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행사 때만 사용·제공 금지
환경단체 “공직사회부터 노력해야”
광주시가 1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조례까지 만들었지만 정작 내부에서부터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1회용품 사용 시 페널티를 부과하거나 반입을 아예 금지하는 등 공직사회부터 철저히 노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27일 정오께 찾은 광주시청. 점심시간이 한창인 청사 1층 로비 곳곳은 음료를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는 사람들로 북적였다. 30도를 웃도는 무더운 날씨에 구내식당을 이용한 시청 직원들이 1층 카페에서 음료를 구매한 뒤 삼삼오오 테이블에 앉아 휴식을 취했다.
그러나 대부분 직원이 텀블러 등 다회용컵 대신 1회용컵을 사용했다.
청사 내 입주한 카페 매장 안에서는 1회용컵 사용이 금지됐지만 지키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시청 1층 로비 일부를 칸막이로 막아 공간을 구분해 놓은 카페 특성상 몇 걸음만 옮기면 카페를 벗어나는 꼴이 되면서 1회용컵 사용이 합당해지기 때문이다.
일부 직원들은 아예 1회용컵을 직접 챙겨와 무인 캡슐카페를 이용하기도 했다.
이곳에서 만난 시청 공무원 A씨는 "종이로 된 1회용컵은 사용해도 되는 줄 알았다"고 말했다.
비슷한 시간 광주 서구청의 모습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바깥보다 비교적 선선한 청사 1층 카페 주변에 마련된 테이블은 빈자리를 찾기 힘들 정도로 음료를 마시는 직원들로 붐볐다.
테이블 위에 '1회용컵 사용을 금지한다'는 작은 푯말이 세워져 있어서인지 대부분 다회용컵에 담긴 음료를 마시고 있었지만 일부 직원들은 종이컵을 함께 사용했다.
서구청 공무원 B씨는 "아침에도 커피 한 잔을 마셨다 보니 동료들과 한 잔으로 나눠 마시려고 작은 종이컵을 사용했다"고 말했다.
또 청사 외부 카페에서 1회용컵에 음료를 주문한 뒤 그대로 들고 청사에 들어오는 직원들도 꽤 많았다. 정문 출입구에 '일회용품 제로 서구 만들기', '청사 내 1회용컵 반입금지' 등이 적힌 입간판이 무색했다.
이처럼 공공기관에서 1회용품 사용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와 광주 5개 자치구 모두 '1회용품 사용 줄이기', '1회용품 사용제한 조례'가 시행 중이지만 회의나 행사 때만 1회용품 사용이나 제공을 금지하고 있다 보니 1회용품이 공공연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실제 환경운동연합이 지난달 24일 점심시간(오후 12시~1시) 광주시청 내 카페에서 제공되는 음료를 확인한 결과 총 253건 주문 중 184건(72.7%)이 1회용컵으로 제공됐다. 다회용컵을 이용한 건수는 64건(25.2%), 개인 텀블러를 이용한 건수는 5건(1.9%)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환경단체는 1회용컵은 환경 파괴의 주범이라며 공공기관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플라스틱이나 종이나 1회용품은 생산하는 과정과 사용 후 폐기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와 환경오염 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환경에 큰 영향을 끼친다"며 "환경 보존을 위해 청사 안에서는 1회용품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등 공직사회부터 선제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전남, '살릴 수 있던 환자' 사망 비율 전국서 가장 높아 지난 2월 29일 오전 광주 동구 전남대병원 응급병동에서 의료진이 중환자를 옮기고 있다.뉴시스 부족한 의료인프라로 사망한 환자 지표에서 전남도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8일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에 따르면 생존할 수 있었음에도 부족한 의료 인프라 부족으로 사망한 환자 수가 전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보건복지부가 남인순 의원실에 제출한 '전국 시·도별 중증도 보정 입원 사망비 현황'에 따르면 2018~2022년 기준 중증도 보정 입원 사망비가 가장 높은 곳은 전남으로 1.17에 달했다.중증도 보정 입원 사망비는 급성기 입원환자의 중증도를 보정한 기대 사망자 수와 실제 사망자 수의 비를 의미한다. 사망비가 1인 지역은 전국 평균 수준이며 1을 넘기면 기대 사망자보다 많은 초과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뜻이다.전남이 1.17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며 광주는 1.03을 기록했다. 이외에 사망비가 1인 넘긴 지역은 부산 1.08, 강원 1.06, 경북 1.05, 경남 1.05 등이다.전남은 '치료 가능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치료 가능 사망률은 심뇌혈관 질환, 감염 치료가 제때 이뤄진다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조기 사망' 비율을 뜻하며 인구 10만명당 치료 가능한 사망자 숫자로 표기한다.2022년 기준 치료 가능 사망자는 충북이 52.92명으로 가장 많았고 인천 51.31명, 강원 51.21명, 전북 49.89명, 전남 49.40명 순이었다.광주는 40.63명으로 세종(37.78명), 서울(40.25명)에 이어 광역지자체 중 세 번째로 낮았다.남인순 의원은 "전국 시·도별 치료 가능 사망률과 중증도 보정 입원사망비 차이는 지역간 건강격차를 의미하는 것"이라며 "권역책임의료기관 육성, 지역거점공공병원 확충 및 기능보강, 의료취약지 지원사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펼치고, 공공의료 중심의 지역완결적 필수의료체계를 구축해 지역간 건강격차를 해소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 광주도시공사 사장에 김승남 전 국회의원 임명
- · 전남, 공보의 없는 보건지소 10곳 중 4곳···의료공백 심화
- · 광주 자원순환 리더들 "자원순환도시 실현"
- · 윤명희 전남도의원, 전라남도농공단지협의회로부터 공로패 받아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