고 있다. 옐로카펫은 야간에도 효과적이다. 옐로카펫 상단에 부착된 태양광 램프가 보행자를 비춰주기 때문이다.

이렇게 법규와 교통시설이 바뀌어도 안심할 수는 없다. 어린 초등학생들이 횡단보도를 많이 건너야 하는 등굣길 보호를 위해 선생님과 시민이 나서고 있다.

광주 남구 효우로에 살면서 진남초등학교 앞 횡단보도에서 매일 아침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등굣길 교통안전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시민이 있다. 학부모였기도 한 김 씨는 어느 날 학교 앞을 지나다가 자동차들이 너무 빨리 달리는 모습과 초등학생이 위험한 상황을 목격하고 교통안전 봉사에 나섰다.

김 씨는 "우리 아이들이 5초 6초 정도를 남겨두고 뛰는 거예요. '어, 이것은 정말 아니다'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그때부터는 제가 횡단보도 가운데로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가운데로 나가서 우리 아이들이 3초, 4초를 남겨뒀을 때 절대로 오지 못 하게끔 이렇게 막아주고요. 그리고 그다음에 5초, 6초를 남겨뒀을 때, 이때는 아이들을 데리고 같이 손을 잡고 걷기도 하고 이렇게 했죠." 김경희 씨의 이러한 봉사에 진남초등학생은 고마운 마음을 전하면서 "안녕하세요?" 하고 먼저 인사를 건넨다. 학부모 역시 고마워한다.

진남초등학교 학부모회장인 김유리 씨는 "저희 아이가 지금 6학년 다니고 있는데, 아침마다 이렇게 봉사해 주시니, 안전하게 다닐 수 있어서 참 감사한 마음입니다. 그리고 이제 지금 학부모님들께서 봉사를 많이 안 하는 상황인데, 이렇게 나오셔서 해주시니까 정말 감사하죠." 진남초등학교 김수강 교장 선생님도 "날씨가 좋은 날에는 기분 좋아서 할 수도 있는데, 그렇지 않을 때는 하기가 어렵거든요. 그런데도 빠지지 않고 늘 나와주시는 것은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라며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교통봉사자 김경희 씨는 오히려 자신이 더 고맙고 행복하다면서 "주민들도 저를 보면서 눈을 마주치고요. 우리 학부모님들은 미소를 짓고요. 우리 아이들은 오히려 저한테 '선생님 안녕하세요? '이렇게 인사를 하고 가기도 해요. 그때마다 정말 뿌듯하고 '아! 내가 이 일을 하기를 진짜 잘했구나'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저, 정말 너무 행복하죠?"라고 기뻐한다.

우리 미래를 이끌어 갈 어린이가 안전한 세상이 진정 안전한 사회다. 운전자를 포함해 모든 시민이 교통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특별히 어린 학생 보호에 관심을 갖고 실천해야 한다. 정규석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